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은 우리가 무엇을 아는지 말해주지만, 우리는 아주 조금만 알 따름이다. 또 만약 우리가 얼마나 많이 모르는지 망각한다면, 엄청나게 중요한 많은 일에 무감각해지고 만다. 다른 한편 신학은 사실상 무지의 영역까지도 안다는 독단적인 믿음을 이끌어냄으로써, 우주를 향한 일종의 주제넘고 오만한 태도를 양산한다. 생생한 희망과 두려움 속에서 불확실한 문제에 직면할 때는 누구나 고통을 느끼지만, 만약 마음이 편해지도록 위로나 주는 동화에 의지해 살고 싶지 않다면 그런 고통을 감수해야 한다. 철학이 제기하는 질문을 망각해서도 안 되고, 철학적 질문에 대해 의심할 수 없는 답변을 찾았다고 자신을 설득해도 안 된다. 확실한 진리는 없다고 주저하며 무기력한 상태에 빠지지 않고 의연히 살아가는 법을 가르치는 일이야말로, 우리 시대 철학 연구자를 위해 철학이 지금도 해야 할 중요한 일이다.
- 처음 이 두꺼운 책을 펴기가 쉽지는 않았다. 그러나, 읽을수록 빠져들게 되는 책. 이제 겨우 고대에서 그리스 로마시대의 철학을 지났다. 수 천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시대를 초월한 인간의 존재에 대한 고민과 생각이 공유할 수 있는 부분이 놀라우리만큼 많다는 점이 행복하다. 인간은 시대를 초월해서 혼자가 아니라는 점에 대한 안도. 과학과 철학과 신학의 출발점이 거의 같다는 점에 대한 기분좋은 느낌. (현대에 있어 지나치게 전공을 가르고, 마치 과학을 하는 사람은 인문학을 전혀 하지 말아야 한다거나, 같은 분야에서도 서로의 분야를 자로 긋듯이 가르는 것이 팽배한 지금, 그것이 못마땅한 나에게 든든한 후원군이 되어준 듯하다.) 두 눈을 부릅뜨고, 신경을 팽팽하게 당기고, 시간을 초월해 사람들의 생각들을 읽어나가는 재미.-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