<황혼이 바다가 되어>
하루도 검푸른 물결에
흐느적 잠기고...... 잠기고......
저 ----- 웬 검은 고기 떼가
물든 바다를 날아 횡단할꼬.
낙엽이 된 해초
해초마다 슬프기도 하오.
서창에 걸린 해말간 풍경화,
옷고름 너어는 고아의 설움
이제 첫 항해하는 마음을 먹고
방바닥에 나뒹구오...... 뒹구오......
황혼이 바다가 되어
오늘도 수많은 배가
나와 함께 이 물결에 잠겼을 게오.
<팔복 -마태복음 5장 3~12>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영원히 슬플 것이오.
<무서운 시간>
거 나를 부르는 것이 누구요.
가랑잎 아파리 푸르러 나오는 그늘인데,
나 아직 여기 호흡이 남아 있소.
한번도 손들어보지 못한 나를
손들어 표할 하늘도 없는 나를
어디에 내 한 몸 둘 하늘이 있어
나를 부르는 것이오.
일이 마치고 내 죽는 날 아침에는
서럽지도 않은 가랑잎이 떨어질텐데......
나를 부르지 마오.
<길>
잃어버렸습니다.
무얼 어디다 잃었는지 몰라
두 손이 주머니를 더듬어
길에 나아갑니다.
돌과 돌과 돌이 끝없이 연달아
길은 돌담을 끼고 갑니다.
담은 쇠문을 굳게 닫아
길 위에 긴 그림자를 드리우고
길은 아침에서 저녁으로
저녁에서 아침으로 통했습니다.
돌담을 더듬어 눈물짓다
쳐다보면 하늘은 부끄럽게 푸릅니다.
풀 한 포기 없는 이 길을 걷는 것은
담 저쪽에 내가 남아 있는 까닭이고,
내가 사는 것은, 다만,
잃은 것을 찾는 까닭입니다.
<'별똥 떨어진 데' 중>
밤이다.
하늘은 푸르다 못해 농회색으로 캄캄하나 별들만은 또렷또렸 빛난다. 침침한 어둠뿐만 아니라 오삭오삭 춥다. 이 육중한 기류 가운데 자조하는 한 젊은이가 있다. 그를 나라고 불러 두자.
나는 이 어둠에서 배태되고 이 어둠에서 생장하여서 아직도 이 어둠 속에 그대로 생존하나 보다. 이제 내가 갈 곳이 어딘지 몰라 허우적거리는 것이다. 하기는 나는 세기의 초점인 듯 초췌하다. 얼핏 생각하기에는 내 바닥을 반듯이 받들어 주는 것도 없고 그렇다고 내 머리를 갑박이 내려 누르는 아무것도 없는 듯하다마는 내막은 그렇지도 않다. 나는 도무지 자유스럽지 못하다. 다만 나는 없는 듯 있는 하루살이처럼 허공에 부유하는 한 점에 지나지 않는다. 이것이 하루살이처럼 경쾌하다면 마침 다행할 것인데 그렇지를 못하구나!
(중략)
어디로 가야 하느냐. 동이 어디냐, 서가 어디냐, 남이 어디냐, 북이 어디냐. 아라! 저 별이 번쩍 흐른다. 별똥 떨어진 데가 내가 갈 곳인가 보다. 하면 별똥아! 꼭 떨어져야 할 곳에 떨어져야 한다.
<'화원에 꽃이 핀다' 중>
한 해 동안을 내 두뇌로써가 아니라 몸으로써 일일이 헤아려 세포 사이마다 간직해두어서야 겨우 몇 줄의 글이 이루어집니다. 그리하여 나에게 있어 글을 쓴다는 것이 그리 즐거운 일일 수는 없습니다. 봄바람의 고민에 짜들고, 녹음의 권태에 시들고, 가을 하늘 감상에 울고, 노변의 사색에 졸다가 이 몇줄의 글과 나의 화원과 함께 나의 일 년은 이루어집니다.
(중략)
봄이 가고, 여름이 가고, 가을, 코스모스가 홀홀히 떨어지는 날 우주의 마지막은 아닙니다. 단풍의 세계가 있고, - 이상이견빙지 - 서리를 밟거든 얼음이 굳어질 것을 각오하라 - 가 아니라 우리는 서릿발에 끼친 낙엽을 밟으면서 멀리 봄이 올 것을 믿습니다.
노변에서 많은 일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 윤동주의 정본 전집을 읽으면서, 그의 글을 시간들을 따라 읽으면서, 단편적으로 접했던 그의 시에서 느꼈던 감동과는 조금 다른, 깊은 애잔한 슬픔의 울림이 올곧은 가느다란 의지를 감싸고 도는 것처럼 느껴졌다.
젊은 나이의 순절이 아니었다면, 한국의 카뮈와 같은 인물이 아니었을까 생각해본다. 불행의 시대를 아름다운 슬픔의 문장으로 시간을 초월해 남아 있는 듯.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