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2월 29일 토요일

Revisiting Hesse's Demian


Few people nowadays know what man is. Many sense this ignorance and die the more easily because of it, the same way that I will die more easily once I have completed this story.

I have begun to listen to the teachings my blood whispers to me. (skip) it has the take of nonsense and chaos, of madness and dreams - like the lives of all men who stop deceiving themselves.
Each man's life represents a road toward himself, (skip) No man has ever been entirely and completely himself. (skip) Each man carries the vestiges of his birth - with him to the end of his days. Some never become human, remaining frog, lizard, ant. Some are human above the waist, fish below. Each represents a gamble on the part of nature in creation of the human. (skip) all of us come in at the same door. But each of us - experiments of the depths - strives toward this own destiny. We can understand one another; but each of us is able to interpret himself to himself alone


I can only say that he was in every respect different from all the others, was entirely himself, with a personality all this own which made him noticeable even though he did his best not to be noticed;

A stone had been dropped into the well, the well was my youthful soul.

I see him strange, lonely, and silent, wandering among them like a separate planet, surrounded by an aura all his own, a law into himself.

If a person were to concentrate all his power on a certain end, than he would achieve it. 

"Clever talk is absolutely worthless. (skip) One has to be able to crawl completely inside oneself, like a tortoise."

The tree does not die. It waits.

I began to sense that this was neither Beatrice nor Demian but myself. Not that the picture resembled me - I did not feel that it should - but it was what determined my life, it was my inner self, my fate or my daemon.

"Fate and temperament are two words for one and the same concept."

It was an accident that this transformation coincided with my parents' and teachers' wishes. This change did not bring me into the community of the others, did not make me closer to anyone, but actually made me eve lonelier. (skip) I could not have uttered a single word about my dreams and expectations, my inner change, to anyone, not even if I had wanted to. But how could I have wanted to?

"The bird fights its way out of the egg. The egg is the world. Who would be born must first destroy a world. The bird flies to God. That God's name is Abraxas."

Only one thing was certain; the voice within me, the dream image. I felt the duty to follow this voice blindly wherever it might lead me. (skip) as other did who knew exactly what they wanted to be - professors, lawyers, doctors, artists, however long this would take them and whatever difficulties and advantages this decision would bear in it wake. This I could not do. (skip) Perhaps I would have to continue my search for years on end and would not become anything, and would not reach a goal. Perhaps I would reach this goal but it would turn out to be an evil, dangerous, horrible one?
I wanted only to try to live in accord with the promptings which came from my true self. Why was that so very difficult?

If you need something desperately and find it, this is not an accident; your own craving and compulsion leads you to it.

Even as a young boy I had been in the habit of gazing at bizarre natural phenomena, not so much observing them as surrendering to their image, their confused, deep language. (skip) water and fire particularly, smoke, clouds, and dust, but most of all the swirling specks of color that swam before my eyes the minute I closed them.

on my table lay a few volumes of Nietzsche. I lived with him, sensed the loneliness of his soul, perceived the fate that had propelled him on inexorably; I suffered with him, and rejoiced that there had been on man who had followed his destiny so relentlessly.

"People that don't follow the herd are rare everywhere. There are some here too."

how remote and dead this world was for me.

why men were so very rarely capable of living for an ideal. Now I saw that many, no, all men were capable of dying of one.


- 나의 자서전인 것처럼, 너무도 같이-

2012년 12월 13일 목요일

Claire Dunne 의 'Carl Jung - Wounded healer of the soul - 중

"My soul, my soul, where are you?"

"You should be ... not Christian but Christ, otherwise you will be of no use to the coming God."

Soul counsels acceptance of solitude, the inner loneliness of knowing, uncertainty of path or goal, and fear and possibility of madness as part of his journey.

"My path is not your path," and, "to live oneself is to be one's own task."

To the sensitive and vulnerable Carl it wass a suffocating atomosphere.

"soulstone"

But in Jung's midlife struggle for himself there was not much to give out to his family. It was he himself who still needed all the support he could find.

Jung's vision-figure Philemon was a winged spirit

Abraxas combines good and evil in a unity.

mandalas, the Sanskrit word for circle.

Individuation is the experience of a natural law, an inner self-regulating process by which man becomes a whole human being acknowledging and living the total range of himself. (skip) The human being thus recognizes itself as both material and spiritual, conscious and unconscious.

Individuation means that a man becomes an adult, knowing "that he does not only depend on God but that God also depends on man."

the wholeness he spoke of mean completion, not perfection.

Bollingen_ inviting solitude he needed.

I don't believe in the tiger who was finally converted to vegetarianism and ate only apples.

This man did in fact accept the shadow and ... this acceptance brought problems and tensions but also aliveness, reality, integrity, and depth of being. (skip)
Recognizing the shadow is what I call th eapprenticeship. But making otu with the anima is whta I call the masterpice shich not many bring off.

Toilers of the Sea; painting by Albert P. Ryer, c. 1915
long identified as the oceanic in man.
(인상깊은 그림. 바다, 하늘, 고래를 닮은 배)

walk on water - that is, he can see above the churning of his unconscious.

Nobody can live it for you or instead of you. Your life is what you try to live. If I should try to put you through something it would be my life and not yours.

1940, as the world entered the Age of Aquarius.

Solitude is for me a fount of healing which makes my life worth living. Talking is often a torment for me, and I need many days of silence to recover from the futility of words.

It is not the reality of the hydrogen bomb that we need to fear, but what man will do with it.

A change in the attitude of the individual can bring about a renewal in the spirit of the nations.

Happiness and contentment, equability of mind and meaningfulness of life - these can be experienced only by individual and not by a State, which, on the other hand is nothing but a convention agreed to by independent individuals and, on the other, continually threatens to paralyze and suppress the individual .... The social and political circumstances of the time are certainly of considerable significance, but their importance for the weal or woe of the individual has been boundlessly overestimated in so far as they are taken for the sole deciding factors. In this respect all our social goals commit the error of overlooking the psychology of the person for whom they are intended and - very often - of promoting only his illusions.

Just as men, as a social being, cannot in the long run exist without a tie to the community, (skip) For this he needs the evidence of inner, transcendent experience which alone can protect him from the otherwise inevitable submersion in the mass.

When John Freeman asked Jung in a 1959 BBC interview if he believed in God, he answered, "I don't need to believe ... I know."
(같은 대답을 가진 나, 이 말은 진정한 이해보다는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킨 듯하다.)

But Jung always knew at heart that his life, if understood, pointed a way.

If I ask the value of my life, I can only measure myself against the centuries and then I must say, Yes, it means something. Measured by the ideas of today, it means nothing.

In each aeon there are at least a few individuals who understand what man's real task consists of, and keep its tradition for future generations and a time when insight has reached a deeper and more general level. First the way of a few will be changed and such insight, no matter how isolated he is, should be aware of the law of synchronicity. As the old Chinese saying goes: "The right man sitting in his house and thinking the right thought will be heard a hundred miles away."

- 그림들이 곁들여진 아름다운 책. 자신의 입장에서 서술된 자서전과 제3자의 입장에서 조명된 개인의 일생은 분명 다른 부분이 있는 듯하다. 그러나, 융이 인생을 통해 끊임없이 추구하고, 통합하려는 모습은 어디서나 보여진다.
그의 고독에의 요구, 그러나 이해받지 못함에서 오는 외로움, 생의 의미에 대한 끊임없는 추구.

그의 통찰은 놀랄만큼 솔직하면서도 직관적이다. 사회적 동물로서의 인간에 대해서 꿰뚫어보면서도, 그 사회에 의해 인간이 처하게 되는 비인간적인 환경에 대해서도 정확히 짚어내고 있다. 그러나, 그가 작고한지 50년이 지난 지금 그가 우려하던 사회나 조직에서의 인간은 점점 그 크기가 작아지고 있다.
1900년대 초반에, 혹은 그 이전에, 기억되는 것이 사람의 이름들이라면, 현대에서는 오직 회사, 기관들의 이름들이 더 크게 울리고 있다. 새로운 상품의 이름은 기억되지만 정작 그 상품을 만든 사람들은 알려지지 않는다. 물건에 의해 지배받고, 사회에 갇혀산다. 개인의 삶의 의미에 대해서 생각할 시간은, 융이 경고했던 대로, 새로운 gadget 들에 의해 모두 사라졌다.
인간은 사라지고, 역할만 남았다. '내면에 대한 추구'는 웃음거리밖에 되지 않는다. 생각의 이해받지 못함에 대한 외로움은 그가 살았던 시대보다, 그 생각에 욕구조차 매장된 현대에 와서 더 크다. '생각'은 '역할'을 차지하기 위한 도구로서만 그 명맥을 이어갈 뿐이다.
인터넷과 대중매체를 통해 얻은 소통의 기회는 그 무절제에 의해 '무관심'과 '무감각'이라는 병만 안겨줬다. 기술이 안겨준 편의?에 정작 빼앗긴 것은 무엇인지 절실히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까?

그가 말한대로, 이 시대의 올바른 사람의 정신이 널리 들릴 수 있기를! 절실히 바란다.


2012년 12월 12일 수요일

Carl G. Jung의 'Memories, Dreams, Reflections' 중

If a = b and b = c, then a = c, even though by definition a meant something other than b, and, being different, could therefore not be equated with b, let alone with c.

What had led me astray during the crisis was my passion for being alone, my dleight in solitude. Nature seemed to me full of wonders, and I wanted to steep myself in them. Every stone, every plant, every single thing seemed alive and indescribably marvelous. I immersed myself in nature, crawled, as it were, into the very essence of nature and away from the whole human world.

Sometimes I had an overwhelming urge to speak, not about that, but only to hint that there were some curious things about me which no one knew of. I wanted to find out whether other people had undergone similar experiences. I never succeeded in discovering so much as a trace of them in others. As a result, I had the feeling that I was either outlawed or elect, accursed or blessed.

Thus the pattern of my relationship to the world was already prefigured: today as then I am a solitary, because I know things and must hint at things which other people do not know, and usually do not even want to know.

"The stone has no uncertainties, no urge to communicate, and is eternally the same for thousands of years," (skip) I was but the sum of my emotions, and the Other in me was the timeless, imperishable stone.

Certainly the world is immeasurably beatiful, but it is quite as horrible. In small village in the country, where there are few people and nothing much happens, "old age, disease, and death" are experienced more intesely, in greater detail, and more nakedly than elsewhere.

But somewhere and at some time there must have been people who sought the truth as I was doing, who thought rationally and did not wish to deceive themselves and others and deny the sorrowful reality of the world.

For everywhere in the realm of religious questions I encountered only locked doors, and if ever one door should chance to open I was disappointed by what lay behind it. Other people all seemed to have totally different concerns. I felt completely alone with my certainties. More than ever I wnated someone to talk with, but nowhere did I find a pint of contact; on the contrary, I sensed in others an estrangement, a distrust, an apprehension which robbed me of speech.

there was a sudden inner silence, as though a soundproof door had beeen closed on a noisy room.

I knew what I wanted and went after it. I also became noticeably more accessible and more communicative.

My father pressed a ticket into my hand and said, "You can ride up to the peak alone. I'll stay here, it's too expensive for the two of us. Be careful not to fall down anywhere."
(융이 정신적으로 경멸했던 아버지는 너무 인간적이지 않은가? 최선을 다해 자식에게 기회를 쥐어주고, 위험을 걱정하는 모습, 그러나, 기차를 타고 올라가는 동안 융은 그 기회를 마음껏 향유한다. 그에게 같이 가지 못한 아버지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 등은 찾아볼 수 없는 것이...)

I finally decided on medicine, it was with the rather disagreeable feeling that it was not a good thing to start life with such a compromise.

In the role of No. 1, I had to go forward - into study, moneymaking, responsibilities, entanglements, confusions, errors, submissions, defeats. The storm pushing agaisnt me was time, ceaselessly flowing into the past, which just as ceaselessly dogs our heels. It exerts a mighty suction which greedily draws evertyhing living into itself; we can only escape from it - for a while - by pressing forward.

No one, not even I myself, had ever imagined I could become interested in this obscure bypath. (skip) thinking of me a fool for throwing up the enviable chance of a sensible career in internal medicine, which dangled so temptingly before my nose, in favor of this psychiatric nonsensce. (skip)
But I knew - and nothing and nobody could have deflected me from my purpose - that my decision stood, and that it was fate.

Encounters with people of so many different kinds and on so many different psychological levels have been for me incomparably more important than fragmentary conversations with celebrities. The finest and most significant conversations of my life were anonymous.

I really existed, that I was not a blank page whirling about in the winds of the spirit, like Nietzsche. Nietzsche had lost the ground under his feet because he posessed nothing more than the inner world of his thoughts
(이 부분에 대해서는 나는 다른 생각, 니체는 선택을 한 것이지 현실을 잃은 것은 아니다. 이상과 현실은 다르다. 이상을 위해 그는 산꼭대기에 올라가는 삶을 택한 것이다. 아무도 없더라도 그는 올라간다. 그에게는 '고귀한 정신'에 대한 갈망이 있었기에 그의 저작이 나올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가 현실과 타협하는 삶을 살았더라면 교수로서 '정신의 양말/학문적 세공품'을 짜는데 한 생을 마감했을 것이며, 그의 Zarathustra는 존재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It would be unfair to continue teaching young students when my own intellectual situation was nothing but a mass of doubts.
I therefore felt that I was confronted with the choice of either continuing my academic career, whose road lay smooth before me, or following the laws of my inner personality, of a higher reason, and forging ahear with this curious tak of mine, this experiment in controntation with the uncounscious. But until it was completed I could not appear before the public.

Words and paper, however, did not seem real enough to me; something more was needed. I had to achieve a kind of representation in stone of my innermost thoughts and of the knowledge I had acquired. Or, to put it another way, I had to make a confession of faith in stone.

In my retiring room I am by myself. I keep the key with me all the time; no one else is allowed in there except with my permission. In the course of the years I have done paintings on the walls, and so have expressed all those thingswihch have carried me out of time into seclusion, out of the present into timelessness. Thus the second tower became for me a place of spiritual concentration.
(skip) I needed a larger space that would stand open to the sky and to nature.

Reforms by advances, that is, by new methods or gadgets, are of course impressive at first, but in the long run they are dubious and in any case dearly paid for. They by no means increase the contentment or happiness of people on the whole. Mostly, they are deptive sweetenings of existence, like speedier communications which unpleasantly accelerate the tempo of life and leave us with less time than ever before. Omnis festinatio ex parte diaboli est - all haste is of the devil, as the old masters used to say.
(컴퓨터나 휴대폰 같은 기기가 없는 그 시절에 벌써 이런 생각을 했다는 것이 놀랍다. 현대에 와서 이 말은 더 정곡을 찌른다.)

The decisive question for man is: Is he related to something infinite or not? That is the telling question of his life. Only if we know that the thing which truly matters is the infinite can we avoid fixing our interst upon futilities, and upon all kinds of goals which are not of real importance. Thus we demand that the world grant us recognition for qualities which we regard as personal possessions: our talent or our beauty. The more a man lays stress on false possessions, and the less sensitivity he has for waht is essential, the less satisfying is his life. He feels limited because he has limited aims, and the result is envy and jealousy.

Only consciousness of our narrow confinement in the self forms the link to the limitlessness of the unconscious. In such awareness we experience ourselves concurrently as limited and eternal, as both the one and the other. In knowing ourselves to be unique in our personal combination - that is, ultimately limited - we possess also the capacity for becoming conscious of the infinite. But only then!
In an era which has concentrated exclusively upon extension of living space and increase of rational knowledge at all costs, it is a supreme challenge to ask man to become conscious of his uniqueness and his limitation. Uniqueness and limitation are synonymous. Without them, no perception of the unlimited is possible - and consequently, no coming to consciousness either - merely a delusory identity with it which takes the form of intoxication with large numbers and an avidity for political power.
Our age has shfted all emphasis to the here and now, and thus brought about a daemonization of man and his world. The phenomenon of dictators and all the misery they have wrought springs from the fact that man has been robbed of transcendence by the shortsightedness of the super-intellectuals. (skip) As far as we can discern, the sole purpose of human existence is to kindle a light in the darkness of mere being. It may even be assumed that just as the unconscious affects us, so the increase in our consciousness affects the unconscious. 

Every form of addiction is bad, no matter whether the narcotic be alcohol or morphine or idealism.

In practical terms, this means that good an devil are no longer so self-evident. We have to realize that each represents a judgment. In veiw of the fallibility of all human judgment, we cannot believe that we  will be always judge rightly.

As a rule, however, the individual is so unconscious that he altogether fails to see his own potentialities for decision. Instead he is constantly and anxiously looking around for external reles and regulations which cna guide him in his perplexity. (skip)
Therefore the individual who wishes to have an answer to the problem of evil, as it is posed today, has need, first and foremeost, of self-knowledge, that is, the utmost possible knowledge of his own wholeness. (skip) should he wish - as he ought - to live without self-deception or self-delusion.

The biological and political history of man is an elaborate repetition of the same thing. But the history of the mind offers a different picture.

If insight does not come by itself, speculation is pointless. It makes sense only when we have objective data comparable to our material on the aeon of Aquarius.

Meanginglessness inhinits fullness of life and is therefore equivalent to illness. Meaning makes a great many things endurable - perhaps everything.

I am at the stream, but I do nothing. (skip) I stant and behold, admiring what nature can do.

One must stoop a little in order fetch water from the stream.

an inner certainty.

Loneliness does not come from having no people about one, but from being unable to communicate the things that seem important to oneself, or from holding certain views which other find inadmissible.

I was born and exist, and it seems to me that I have been carried along. I exist on the foundation of something I do not know. In spite of all uncertainties, I feel solidity underlying all existence and a continuity in my mode of being.


- 많은 말들에 공감하고, 또한, 많은 말들에 고개를 갸우뚱하며 읽었던 책.
정신분석학의 대가로 꼽히는 융의 솔직한 자서전에 담긴 그의 모습은 특별했던 어린시절에도 불구하고, 매우 통합적인 인간상을 보여준다. 그의 일생을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일에 바쳤고, 자기 성찰과 발견에 바친 융. 나로서는 그의 무의식보다는 그의 의식에서 써나간 부분에 더 동의했다. 이 책을 읽는 동안 가장 큰 발견은 현재의 나 자신이 아니라, 과거와 미래의 연장선 상에서 나, 인간 존재에 대한 인식이었다. 오직 현재와 지금만을 중요시하다보면 잊게되는 역사적 존재로서의, 혹은 더 멀리 인류적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의무와 가치, 그 부분을 간과하게 되는 실수를 범하게 되는 것 같다. 종교로 현실의 눈을 가려서도 안 되지만, 현재에 너무 치중해 시간선상에 서 있는 사람의 모습을 잊어서도 안 되는 것으로 느껴진다.
그가 말한대로 인간존재의 단 하나의 목적이 단순한 존재의 불을 밝히는 것이라 할 지라도, 우리는 그 연결선상에 있고, 자신을 의식하는 인간이 있는 한 그 불은 영원히 꺼지지 않을 것이다.
'다름'이라는 고독, '이해받지 못함'이라는 고독, '이해시킬 수 없음'이라는 고독들은 누구에게나 있는 것인지, 아니면 유독 나와 같은 사람들에게 더 심하게 느껴지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이제 나에게 이런 것들은 시간을 초월한 사람들과 공감함으로서 이미 극복되어진 것 같다.
어디에서, 어디로. 모르겠지만, 나는 가고 있고 의식의 등불을 보다 환하게 가지고 한발씩 딛고 가리라는 것은 분명한 듯 하다.
그에게 '돌'이 있었다면, 나에게는 '물'이...

2012년 11월 28일 수요일

지드의 '배덕자' 중

죽음의 날개가 스친 뒤에는, 중요하게 보이던 일도 이미 그렇지 않게 된다. 중요하게 보이지 않던 것, 또는 존재하고 있는지조차 몰랐던 것이 오히려 더 중요해진다. 우리의 머릿속에 쌓여있는 온갖 지식이 분칠처럼 벗겨져서, 곳곳에 숨겨져 있던 정체가 벌거숭이로 드러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그때부터 내가 찾아내기로 마음먹은 '인간'인 것이다. 참다운 인간인 '옛 사람' (그리스도 이전의 사람을 말함-옮긴이 주)인 것이다. 복음서가 이미 필요로 하지 않는 책, 교사, 양친 등 모든 것이, 그리고 나 자신조차도 처음에는 말살하려고 했던 인간이 것이다. 그리고 그 인간은 쓸모없는 짐을 너무 많이 짊어진 까닭에 일찌감치 닳아 없어져서 발견하기 힘들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그런 만큼 더욱더 그 발견이 유익하고 또한 장한 것으로 여겨졌다. 그 순간 이후로 나는 훈련되고, 교육으로 겉칠을 했을 뿐인 저 제2차적인 존재를 경멸하게 되었다. 과중한 짐을 덜어버리지 않으면 안 되었다.

지나가는 하루를 도중에서 잡아당겨서 한 시간, 한 시간을 다시 고쳐보고 싶어지고, 슬퍼서 울고 싶을 지경이야.

왜냐하면 사람들 속에 가면 나는 마치 죽은 자들의 세계에서 돌아온 사나이처럼 언제나 이방인으로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이때 비로소 나는 나 자신의 가치를 의식했다. 스스로를 남과 분리시켜놓고 있는 것, 구별짓고 있는 것, 이것이 중요한 것이었던 것이다. 나 이외에 아무도 말하지 않았고, 말할 수도 없었던 것, 그것이 바로 내가 말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말이라고 하는 것은, 아아, 행동 옆에서는 그 얼마나 창백해지는 것일까? 실생활은 메날크의 사소한 행위라도 내 강의보다 훨씬 더 웅변적이 아니었을까?
아아! 그후 나는 옛날의 대철학자의 거의 모든 정신적인 교훈은, 말의 가르침인 동시에 말 이상으로 실천을 본보기로 해서 보여준 가르침이라는 것을 뚜렷이 이해했던 것이다!

선택하지 않으면 안 돼. 중요한 것은 자기가 원하는 바를 안다는 거야.

그렇게 사이좋게 지냈는데도 귀찮아지고, 서먹서먹하고, 관심 밖의 사랑으로 느껴지는 것을 도대체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 그것은 내 일과 취미가 이미 작년의 그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인간은 아직 무엇을 할 수 있는 것인가? 그것이 내가 알고 싶은 것이었다.
인간이 여태까지 말한 것이 인간이 말할 수 있는 모든 것이었을까? 이제 그것을 되풀이하는 것 이외에는 방법이 없는 것일까? 이렇게 해서 교양이나 예의나 도덕에 의해 덮여지고, 감추어지고, 질식되어 있는 티없이 깨끗한 숱한 보물이 있다는 희미한 생각이 내 마음속에서 날이 갈수록 커져갔다.

이따금 내 진정한 생활은 아직도 시작되지 않은 것같이 느껴진단 말이야.

- 지드의 '지상의 양식'과 동시에 발표된 '배덕자'는 지상의 양식에서 보여주고 있는 지드의 철학이 소설의 형태로 나타나 두 작품간의 이해를 돕는다. 주인공은 병에 의해 죽음 목전까지 갔다가 다시 살아남으로서 기존의 삶에 대한 태도와는 다른 태도를 갖게 된다. 그의 표현대로 이전에 중요하지 않았던 것이 중요하게 다가오고, 이전에 중요했던 것이 그렇지 않게 된다. 예를 들면, 주인공 미셀은 학문연구보다는 자연에 발을 딛고 일하는 것을 더 좋아하게 되고, 미래를 계산하지 않고 돈을 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정신은 그에게 마땅히 요구되는 관념, 예의, 도덕 등에 의해 간섭받는다.
그에게 가장 큰 현실의 족쇄는 그가 위독했을 때 헌신적으로 간호해주었던 부인에게 있다. 그는 그녀를 사랑하지만, 그녀가 아프게 되었을 때 그녀는 그의 새롭게 찾은 삶에 무거운 의무로서 다가온다. 기혼자인 주인공의 소년들에 대한 아름다움에 대한 탐닉, 생명을 들이마시고 고양시키고자 하는 욕구, 자연에 발을 딛고 서서 하나됨을 외치고 싶은 마음들이 마치 현재에서는 용서받지 못할 인간으로 간주되어지는 것에 대해 지드는 물음표를 찍는다. 그가 머리말에 말한 것처럼  무엇이 옳고 그르고의 문제가 아니다. 단 하나뿐인 삶을 어떻게 살 것인가에 있어서의 물음을 현실의 의무와 책임에 속박된 자아에게 물어보라는 것이다.
아내의 죽음에 책임이 있는 것과 같은 주인공은 평생 그 죄책감을 씻지 못하고 살아갈 것이다. 그러나, 그가 죽음을 목전에 두었을 때 그가 기억할 것은 햇살과 바람, 흙투성이의 낚시, 구리빛 피부의 미소년들일 것이다.
현실은 벗어날 수 없다. 의무도 끊어버릴 수는 없다. 그러나, '자신'이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잊어버리지 말아야 한다. 현실의 옆구리를 조금이라도 벌려 그 틈에 자신의 욕구를, 꿈을, 밀어넣을 수 있다면, 멋진 일이리라.

2012년 11월 11일 일요일

Hesse의 'Siddhartha' 중

Siddartha - one who attains his aim

He brought delight to everyone; to everyone he was a pleasure.
But he, Siddartha, did not delight himself, he was no pleasure to himself. (skip) Dreams came to him and turbulent thoughts came flowing from the river water, sparkling from the night stars, melting from the sun's rays;

Brahmins had already conveyed the majority and the best part of their wisdom, that they had already poured out their plenty into his waiting vessel, and vessel was not full, the mind was not satisfied, the soul was not calm, the heart not stilled. Ablutions were good, but they were water, they did not wash away sin, they did not quench spiritual thirst, they did not dissolve fear in the heart. (skip) within one's own I, deep inside, in what is indestructible, borne within every individual? But where, where was this innermost and ultimate I?

"I do not wish to know how to walk on water," Siddartha said, "May old shramanas content themselves with such wiles!"

Meaning and essence were not somewhere behind things, they were inside things, in everything.

His life still was guided by the art of thinking, of waiting, of fasting.

These people incessantly fell in love with themselves, their women, their children, with honor or money, plans or hopes.

and yet the bird in my breast has not died.

This water ran on and on, it always ran, and yet it always was there, it was always and ever the same and yet at every moment new!

Vasudeva said, "(skip) my task is to take people across the river. Many have I transported, thousands, and for all of them my river has been nothing but an obstacle on their journeys. They traveled for money and business, and to weddings and on pilgrimages, and the river was in their way, and then the ferryman was there, to get them quickly over their obstacle. For some few among the thousands, however, a very few, four or five, the river stopped being a hindrance, they had heard its voice, they listened to it, and the river has become holy to them, as it has become to me."

"that time does not exits?"

"But do you not mean that the river is everywhere at one, at its origin and at its mouth, at the waterfall, at the ferry, at the rapids, in the sea, in the mountains, everywhere at the same time, and for it only the present exists, no shadow of the past, no shadow of the future?"

"Nothing was, nothing will be; everything is, everything has essence, is present."

The inquisitive people asked many questions but received no answers,

But even if you were to die ten deaths for him, you will be unable to diminish the smallest part of his fate of him.

a muddy wellspring, dark water.

"That because of your seeking you will not arrive at finding?"

"One, may indeed be a seeker, for striving toward your goal, there is much you do not see which is right before your eyes."

One can convey knowledge but not wisdom.

today it appears as stone, precisely for that reason I love it,

Words do the secret sense no good, it always somewhat off when one utters it aloud.

What is a treasure and wisdom to one man always sounds like utter foolishness to another.

I prefer the thing to the words, his actions and his life are more important than his speech, the gestures of his hand more important than his opnions. Not in speech, not in thought do I see his greatness, only in his actions, in his life.


- Hesse를 읽은지 얼마나 오래되었는지, 그리고 처음 읽었던 순간에 얼마나 공감했었는지 새삼스레 기억난다. 내 마음 속에 문학에 대한 열정의 불씨를 당긴 것은 아마도 헤세의 '데미안 (Demian)' 이었을 것이다. 중학교 입학기념으로 이모가 종로서적에서 사 주었던 때가 아직도 기었난다. '알의 비유'가 아직도 기억에 생생히 남아있다. 언제나 알 속에서 나오려 살아왔던 것 같다. 그럼에도 얼마나 많은 껍질들이 있는지...
헤세의 저작은 거의 읽었었는데, 어떻게 이 책을 빠뜨렸는지 모르겠다.

  여기서 주인공이 찾아나선 것은 '진리'인 듯 하다. 대부분의 책들은 목표나 목적에 대해서 말하고 있지만 헤세는 이 곳에서 그것을 넘어서고 있다. 강의 비유에서 드러나듯이, 목표를 위해 건너기 위한 장애물로서의 세상이 그 자체로서 진리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사람들은 목표, 목적, 삶의 이유 등으로 바빠서 눈앞에 놓고도 그 진리를 보지 못한다.
내가 무엇보다 글 속의 싯타르타를 불교의 싯타르타보다 높이 평가하는 것은 그의 인간에 대한 공감이다. 마음의 평정에 다다르려는 순간, 그동안 존재를 알지 못했던 아들이 나타나 그에 의해 평정이 깨지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 아들은 아버지를 미워하고, 아버지의 삶을 혐오하고 뛰쳐나간다. 그를 찾아갔다 그냥 돌아오는 아비로서의 싯타르타는 일반적인 사람으로 돌아가 있다. 그는 사랑하고, 실망하고, 걱정하고, 가슴 졸이는 인간으로서 환원한다. 일반적인 사람들에게 등을 돌렸던 그는 강을 건너는 사람들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바라본다. 결국 평정에 다다르는 그는 속세에 등을 돌리고 자신을 잃어 열반에 도달하는 부처가 아니라, 사람들의 희노애락을 경험하고, 공감함에도 깨달음을 얻는 사람의 부처이다. 또한, 이 희노애락의 사슬에서 그 누구도 자유롭지 않음을, 또한 누구든지 마음 속의 열반을 세상속에서 추구할 수 있음을 역설하고 있다.

  헤세, 그는 자신의 생에서 도달했을까? 그가 추구한 이상이 그토록 열렬하게 그의 글 속에 녹아있는데, 그 자신은 그곳에 도달했을까? 그의 풍파가득한 삶에서 그의 이상은 어디까지 그 길을 갔을까?

  같은 물음, 같은 대답. 역시 깨달음은 말이나 글로 배울 수는 없는 것 같다.
결국 사는 것, 같은 길을 가는 것, 잠수.


2012년 10월 9일 화요일

J.S. Foer의 'Extremely loud and Incredibly close' 중

"Well, what I don't get is why do we exist? I don't mean how, but why."
"We exist because we exist."
Just because you're an atheist, that doesn't mean you wouldn't love for things to have reasons for why they are.

Does it break my heart, of course, every moment of every day, into more pieces than my heart was made of, I never thought of myself as quiet, much less silent, I never thought about things at all, everything changed, the distance that wedged itself between me and my happiness wasn't the world, it wasn't the bombs and burning buildings, it was me, my thinking, the cancer of never letting go, is ignorance bliss, I don't know, but it's so painful to think, and tell me, what did thinking ever do for me, to what great place did thinking ever bring me? I think and think and think, I've thought myself out of happiness on million times, but never once into it.

In be that night I invented a special drain that would be underneath every pillow in New York, and would connect to the reservoir. Whatever people cried themselves to sleep, the tears would all go to the same place, and in the morning the weatherman could report if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of Tears had gone up or down, and you could know if New York was in heavy boots.

We're useful now, but soon we'll be interesting.

I petted Buckminster to show him I loved him.

he filled the room, like how a light fills a room even when it's dim.

In the end, everyone loses everyone.

I hope that one day you will have the experience of doing something you do not understand for someone you love.

I was going to walk to the Hudson River and keep walking. I would carry the biggest stone I could bear and let my lungs fill with water.

I needed to do something, like sharks, who die if they don't swim, which I know about.

"Because what's really fascinating is that she'd play the call of a dead elephant to its family members." "And?" "They remembered." "What did they do?" " They approached the speaker."

so that your skin changed color according to your mood? If you were extremely excited your skin would turn green, and if you were angry you'd turn red, obviously, and if you felt like shiitake you'd turn brown, and if you were blue you'd turn blue.
Everyone could know what everyone else felt, and we could be more careful with each other, because you'd never want to tell a person whose skin was purple that you're angry at her for being later, just like you would want to pat a pink person on the back and tell him, "Congratulations!"
you become a confused, gray person.

He said, "OK," and the sound his own voice made him cry the most.

"His body was destroyed"
Mom said, "His spirit is there," and that made me really angry. I told her, "Dad didn't have a spirit! He had cells!" "His memory is there." "His memory is here," I said, pointing at my head. "Dad had a spirit," she said, like she was rewinding a bit in our conversation. I told her, "He had cells, and now they're on rooftops, and in the river, and in the lungs of millions of people around New York, how breathe him every time they speak!" "You shouldn't say things like that." "But it's the truth! Why can't I say the truth!

My life story is spaces.

You cannot protect yourself from sadness without protecting yourself from happiness.

There were things I wanted to tell him. But I knew they would hurt him. So I buried them, and let them hurt me.

Years were passing through the spaces between moments.

Everything that's born has to die, which means our livers are like skyscrapers. The smoke rises at different speeds, but they're all on fire, and we're all trapped.

when animal thinks it's going to die, it gets panicky and starts to act crazy. But when it knows it's gong to die, it gets very, very calm.


- 죽음은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것이지만, 살아있는 사람에게 그 상실은 모두 다른 무게를 갖는 것 같다. 911에서 갑자기 아버지를 잃은 9살짜리 상상력 풍부한 소년 오스카는 그 상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아버지의 옷장안에서 찾아낸 열쇠의 자물쇠를 찾아 떠난다. 봉투에 써 있는 'Black'이라는 단어만 보고 뉴욕 주변의 성이 'Black'이라는 사람을 만나기 시작한다. 이 여행은 뜻밖에 상처를 안고 사는 많은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로 전개된다. 결국 열쇠는 아버지의 것이 아닌 다른 사람의 죽은 아버지가 남긴 열쇠이고, 그 사람은 이 열쇠를 찾아 이름도 모르는 오스카의 아버지를 찾아왔던 것으로 밝혀진다. 오스카는 그 사람이 기억하고 있는 단편적인 자신의 아버지에 대한 모습에 조금의 위안을 느끼게 된다.
   사람은 사람을 잃지만, 오직 죽음으로만 잃는 것은 아니다. 오스카의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이야기를 통해, 사람이 어떻게 사람을 잃고, 정말로 죽음으로 다시는 보지 못하개 되기 전에 우리가 다른 이에게 마지막 순간처럼 충실해야 함을 알려준다. 아들을 한 번도 보지 못하고 그리워하다가 그동안 썼던 편지를 오스카와 함께 (오스카에게 할아버지라는 것도 밝히지 못한채) 묘지를 파서 빈 관에 넣고 오는 오스카의 할아버지.

   읽는 중간 중간 마음이 너무 아파, 창 밖을 한참 바라보곤 했어야 했던 책.  (이 책은 줄거리보다는 한 줄 한 줄의 생각들에서 더 많은 무게를 갖는다. 작가의 위트넘치는 문장이 내용의 슬픔과 만나 묘한 조화와 감동을 이끌어내는 책.)

   여러명 화자의 나레이션이 윌리엄 포크너 (William Faulkner) 의 '내가 죽어 누워있을 때 (As I lay dying)'와도 닮아 있기도 하다. 사뭇 다른 어조의 조금은 같은 슬픔.

2012년 10월 1일 월요일

Siddhartha Mukherjee의 'The Emperor of All Maladies - A biography of Cancer' 중

Cancer, we now know, is a disease caused by the uncontrolled growth of a single cell. This growth is unleashed by mutations - changes in DNA that specifically affect genes that incite unlimited cell growth. In a normal cell, powerful genetic circuits regulate cell division and cell death. In a cancer cell, these circuits have been broken, unleashing a cell that cannot stop growing.

to live at the cost of our living. Cancer cells grow faster, adapt better. They are more perfect version of ourselves.

It was usually a matter of watching the tumor get bigger, and the patient, progressively smaller.
-John Laszlo-

To cure cancer (if it could be cured at all), doctors had only tow strategies: excising the tumor surgically or incinerating it with radiation - a choice between the hot ray and the cold knife.

In the airy ward of the Children's Hospital, doctors and patients fought their private battles against cancer. In the tunnels downstairs, Farber fought an even more private battle with his chemicals and experiments.

Now it is cancer's turn to be the disease that doesn't knock before it enters.
-Susan Sontag-

It is a disease of overproduction, of fulminant growth - growth unstoppable, growth tipped into the abyss of no control.

To confront cancer is to encounter a parallel species, one perhaps more adapted to survival than even we are.

invade, survive, and mestastasize. Every generation of cancer cells creates a small number of cells that is genetically different from its parents. When a chemotherapeutic drug or the immune system attacks cancer, mutant clones that can resist the attack grow out.

The genetic instability, like a perfect madness, only provides more impetus to generate mutant clones.

Imhotep, a great Egyptian physician who lived around 2625BC. (중략) "Therapy," he offered only a single sentence; "There is none."

karkinos, from the Greek word for "crab". The tumor, with its clutch of swollen blood vessels around it, reminded Hippocrates of a crab dug in the sand with its legs spread in a circle.

onkos, a mass or a load, or more commonly a burden.

The human body, Hippocrates proposed, was composed of four cardinal fluids called humors: blood, black bile, yellow bile, and phlegm. Each of these fluids had a unique color (red, black, yellow, and white), viscosity, and essential character. In the normal body, these four fluids were held in perfect, if somewhat precarious, balance. In illness, this balance was upset by the excess of one fluid.

For cancer, Galen reserved the most malevolent and disquieting of the four humors: black bile. (중략) You could cut cancer out, but the bile would flow right back, like sap seeping through the limbs of a tree.

In the winter of 1533, (중략) Without a map of human organs to guide them, surgeons were left to hack their way through the body like sailors sent to sea without a map - the blind leading the ill.

Pasteur had made a bold claim: the turbidity was caused by the growth of invisible microorganisms - bacteria. 

using the word radical in the original Latin sense to mean "root"; he was uprooting cancer from its very source. 
(재미있는 것은 화학에서 'radical'은 전자를 잃어 쌍을 이루지 못한 전자를 가지고 있어 반응성이 높은 매우 불완전한 원자나 분자를 일컫는다. 일반적을 라디칼은 발암물질이다.  같은 언어가 한 면에서는 치유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한 면에서는 병의 원인으로 사용되는 것이 흥미롭다.)

Marie Curie called the new element radium, from the Greek word for "light".

radiation produced cancers. The very effect of X-rays killing rapidly dividing cells - DNA damage - also created cancer-causing mutation in genes.

Cancer chemotherapy, consumed by its fiery obsession to obliterate the cancer cell, found its roots in the obverse logic: every poison might be a drug in disguise.

It was a snake-pit - only of cancer, a seething, immersed box coiled with illness, hope, and desperation.

Cancer, he insisted, was a total disease - an illness that gripped patients not just physically, but psychically, socially, and emotionally.

vincristine, amethopterin, mercaptopurine, and prednisone.  VAMP.

Doctors are men who prescribe medicines of which they know little, to cure diseases of which they know less, in human beings of whom they know nothing.
-Voltaire-

Carl Sternberg, was looking through a microscope at a patient's glands when he found a peculiar series of cells staring back at him: giant, disorganized cells with cleaved, bilobed nuclei - "owl's eyes," as he described them, glaring sullenly out from the forests of lymph. (중략) These owl's eye cells were malignant lymphocytes,

As with radiation, cytotoxic chemotherapy would thus turn out to be a double-edges sword: cancer-curing on one hand, and cancer-causing on the other.

I am not opposed to optimism, but I am fearful of the kind that comes from self-delusion. 
-Marvin Davis-

cancer chemotherapy
But the basic purpose is not to save that patient's particular life but to find means of saving the lives of others.

"When doctors say that the side effects are tolerable or acceptable, they are talking about life-threatening things."

I would rather be ashes than dust.
-Jack London-

Palliative care, the branch of medicine that focuses on symptom relief and comfort, had been perceived as the antimatter of cancer therapy, the negative to its positive, an admission of failure to its rhetoric of success. (중략)
Cecily Saunders. In the late 1940s, Saunders had tended to a Jewish refugee from warsaw dying of cancer in London. The man had left Saunders his life savings -L500- with a desire to be "a window in [her] home." As Saunders entered and explored the forsaken cancer wards of London's East End in the fifties, she began to decipher that cryptic request in a more visceral sense: she encountered terminally ill patients denied dignity, pain relief, and often even basic medical care - their lives confined, sometimes literally, to rooms without windows. These "hopeless" cases, Saunders found, had become the pariahs of oncology, unable to find any place in its rhetoric of battle and victory, and thus pushed, like useless, wounded soldiers, out of sight and mind. (중략)
If oncologists could not bring themselves to provide care for their terminally ill patients, she would leverage other specialists - psychiatrists, anesthesiologists, geriatricians, physical therapists, and neurologists - to help patients die painlessly and gracefully. (중략)
doctors were allergic to the smell of death. Death meant failure, defeat - their death, the death of medicine, the death of oncology.

Prevention is the Cure.

oral tabacco - could also cause lip, mouth, and throat cancer.

tar-stained bronchi and soot-blackened lungs.

Politicians were far more protective of the narrow interests of tobacco than of the broad interest of public health.

The lag time between tobacco exposure and lung cancer is nearly three decades, and the lung cancer epidemic in America will have an afterlife long after smoking incidence has dropped.

An ebullient, immaculately dressed young advertising executive who first started smoking to calm his nerves had to have his jaw bone sliced off to remove an invasive tongue cancer.
(과거의 담배의 유해성에 관한 논쟁에 있어서의 정치적 비호가 있었던 것처럼, 현대의 발암원인에 대한 정치적 침묵이 있는 것이 아닐까 의심한다. 암, 불임, 등에 전자파의 기여가 아직 확실히 규명되지 않은 상황에서 일상에 너무도 깊이 침투한 셀폰, 블루투스, 무선통신망, 컴퓨터 등의 사용과 그 기업의 거대함이 과거 담배 회사의 그것과 너무도 비슷하다. 아마도 백년 정도 지나 전자파의 유해가 확실히 밝혀지고 나서야 지금의 무지함/무관심함이 드러나지 않을까 싶다. 
나노Nano-도 마찬가지이다. 표면적이 넓어진 나노 물질은 작은 양으로도 극대화된 효과를 갖는다. 그러다면 지금 밝혀지지 않는 유해성이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도 극대화하는 것이다. 또한, 나노 오염이 되었을 때, 흡입하거나 피부에 닿거나 환경으로 흘러들어갔을때, 이 물질을 회수하거나 정화하는 것은 거의 통제 불가능하다. 만약 나노로 사용하고 있는 물질중 몇가지가 발암물질이라면 인간 스스로 암을 극대화된 효과로 조장하고 있는 것이라는 생각.)

Cancer therapy is like beating the dong with a stick to get rid of his fleas.
-Anna Deavere Smith - 

"Left to myself, I would not event try. I'm doing this because of the kids."

Hippocrates tells us, "and life is short; opportunity fleeting' the experiment perilous; judgement flawed."

A Distorted Version of Our Normal Selves.

These leukemia cells have come into my laboratory from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where they were grown and studied for nearly three decades. (중략) The cells, technically speaking, are immortal. The woman from whose body they were once taken has been dead for thirty years.

Cancer was not disorganized chromosomal chaos. It was organized chromosomal chaos: specific and identical mutations existed in particular forms of cancer.

In his book Invisible Cities, Italo Calvino describes a fictional metropolis in which every relationship between one household and the next is denoted by a piece of colored string stretched between the two houses. As the metropolis grows, the mesh of strings thickens and the individual houses blur away. In the end, Calvino's city becomes no more than an interwoven network of colored strings.

"Survivors look back and see omens, messages they missed."

The landscape of carcinogens is not static either. We are chemical apes: having discovered the capacity to extract, purify, and react molecules to produce new and wondrous molecules, we have begun to spin a new chemical universe around ourselves. Our bodies, our cell, our genes are thus being immersed and reimmersed in a changing flux of molecules - pesticides, pharmaceutical drugs, plastics, cosmetics, estrogens, food products, hormones, even novel forms of physical impulses, such as radiation and magnetism. Some of these, inevitably, will be carcinogenic. We cannot wish this world away; our task, then, is to sift through it vigilantly to discriminate bona fide carcinogens from innocent and useful bystanders.

In 500 BC, in her own court, Atossa self-prescribes the most primitive form of a mastectomy, which is performed by her Greek slave. Tow hundred years later, in Thrace, Hippocrates identifies her tumor as a karkinos, thus giving her illness a name that will ring through its future. Claudius Galen, in AD 168, hypothesizes a universal cause: a systemic overdose of black bile - trapped melancholia boiling out as a tumor.

The Greeks used an evocative word to describe tumors, onkos, meaning "mass" and "burden". 
But if one looks back even further behind the Greek to the ancestral Indo-European language, the etymology of the word onkos changes. Onkos arises from the ancient word nek. And nek, unlike the static onkos, is the active form of the world load. It means to carry, to move the burden from one place to the next, to bear something across a long distance and bring it to a new place. 

"Cancer breaks some families and makes some," Germaine said. "In my case, it did both."


- 두달 반에 걸쳐서 정말 자세히 읽었다. 
어쩔 수 없는 암. 미친 생명력을 자랑하는 암. 
어찌 보면 암은 현대사회의 개인이나 사회와 너무도 닮아있다. 성장만을 강조하는 현대 사회처럼, 존재의 이유나 목적은 무시된 채, 그저 커져만 갈 것을 요구하는 사회에서 개인들이 몸 속에 성장을 멈추지 못하는 암을 키우는 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본문에서 여러번 되풀이되는 문장처럼 암은 우리자신과 너무도 닮아있는 광기의 자기복제판인지도 모르겠다.
개인에게 암을 진단받는 것은 단순히 병에 걸리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저주받는 것이다. 암에 걸리기 이전과 이후는 확연히 다르다. 저주를 푸는 주문은 아직 과거 마녀의 주술과도 흡사하게 모호하다. 모호한 희망은 잔인하다. 초대도 없이 삶에 들어와 버린 저주를 안고 살다가 안고 죽어야 하는 것이다. 선택의 범위는 '어떻게'라는 문제만에 국한되어 있다.


2012년 9월 17일 월요일

Elizabeth Strout의 'Olive Kitteridge' 중

"A man's wife accompanying him to church?" Going without her seemed a public exposure of familial failure.
"교회에 아내를 데리고 가는 것?" 아내 없이 교회에 남자 혼자 가는것은 마치 가족의 실패를 노출시키는 것처럼 보였다.

"You have no idea how tired I am, teaching all day, going to foolish meetings, where the goddamn principal is a moron! Shopping. Cooking. Ironing. Laundry. Doing Christopher's homework with him! And you-" She had grabbed on to the back of a dining room chair, and her dark hair, still uncombed from its night's disarrangement, had fallen across her eyes. "You, Mr. Head Deacon Claptrap Nice Guy, expect me to give up my Sunday mornings and go sit among a bunch of snot-wots!" Very suddenly she had sat down in the chair. "Well, I'm sick and tired of it," she'd said, calmly. "Sick to death."
"당신은 내가 얼마나 피곤한지 몰라, 하루종일 가르치고, 회의하고, 그 지랄맞은 교장이 있는 학교서 말이야. 장보기. 요리. 다림질. 크리스토퍼 숙제 도와주기! 근데, 당신은-" 그녀는 식탁의자의 등받이를 쥔 채, 어젯밤 잠자리에서 그대로 나온 빗질도 안 한 머리를 한채, 그 어두운 갈 색 머리를 한 채 눈을 내려떴다. "당신, 그 잘난 착한 사람 대표인 당신이, 내 일요일을 포기하고 그 코딱지 같은 사람들속에 앉아있으란 말이야!" 그녀는 갑자기 의자에 앉았다. "어쨌거나, 난 너무 지치고 피곤해," 그녀가 조용히 말했다. "지겨워 죽을 지경이라고."

He wondered what in her young life had made her not trust happiness; ......it was part of being Catholic - you were made to feel guilty about everything.
그는 그녀의 젊은 인생의 무엇이 행복을 믿지않게끔 만들어졌는지 의문했다...... 아마도 어떤 부분은 가톨릭인 것 때문인지도 몰라 - 모든 것에 죄의식을 느끼게 만들거든.

Weeping willows were down there on the bank, their swooping, airy boughs a light, bright green.
버드나무가 가벼운 밝은 연두색의 가지를 내려뜨린 채 둑을 바라보고 서 있었다.

"Always nice to hear other people's problems,"
다른 사람의 문제를 듣는 건 항상 나쁘지 않아.

Who, who, does not have their basket of trips?
누가, 도대체 누가, 가고 싶은 여행들을 모아놓은 바구니를 가슴에 간직하지 않고 있겠어?

It was like having more candy than other people, or getting stars on homework papers - to have the mother who looked the best.
가장 예쁘게 보이는 엄마를 가진 건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이 사탕을 가지거나 숙제에 별표들을 받는 거랑 비슷한 일이었다.

It had been huge, hanging over the water like something swollen.
그것은 (달은) 물 위에 거대하게 부풀은 것처럼 드리워져 있었다.

And so, if this man next to her now was not a man she would have chosen before this time, what did it matter? He most likely wouldn't have chosen her either. But here they were, and Olive picture two slices of Swiss cheese pressed together, such holes they brought to this union - what pieces life took out of you.
그래서, 전에 내가 골랐었을 사람이 지금 내 옆에 있는 사람이 아니라면, 무슨 상관이람? 그도 역시 나를 선택하지는 않았었을 텐데 뭐. 그러나, 그들은 여기에 있다. 올리브는 두 개의 구멍이 숭숭난 스위스 치즈가 합쳐진 것을 상상했다. 인생이 앗아간 구멍들을 가진 그들이 하나로 합쳐진 모습을.


- 사소한 감정들, 인생을 살면서 느끼는 사소한 감정들, 이 감정들이 쌓여서 노년이 되었을 때 어떤 모습이 될까?
이 소설은 미국 중산층 사람들의 가벼운 듯한 일상을 묘사하면서 개인이 느끼는 미묘한 감정들이 무겁게 고여있다. 크게 말하여지지지 않는 일들은 세월이 흐름에 따라 깊은 상처로 익어가고, 노년에는 이상한 발작처럼 터져나오기도 한다.
나의 주변의 누군가를 닮은 인물들속에, 이상한 불안감과 애닮음을 가지고 읽게 민드는 소설.

2012년 8월 26일 일요일

이태형의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 중

한비야
한비야는 사막에서는 밍크코트를 벗어야 한다고 말했다. 좋은 비유였다. 모든 사람들이 밍크코트를 입으려 노력한다. (중략) 그런데 사막에서 밍크코트를 입은 사람이 살 길은 벗는 것이다. 벗어야 산다.

혜민
이 세상에서 가장 편안한 자세로 30분만 있어보세요. 그 편한 자세가 불편한 자세로 변합니다. 무엇이든 좋은 것이라 해도 영원히 좋은 것은 아니라는 것이지요. 모든 것이 불교식으로 말하면 무상합니다.

댈러스 윌라드 박사를 만났을 때 그가 던진 화두인 '생각을 생각하라'를 놓고 깊이 고민한 적이 있었다.

사상이나 종교를 들이대면 사람을 보지 못합니다. 위험합니다.

사람 한 명 한 명을 난로 다루듯이 해야 합니다. 너무 가깝지도, 너무 멀지도 않아야 합니다.

간절히 원하면 보게 되고, 이뤄지더라구요, 사모함이 중요한 것 같아요.

김난도
아, 그래서 사무엘 울만은 '청춘은 인생의 한 시기가 아니라 마음의 상태'라고 했나 보다.

청춘은 준비하는 시기입니다. 준비하는 자는 아름답지요. 문제는 그 준비를 너무 일찍 끝내 버리고 싶어 한다는 데 있습니다. 인생에서 모든 것을 가졌다고 자부하는 기간은 없습니다. 준비하는 한, 청춘입니다.

김 교수에게 노년은 더 이상 준비하지 않는 시기다. 사람들은 목표나 꿈이 있을 때 준비한다. 늙었다는 것은 더 이상 목표가 없는 상태, 꿈꾸지 않는 시기, 가진 것을 소비만 하려는 순간을 의미한다. 그때 사람들은 '노인'이 되는 것이다.

김용택
행복이란 혼자 잘 먹고 잘 사는 것을 은연중 주입시키는 우리 사회의 야만적 가치에서는 발견될 수 없다.

지금을 귀하고 소중하게 가꾸다 보면 내가 생각지도 않은 일들이 온다.

어머니는 엄마이기를 포기했습니다. 아이들을 학원에 다 맡겨 버렸습니다.

이어령
꿈도 꾸지 못했던 삶을 살기 위해 지금까지의 성공을 버리고 다시 삶을 사는 사람들이 영웅이고 진정한 성공자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진짜 성공은 영원히 성공할 수 없는 목표를 향해 끝없이 가는 것입니다.

정진홍
늙음과 더불어 성숙이 기계적으로 따라오지 않는다는 것이 일흔을 넘긴 정 교수의 발견이다.
오히려 욕심은 가시지 않고, 가슴앓이도 삭지 않는다. 미움은 여전하다. 고집은 신념이란 이름으로 더 질겨진다. 후회도 점점 커진다. 초조와 불안, 분노가 일상을 충동하는 깊은 정서가 된다. 고독과 슬픔, 소외는 철저하게 구체적이며 현실적이 된다.

영감이 끊기고, 정신이 냉소의 눈에 덮일 때, 비탄의 얼음에 갇힐 때, 그대는 스무 살이라 하더라도 늙은이라네. 그러나 머리를 높이 들고 희망의 물결을 붙잡고 있는 한, 그대는 여든 살이어도 늘 푸른 청춘이라네. 
(울만의 시 '청춘' 중)

인생의 나이테는 이미 다 그려져 있습니다. 살아 있을 때 좋은 친구들을 많이 만드세요.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좋은 친구가 되세요.

고은
고은 시인은 그야말로 책과 그림들에 파묻혀 살고 있었다.

"밥이 맛있고, 술이 맛있고, 책이 맛있습니다."

임지호
"진화하기 위해서는 꼬리를 잘라 버려야 합니다. 뒤를 돌아보는 인생이 되어서는 앞으로 전진하지 못합니다. 진화는 홀로 있을 때 이뤄집니다. 정말 큰 수행의 척도는 솔로냐, 아니냐의 여부에 달려 있습니다. 반드시 홀로 있어야 합니다. 홀로 고독 가운데 있을 때, 번잡한 세상 속에서 보이지 않던 어떤 것이 보입니다. 그 뭔가를 찾아내는 것이야말로 좋은 샘에서 물을 떠먹는 것과 같습니다. 진짜 좋은 것을 얻고 싶으세요? 홀로 떠나십시오. 모든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에 있다 보면 진정으로 좋은 것을 얻기 힘듭니다."

김남조
잘 보는 것은 자세히 보는 것이 아니라 전체를 보는 것입니다.

강영우
석 여사는 미국 인디애나 주 공립학교 종신교사로 28년간 근무했다. 시각장애인 남편을 내조하고 아이들을 훌륭히 키우면서도 자신의 일을 유지했던 것이다.
"아내와 어머니로서의 역할이 있듯, 여성으로서의 역할이 있습니다. 사실 아이들이야말로 모든 희망이었지요. 그러나 여성으로서의 내 꿈도 중요했습니다. 세상에 소중하지 않은 꿈은 없습니다."

그가 말한 일곱 가지 원동력은 '자신감과 자존감, 선명한 비전과 목표, 긍정적 마음, 컴패션, 소통의 능력,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끈기, 창의력과 집중력'이다.

'Nowhere(아무데도 없다)'에서 스페이스 바 하나만 치면 'Now here(지금 여기에 있다)'로 바뀝니다.

- 한국에서 소포로 날아온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이라는 제목을 가진 이 시대의 대표 지성들의 소중한 생각들을 담은 글. 나에게 이 책 속의 언어들이 필요하리라 생각되서 보내준 친구의 마음이 소중하다.
  여러 다른 사람들의 생각이 모여 있기에 공감에 고개를 끄덕이기도, 나와 다른 생각에 고개를 갸웃거리기도 하면서, 좋은 글 밑에 밑줄을 치면서 읽었다. (하고 있는 작업 관계로 당분간 한국어로 된 책을 읽지 않으려 노력중이지만, 이 책은 예외!)
  길다하면 길고, 짧다하면 짧을 수도 있는 것이 한 인간의 생이겠지만, 그 생의 모든 것은 결국 자신, 스스로에게 달려 있다는 생각을 하며. 오늘의 나의 발자국이 옳은 것인가라고 한 번 돌아보고, 내일의 걸음을 생각하게 만들어주는 바늘이 여러 개 달린 나침판 같은 책을 만났다.

2012년 7월 18일 수요일

카뮈의 '시지프 신화' 중 2

부조리한 인간

그는 또한 위대한 사랑으로 말미암아 자신의 인생을 등진 사람들은 스스로 풍성해질지 모르되 그들이 사랑의 대상으로 택한 사람들을 필경 가난하게 만들리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어머니라든가 정열적인 여인은 필연적으로 메마른 마음을 가지고 있기 마련이다. 왜냐하면, 그들의 마음은 세상을 등지고 있기 때문이다. 단 하나의 감정, 단 하나의 존재, 단 하나의 얼굴뿐, 다른 모든 것은 다 탕진되고 없는 것이다. (중략)
그에게 중요한 것은 똑똑히 보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 자신을 어떤 존재와 맺어주는 힘을 사랑이라고 부르지만 그것도 오직 책이나 전설이 만들어낸 어떤 집단적으로 바라보는 방식에 비추어보면서 그렇게 부르는 것이다. (중략) 부조리의 인간은 여기서도 하나로 통일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화된다. 이리하여 그가 발견하게 되는 새로운 존재방식은 적어도 그 방식에 접근하는 사람들을 해방시키는 것 못지않게 그를 해방시켜주는 것이다. 스스로 덧없는 것인 동시에 둘도 없는 것을 의식하고 있는 사랑만이 너그러운 사랑이다.

신에게 찾아가서 무슨 은신처를 구한다는 말인가? 오히려 그것은 전적으로 부조리에 사무쳐 있었던 삶의 논리적 귀결이요, 내일 없는 기쁨을 향해 치닫던 존재의 성난 결말을 구상화하여 보여준다.

그러나 영광이란 모두가 다 덧없는 것이다. 시리우스 별에서 내려다본다면 괴테의 수많은 작품들도 1만 년 후에는 티끌로 변할 것이요 그의 이름은 잊혀질 것이다. (중략) 이 생각을 천착해 보노라면 우리의 소란스러운 몸부림이 줄어들게 되고, 그리하여 무관심 속에서 얻을 수 있는 심오한 고귀함에 이르게 된다. (중략) 모든 영광들 중에서 가장 속임수 없는 것은 몸소 살아가는 영광이다.

햄릿은 말한다. "피와 판단이 너무나도 야릇하게 서로 뒤섞인 나머지, 운명의 손가락이 제멋대로 노래 부르게 하는 피리가 되지 않는 사람들은 복 있을지어다." 라고.

니체는 말한다. "중요한 것은 영원한 삶이 아니라 영원한 생동감이다."라고.

내가 개인을 이토록 소중히 여기는 것은 오로지 개인이라 보잘것없고 비천한 존재로 보이기 때문이다. 승리로 끝날 대의들이란 존재하지 않음을 알기에 나는 패배로 끝날 대의들을 귀하게 여기는 것이다. (중략)
관조와 행동 중 어느 하나를 택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시대가 늘 찾아오게 되어 있다. 인간이 된다는 것은 바로 그런 것이다. 이 찢어짐은 끔찍하다. 그러나 자부심을 가진 마음에게 중간이란 있을 수 없다. 신이나 시간이냐, 십자가냐 칼이냐가 있을 뿐이다. (중략) 나는 타협하여 시대 속에 살면서 영원을 믿을 수도 있다는 것을 단다. 이를 가리켜 동의라고 한다. 그러나 나는 이 말을 혐오한다. 나는 전체 아니면 무를 원한다.

약하고 상처받기 쉬운 이 세계 안에서 인간적인, 오직 인간적인 것에 불과한 것은 무엇이든 보다 뜨거운 의미를 갖게 된다는 것을 어찌 깨닫지 못하겠는가. 긴장된 얼굴들, 위협받는 동지애, 인간들 상호간의 지극히 강하고 수줍은 우정, 이러한 것들이야 말로 진정한 부(wealth)인 것이다.

만약 슬기롭다는 말이, 갖지도 않은 것에 대한 공상에 빠지는 것이 아니라 가진 것만으로 살아가는 인간에 적용될 수 있다면, 그들이야말로 슬기로운 사람들이라 하겠다. 

여하간 부조리의 추론에 보다 뜨거운 체온이 담긴 모습들을 회복 시켜줄 필요가 있었다. 상상력을 발휘해본다면, 미래도 없고 그렇다고 약해지지도 않는 세계의 척도에 따라 살 줄 아는, 시간에 얽매이고 적지에 발목 잡힌 또 다른 많은 얼굴들을 거기에 추가해볼 수도 있다. 그러면 신 없는 이 부조리의 세계는 분명하게 생각하고 아무런 희망도 갖지 않는 사람들로 가득 찰 것이다.


부조리한 창조

중요한 것은 부조리와 더불어 살아 숨쉬는 것이고 그것이 주는 교훈을 알아차리고 그 피와 살을 재발견하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 부조리한 즐거움의 전형은 다름 아닌 창조이다. "예술, 오로지 예술. 진리로 인하여 죽지 않는 방법으로 우리들은 예술이란 것을 가지고 있다."라고 니체는 말했다.
(중략) 그러나 매순간 긴장을 풀지 않은 채 세계와 맞대면하고 그리하여 질서 있는 광란 속에서 모든 것을 다 맞아들이는 인간은 그의 마음속에서 또 다른 열기가 솟아오르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것은 자신의 체계 '한복판'에 갇혀 있는 철학자와 자신의 작품만 '쳐다보고' 있는 예술가 사이에서 제기되는 모순에 대한 것이다. (중략)
부조리한 창조자는 자신의 작품에 집착하지 않는다. 그는 작품을 포기할 수도 있다.

진정한 작품은 본질적으로 '더 적게' 말하는 작품이다. (중략) 작품이 경험속에서 도려낸 한 토막, 내면의 광채가 집약되어 있으면서도 제한됨이 없는, 다이아몬드의 한 조각에 불과할 때 이 관계는 좋은 것이다. (중략) 예술가란 무엇보다 먼저 잘 살 줄 아는 사람이다. 물론 여기서 산다는 것은 깊이 생각하는 것 못지않게 느낀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졸렬한 소설이 많다고 해서 가장 훌륭한 소설들의 위대함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 길에서 쓰러지는 사람은 살아남을 자격이 없었던 것이다.

소설가는 이제 더 이상 '이야기'를 지어내어 들려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우주를 창조한다. 위대한 소설가는 철학적 소설가다. 다시 말해서 경향소설가의 반대이다. 발자크, 사드, 멜빌, 스탕달, 도스토예프스키, 프루스트, 말로, 카프카 등은 그런 소설가의 몇 가지 예라고 하겠다.

설명을 하고 싶은 유혹이 가장 강한 세계가 창조인데 거기서 과연 우리는 그 유혹을 이길 수 있을 것인가? 현실 세계의 의식이 가장 강한 곳이 이 허구의 세계인데 과연 나는 결론을 내리고자 하는 욕망에 굴하지 않은 채 끝까지 부조리에 충실할 수 있겠는가? 마지막 남은 힘을 다하여 숙고해보아야 할 문제들은 바로 이런 것들이다. (중략) 사람은 너무나도 쉽게 습관에 젖어든다. 사람은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 돈을 벌려고 하는데 인생의 모든 노력과 최상의 몫이 이 돈벌이에만 집중되어버린다. 행복은 잊혀지고 수단이 목적으로 변한다. (중략) 인간의 마음속에서 집요하게 되살아나는 것이 희망이다. 가장 헐벗은 인간들도 이따금 환상에 동의하고 만다. (중략) 이리하여 빛의 제신과 진흙의 우상이 생긴다. 그러나 진정으로 찾아내어야 할 것은 인간의 얼굴들로 인도하는 중간의 길이다.

따라서 키릴로프는 자신을 희생시킨다. 그러나 비록 그는 십자가에 못박힌다 해도 속아넘어가지는 않을 것이다. 그는 죽음 다음에 미래란 없다는 것을 확신하고 복음적 슬픔에 사무친 채 신-인간으로 머무른다.

그는 공허를 자신의 색채로 물들여야 한다.

의지가 곧 기적을 이룬다.

즉, 인간 조건에 대한 집요한 반항, 불모의 것인 줄 잘 알고 있으면서 노력을 계속하는 불굴의 인내가 그것이다. 창조는 나날의 노력, 자기 억제, 진리의 한계들에 대한 정확한 판단, 절도와 힘을 요구한다. 그것은 그 자체가 하나의 고행이다. 그런 모든 것이 '쓸데없는 것을 위해서' 이고 끝없이 되풀이하고 제자리걸음하기 위해서인 것이다. 그러나 아마도 위대한 작품은 그 자체가 중요하다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이 인간에게 요구하는 시련과, 또한 인간이 그의 망령들을 이겨내고 자신의 적나라한 현실에 더욱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기회를 그에게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것이리라. 

이는 그들 삶의 부조리를 깨달음으로써 지나칠 만큼 열광하며 삶 속에 뛰어들게 되는 것과 같다. 남은 것은 운명이다. 오직 운명의 결말만이 숙명적이다.


시지프 신화

신들은 시지프에게 바위를 산꼭대기까지 끊임없이 굴려 올리는 형벌을 내렸었다. 그런데 이 바위는 그 자체의 무게 때문에 산꼭대기에서 다시 굴러 떨어지곤 했다. 무용하고 희망 없는 노동보다 더 끔찍한 형벌은 없다고 그들이 생각한 것은 일리 있는 일이었다.

신들에 대한 멸시, 죽음에 대한 증오, 그리고 삶에 대한 열정은 아무것도 성취할 수 없는 일에 전 존재를 다 바쳐야 하는 형용할 수 없는 형벌을 그에게 안겨주었다. 이것이 이 땅에 대한 정열을 위하여 지불해야 할 대가에다.

이 신화가 비극적인 것은 주인공의 의식이 깨어 있기 때문이다. (중략) 오늘날의 노동자는 그 생애의 그날 그날을 똑같은 일에 종사하며 한다. 그 운명도 시지프 못지않게 부조리하다. (중략) 멸시로 응수하여 극복되지 않는 운명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바로 저 정상에서 되돌아 내려오는 걸음, 잠시 동안의 휴식 때문에 특히 시지프는 나의 관심을 끄는 것이다. (중략) 나는 이 사람이 무겁지만 한결같은 걸음걸이로, 아무리 해도 끝장을 볼 수 없는 고통을 향하여 다시 걸어 내려오는 것을 본다. 마치 내쉬는 숨과 같은 이 시간, 또한 불행처럼 어김없이 되찾아오는 이 시간은 곧 의식의 시간이다. 그가 산꼭대기를 떠나 제신의 소굴을 향하여 더 깊숙이 내려가는 그 순간순간 시지프는 자신의 운명보다 더 우월하다. 그는 그의 바위보다 더 강하다.
시지프의 말 없는 기쁨은 송두리째 여기에 있다. 그의 운명은 그의 것이다. 그의 바위는 그의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부조리한 인간이 자신의 고통을 응시할 때 모든 우상은 침묵한다. (중략) 부조리한 인간의 대답은 긍정이며 그의 노력에는 끝이 없을 것이다. (중략) 그 외의 것에 관한 한, 인간은 스스로 자신이 살아가는 날들의 주인이라는 것을 안다. (중략) 이렇게, 인간적인 모든 것은 완전히 인간적인 근원을 가지고 있음을 확신하면서, 보고자 원하되 밤은 끝이 없다는 것을 아는 장님인 시지프는 지금도 여전히 걸어가고 있다. 바위는 또다시 굴러떨어진다.


- 산다는 것은, 의식이 깨어 산다는 것은, 어찌보면 잔인한 일이다. 세상이라는 감옥에 갇힌 사형수와도 같은 입장이다. 설령 감옥 밖에 다른 세상이 있다 하더라도 죽기 전에는 나갈 수 없는 사형수에게는 그 밖의 세상은 아무 의미도 없는 것이다. 있는 것은 현재와 자신, 그 뿐이다. 카뮈가 말하는 '몸소 살아가는 영광'의 의미는 여기에 있다. 그 외에는 중요치 않다.
  카뮈가 비유한 시지프, 현재를 살아가는 많은 시지프들, 그들은 매일 자신의 돌을 굴려올리고 있다. 모든 형벌을 받은 자들이 시지프는 아닐 것이다. 어떤 이들은 비탄에 잠겨 모든 것을 놓아버릴 수도 있고, 원망과 애원을 할 수도 있으며, 사죄의 눈물로 사면을 바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위대한 인간의 대변자, 시지프는 묵묵히 돌을 굴려 올린다. 그는 자신의 운명을 알면서도 저항하지 않고 성실히 자신의 운명을 살아가는 것이다. 그 운명의 의미는 그의 발걸음, 그의 고통, 그의 생각, 그의 한숨, 그의 상상, 그의 추억 속에 모두 녹아있는 것이다. 존재 자체만으로도 어떠한 부조리한 상황에 맞서든 인간은 그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절대적 가치는 오늘의 삶이, 깨어있음이 무엇보다도 소중하게 만들어주는 힘을 지니고 있다.

  창조에 대한 카뮈의 견해는 내가 생각해왔던 것과 너무도 일치한다. 그러나, 혼자만 스스로의 생각을 끊임없이 의심하지 않을 수 없던 나에게 든든한 지원군이다. 동의하지 않고, 희망하지 않고, 명료한 의식으로 써내려가야 할 성실한 사명, 부조리 속에서도 맺히는 열매! 비록 썩어 사라질지라도 현재의 삶을 살아나가는 인간의 위대한 의지가 바위를 굴려 올린다. 굴러떨어질지라도 정상을 향해 굴려지는 바위들을 목격하게 될 것이다. 바위는 다시 굴러떨어지더라도 인간들이 흘린 땀과 피의 냄새가 언제나 천지에 진동할 것이다. 그 냄새에 신들이 기절초풍하더라도!


카뮈의 '시지프 신화' 중 1

부조리의 추론

자살은 어떤 의미에서 그리고 멜로드라마에서처럼 하나의 고백이다.  그것은 삶을 감당할 길이 없음을, 혹은 삶이 이해할 수 없음을 고백하는 것이다.

물론 내가 여기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자기 자신을 속이지 않을 용의가 있는 사람들의 경우에 한한다.

비극적인 일을 진지하게 여기지 않는 이러한 태도는 그리 걱정할 일은 아니지만 결국 그 사람됨을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

한 인간이 자신의 삶에 대해서 가지는 애착에는 이 세상의 모든 비참보다도 더 강한 그 무엇이 있다. 육체가 내리는 판단도 정신이 내리는 판단 못지않은 가치가 있는 것이다. 육체는 소멸의 위협과 마주치면 뒤로 물러선다. 우리는 생각하는 습관보다 살아가는 습관을 먼저 배워서 익힌다.

이 시론의 제3의 치명적인 회피는 다름 아닌 희망이다. 내세의 삶(우리가 그 삶을 얻을 '자격을 갖추도록'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에 대한 희망, 혹은 삶 그 자체를 위해서가 아니라 어떤 거창한 관념, 삶을 초월하고 그 삶을 승화시키며 삶에 어떤 의미를 주며 삶을 배반하게 되는 어떤 거창한 관념을 위해서 사는 사람들의 속임수 말이다.

논리적이 되기는 언제나 쉬운 일이다. 그러나 궁극에까지 논리적이 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중략) 과연 죽음에 이를 정도의 논리란 존재하는 것일까 하는 문제가 그것이다. 나는 걷잡을 수 없는 감정에 휩쓸리는 일 없이, 자명함이라는 단 하나의 빛 속에서, 내가 여기 그 기원을 지적하고 있는 추론을 진행시킴으로써만 그에 대한 답을 알게 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실천에 옮긴 것은 가장 순순한 반항의 형태인 사유의 자살이었다. 참다운 노력이란 포기하는 쪽이 아니라 오히려 가능한 한 그곳에 살아 남아 버티면서 멀고 구석진 고장에 서식하는 괴이한 식물들을 가까이에서 관찰하는 일이다.

하이데거의 표현을 빌리건대, 단순한 '관심'이 모든 것의 기원인 것이다.

이와 같은 식으로, 광채 없는 삶의 하루하루에 있어서는 시간이 우리를 떠메고 간다. 그러나 언젠가는 우리가 이 시간을 떠메고 가야 할 때가 오기 마련이다. (중략) 그는 내일을 바라고 있었던 것이다. 그의 전 존재를 다하여 거부했어야 마땅한 내일을. 이러한 육체의 반항이 바로 부조리다.

그보다 한 단계 내려가면 나타나는 것이 낯설음이다. 즉, 세계가 '두껍다'는 것을 깨닫게 되고, 하나의 돌이 얼마나 낯선 것이며 우리에게 얼마나 완강하게 닫혀 있는 것인가를, 그리고 자연이, 하나의 풍경이 우리를 어느 만큼 고집스럽게 부정할 수 있는가를 알아차리게 되는 것이다. (중략) 한동안 우리는 더 이상 세계를 이해하지 못하게 된다. 왜냐하면 여러 세게 동안 우리는 우리 스스로 그 세계에 미리부터 부여해놓은 모습과 윤관만을 이해해왔기 때문이며, 이제부터는 그러한 인위적인 수단을 행사할 힘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중략) 그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갑자기 우리를 그토록 고독하게 만드는 것을 원하게 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아직 그때는 오지 않았다. 단 하나의 사실만 말해두자. 즉 세계의 낯설음과 두꺼움, 이것이 바로 부조리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마치 죽음 같은 것을 '전연 몰랐다'는 듯이 살고 있는 것은 정녕 놀라고도 남을 만한 일이다.

나는 도대체 누구에 대해서, 무엇에 대해서 '그것을 알고 있다'라고 말할 수 있겠는가? 내 속의 이 마음, 나는 이 마음을 느낄 수 있으며 이것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이 세계, 나는 이 세계를 만져볼 수 있으며 이것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나의 모든 지식은 여기서 멈춘다. 그밖의 것으 조작이다. 왜냐하면, 가령 나 잔시도 확신하고 있는 터인 자아를 막상 포착해보거나 정의하고 요약해보려고 들면, 이 자아는 그만 손가락 사이로 새어나가는 물에 불과한 것이 되니 말이다. (중략) 내 것인 이 마음 자체조차 나에게 영원히 정의될 수 없는 것으로 머물 것이다. 내가 나의 존재에 대하여 갖는 확신과 내가 그 확신에 부여하려는 내용 사이에 가로놓인 단층은 결코 메워질 수 없을 것이다. 영원히 나는 나 자신에 게 이방인일 것이다. 심리학에 있어서든 논리학에 있어서든, 여러 가지 진리들은 있으나 유일한 진리는 없다.

또 다른 예로, 여기 나무들이 있다. 나는 그 꺼칠꺼칠한 촉감이나 물기를 알고 있으며 그 맛을 느낀다. 여기 이 풀잎과 별들의 냄새, 밤, 마음이 느긋해지는 저녁나절들, 내가 이토록 저력과 힘을 실감하는 터인 이 세계의 존재를 어찌 부정할 수 있겠는가? 그러나 지상의 모든 지식은, 이 세계가 나의 것이라고 확신시켜줄 만한 것이라곤 아무것도 제동하지 못할 것이다. (중략) 이렇듯 나에게 모든 것을 다 가르쳐줄 것 같던 과학은 가설로 끝나고, 저 명증성은 비유속으로 가라앉고 저 불확실성은 예술작품으로 낙착되어버린다. 무엇 때문에 나는 그 많은 노력을 했던가? 차라리 저 산들의 부드러운 곡선과 어수선한 가슴 위에 얹혀 놓이는 저녁의 손길이 세계에 대하여 내게 훨씬 더 많은 것을 가르쳐준다. (중략) 만일 내가 과학을 통하여 제반 현상들을 파악하고 열거할 수 있다 할지라도 그것으로써 세계를 포착할 수 없다는 것을 나는 깨닫는다. 내가 이 세계의 들어가고 나온 기복을 손가락으로 남김없이 다 더듬어본 후라 할지라도 역시 내가 더 알게 된 것은 아무것도 없을 것이다. (중략) 바란다는 것, 그것은 곧 온갖 역설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태평함, 마음의 졸음 또는 치명적인 체념이 주는 이 중독된 평화가 생겨날 수 밖에 없도록 모든 것이 다 골고루 갖추어져 있는 것이다.

하이데거는 인간 조건을 냉철하게 고찰한 다음, 실존은 굴욕적인 것이라고 단언한다. (중략) 그 역시, 잠들어서는 안 되며 마지막 다할 때까지 깨어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 그는 이 부조리한 세계 안에서 버티면서, 소멸할 수밖에 없게 되어 있는 세계의 성격을 밝혀낸다. 그는 폐허의 한복판에서 자신의 길을 찾고 있는 것이다.

나는 모든 것에 대한 설명을 얻어내거나 아니면 무, 둘 중의 하나를 원한다. (중략) 그러나 열망뿐인 사람들은, 어느 것 하나 분명한 것이 없고 모두가 혼돈이며, 인간이 가진 것이라고는 오직 스스로의 명증성과 자신을 에워싸고 있는 벽에 대한 명확한 인식뿐임을 공언한다.
(중략) 부조리는 인간의 호소와 세계의 비합리적 침묵 사이의 대면에서 생겨난다. 바로 이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바로 여기에 꼭 매달려야 한다. 한 일생의 모든 귀결이 송두리째 그것으로부터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숨막히는 하늘 아래서 살게 되면 거기서 빠져나오든가 아니면 그곳에 버티고 있든가 양자택일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니까 중요한 것은 전자의 경우, 어떻게 하면 거기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가를, 그리고 후자의 경우, 무엇 때문에 거기에 머물러 있어야 하는가를 알아내는 일이다.

기독교란 스캔들이다. 키에르 케고르가 한결같이 요구하는 것은 이냐시오 데 로욜라가 요구했던 제3의 희생, 신이 가장 기뻐하시는 '이지의 희생'이다.

적어도 이해할 수 없는 것을 바탕으로 해서는 아무것도 세우고 싶지 않다. 나는 내가 알고 있는 것, 오로지 그것만 가지고도 살 수 있는지를 알고 싶은 것이다. (중략) 다만 나는 지성이 명석함을 잃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중간적인 길을 고수하고자 할 따름이다. 바로 이 점이 오만이라 할지라도 그것을 포기해야만 할 이유를 나는 알지 못한다. 

문제는 부조리의 상태, 그 안에서 사는 일이다. (중략) 무엇이 진실인가를 찾는 것은 무엇이 바람직한가를 찾는 것과는 다르다. 만약 '도대체 삶이란 무엇이란 말인가?'라는 괴로운 질문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당나귀처럼 환상의 장미꽃을 먹고 살아가야 한다면, 부조리의 정신을 단념하고 허위에 몸을 내맡기기보다는 차라리 두려움 없이 '절망'이라는 키에르케고르이 대답을 선택할 것이다.

사실상 어느 길로 가느냐 하는 것은 별로 중요한 것이 아니고 목적지에 도달하려는 의지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이다.

나의 추론은 추론을 유발시킨 자명함 자체에 충실하고자 원한다. 그 자명함이란 곧 부조리이다. 욕망하는  정신과 실망만 안겨주는 세계 사이의 절연, 통일에의 향수, 지리멸렬의 우주, 그리고 그 양자를 한데 비끄러매놓는 모순이 바로 부조리다. (중략) 중요한 것은 이러한 분열과 더불어 살고 생각하는 것이며 받아들일 것인가 거부할 것인가를 알아내는 일이다. 자명한 것을 은폐한다거나 방정식의 한쪽 항을 부인함으로써 부조리 자체를 제거해버리자는 것이 아니다. 부조리로 살아갈 수 있는가, 아니면 논리는 부조리로 말미암아 죽을 수밖에 없다고 명하는가를 알아야 한다. 내가 관심있는 것은 철학적 자살이 아니라 그냥 자살 그 자체다. (중략) 후설은 '익히 잘 알고 있고 편안한 생존 조건 속에서 살고 생각하는 고질적인 습관'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구에 순응하라고 말한다. (중략) 오히려 진정한 위험은 비약하기 바로 전의 미묘한 순간 속에 있다. 현기증나는 순간의 모서리 위에서 몸을 지탱할 줄 아는 것, 그것이 바로 성실성이다.

나는 이 세계가 그 자체를 초월하는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어떤지 알지 못한다. 그러나 나는 그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며 지금 나로서는 그것을 인식할 길이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 나의 조건을 벗어나는 의미가 존재한 들 그것이 나에게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나는 오직 인간적인 언어로 된 것만을 이해할 따름이다.

이토록 보잘 것 없는 이성, 바로 이것이 나를 모든 창조물에 대립시켜놓는 것이다. 나는 그 이성을 펜으로 확 지워버리듯이 부정해버릴 수는 없다. 그러므로 나는 내가 진실이라고 믿는 것을 마땅히 견지해야 한다. (중략) 현재라는 이름의 지옥, 이것은 마침내 그의 왕국일 수밖에 없다. 모든 문제들은 또다시 서슬이 푸른 날을 세운다. (중략) 아무것도 해결되 것은 없다. 그러나 모든 모습이 달라졌다. 이제 죽을 것인가, 비약을 통해서 문제를 모면할 것인가, 아니면 제 분수에 맞는 관념과 형상들의 집을 지을 것인가? 아니면 차라리 부조리의 비통하고도 멋들어진 내기를 지탱해 나갈 것인가?

이리하여 그가 스스로에 요구하는 바는 '오로지' 자신이 아는 것만 가지고 살고, 실재하는 것으로써 자족하고, 확실치 않은 것이라면 아무것도 개입시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중략) 즉 그는 구원을 호소하지 않고 사는 것이 가능한가를 알고 싶은 것이다.

부조리는 오직 우리가 그것을 주시하던 눈길을 딴 데로 돌릴 때 죽어버리는 것이다. 따라서 유일하게 일관성 있는 철학적 태도는 반항이다. 반항은 인간과 그 자신의 어둠과의 끊임없는 대면이다. (중략) 반항은 인간이 자신에게 끊임없이 현존함을 뜻한다. (중략) 반항에는 희망이 없다. 반항은 짓눌러오는 운명의 확인이다. 그러나 그런 확인에 따르기 마련인 체념을 거부한 채의 확인인 것이다.
(중략) 부조리는 사형수의 마지막 생각이 극한에 이르렀을 때, 현기증나는 추락의 막바른 벼랑 끝에서 어쩔 수 없이 바라보게 되는 저 한 가닥의 구두끈이다. 자살자의 반대, 이것은 다름 아닌 사형수이다.
반항은 삶에 가치를 부여한다. 한 생애의 전체에 걸쳐 펼쳐져 있는 반항은 그 삶의 위대함을 회복시킨다. 편협하지 않은 사람의 눈에는, 인간의 지성이 자신을 넘어서는 현실과 부둥켜안고 대결하는 광경보다 더 아름다운 광경은 없을 것이다. 인간적 오만이 펼쳐 보이는 그 광경은 그 무엇과도 비길 수 없는 것이다. 그것을 평가절하하려고 제아무리 애써보아야 헛수고가 될 것이다. 정신이 스스로에게 부과하는 이 규율, 불 속에서 통째로 단련해낸 이 의지, 그리고 정면대결에는 무엇인가 강력하고 비범한 것이 있다. (중략) 그런 이론들은 나 자신의 삶에서 짐을 덜어내준다. 그러나 이 짐은 나 혼자서 짊어지고 가야만 한다. 이 지점에서 나는 회의적 형이상학이 포기의 모럴과 손잡는다는 것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게 된다.
의식과 반항이라는 거부는 포기와는 정반대이다. 인간 가슴속에 깃들인, 환원될 수 없고 정열에 찬 모든 것이 다 함께 그의 삶에 맞서서 거부를 고무한다. 중요한 것은 죽더라도 화해하지 않고 죽는 것이지 기꺼이 받아들이면서 죽는 것은 아니다. 자살은 삶의 진가를 몰라서 저지르는 행위다. 부조리의 인간은 오직 남김없이 다 소진하고 자기 자신의 전부를 마지막까지 소진할 뿐이다. 부조리는 인간의 최극단의 긴장, 고독한 노력으로써 끊임없이 지탱하는 긴장이다. 왜냐하면 그는 자신이 매일매일의 의식과 반항을 통해서 운명에 대한 도전이라는 그의 유일한  진실을 증언하고 있음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 카뮈의 철학적 서술인 '시지프 신화'를 읽는 순간 그동안 머릿속을 맴돌며 말하지 못했던 질문과 생각, 그에 대한 완벽한 대답들이 쏟아져 나오는 듯했다. 언제나 의문했던 부조리한 인간의 운명, 어렴풋이나마 줄기차게 믿어왔던 인간의 의지의 위대함 등이 같은 생각들로 그의 글 전반에 녹아있다.
  카뮈의 인간에 대한 긍정은 그 어떤 사상가나 철학자의 인간에 대한 긍정을 넘어선다. 그는 인간의 삶 자체에 절대적인 의미를, 특히 눈을 부릅뜨고 의식의 명료함을 잃지 않은 채 부조리에 대항하여 씩씩한 걸음을 옮기는 인간의 삶에 강력한 지지를 부여한다. 그 어떠한 삶도 (거짓 '희망'에 팔아버리거나 '의식'을 체념하지 않는 한)  그 자체로 위대한 것이다. 부조리한 세상에서의 삶 자체로 의식하며 살아가는 인간은 위대한 존재이다.
  한 인간의 소멸은 세계의 소멸인 것이다. 의식이 존재하지 않는 한 세계는 존재를 잃는다. 반항, 자유, 열정을 간직하고 명료한 의식으로 살아갈 의미를 카뮈는 우리에게 안겨준다. 너무도 반갑고 안도한다.



2012년 7월 16일 월요일

카뮈의 '여행일기' 중

미국  1946년 3월~5월

인생은 비극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모든 것이 다 동원되고 있는 이 나라에서 학생들은 무언가 결핍을 느끼고 있다. 그들의 커다란 노력은 비장하다. 그러나 비극성이란 일단 바라본 후에 떨쳐버려야 할 것이지 보기도 전에 버려서는 안 된다.

저녁에 서커스. 네 곳에 마련된 곡예 공간들. 모두가 동시에 묘기를 보인다. 그런데 내 눈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투치의 말 : 이곳에서 인간 관계가 아주 쉬운 것은 인간 관계가 아예 없기 때문입니다. 겉껍질만 남습니다. 예의상, 그리고 게을러서.

옳은 자는 결코 아무도 죽인 적이 없는 자다. 그러니 그것은 신일 리 없다.

어떤 한 사내가 사업상의 여행 중에 별다른 생각 없이 어떤 자연 그대로인 고장의 외따로 떨어진 여인숙에 든다. 그런데 거기서 그 자연의 침묵, 아무 치장 없는 소박한 방, 모든 것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는 생각 등이 그로 하여금 영원히 이곳에 머물며 과거의 자기 삶이었던 모든 관계를 단절하고 그리하여 그 어느 누구에게도 기별하지 말고 지내기로 결심하게 한다.

이 대륙에 온 이후 처음으로 아름다움과 진정한 위대함의 실감 나는 인상을 받다. 퀘벡에 대해서, 자신도 어쩔 수 없는 어떤 힘에 떠밀려 이 고독 속으로 찾아와서 투쟁했던 인간들의 그 과거에 대해서 나는 뭔가 할 말이 있을 것 같다. (중략) 내가 말하고 싶은 단 한 가지를 나는 지금까지 말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고 아마도 영원히 그것을 말하지 못할 것 같다. 

뉴욕의 비. 끊임없이 내리며 모든 것을 씻어낸다. 회색의 안개속에서 마천루들은 죽은 자들이 살고 있는 이 도시의 거대한 관들처럼 희끄무레하게 서 있다. 빗속에서 이 관들의 밑받침이 흔들거리는 것이 보인다.
버림받았다는 끔찍한 느낌. 내가 이 세상의 모든 사람을 내 품에 꽉 껴안는다고 하더라도 나는 그 어느 것에 대해서도 방어되지 못할 것만 같다. 

돌아오는 여행길은 길기만 하다. 내 마음의 긴장이 조금이나마 풀리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유일한 순간들은 바다 위에 내리는 저녁들과, 황혼에서 달이 뜰 때로 옮겨 가는 시간이다.

이곳 계층의 끔찍스러운 범속함. 지금까지 나는 단 한 번도 나를 에워쌀 수 있는 범속함 때문에 괴로워해본 적이 없었다.

나는 오랫동안 바다를 지켜보리라.

내가 아직도 이토록 상처 받기 쉽다는 것을 느끼는 슬픔. 25년 후면 나는 57세가 될 것이다. 그러나 나의 작품을 쓰고, 내가 찾는 것을 발견해야 할 25년. 그런 다음에는 노년과 죽음. 나는 내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다. 그런데 아직도 나는 작은 유혹들에 넘어가고 헛된 수다와 무익한 방황에 시간을 허비할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다. 나는 내 자신 속의 두세 가지를 극복했다. 그러나 내게 그렇게도 필요한 저 우월감을 가지기에는 아직 멀었다.

나는 늘, 인간들에 대한 강한 관심과 부산하게 움직이고 싶은 허영, 그리고 이 망각의 바다에도 손색이 없고 죽음의 환희와도 같은 이 무한한 침묵에도 손색이 없는 나 자신을 만들고자 하는 욕망, 이 두 가지 사이에서 찢어져 있었다.


남아메리카  1949년 6월~8월

이 무한한 고독이 지금은 내 마음을 느긋하게 해준다. 비록 이 바다가 오늘은 이 세상의 모든 눈물을 다 출렁이게 하고 있는 듯한 인상이지만. 나는 내 선실로 되돌아와서 지금 이 글을 쓴다 - 저녁마다 그렇게 하고 싶다. (중략) 내가 버려둔 채 하지 못하고 있는 걸 생각하면 마음이 괴롭지만 그래도 나는 잠이 들고 싶다.

바다는 표면만 빛을 받고 있지만 바다의 깊은 어둠이 느껴진다. 바다는 그런 것이다. 그래서 나는 바다를 사랑한다! 삶의 부름인 동시에 죽음에의 초대.

그리고 나는 그 무엇보다도 이 좁고 단정한 선실, 이 딱딱한 침대, 그리고 이 헐벗음이 좋다. 아니면 이 군더더기 없는 고독 혹은 사랑의 폭풍. 그 밖에 세상의 그 어떤 것도 내 관심을 끌지 못한다. 뭐 잊어버린 건 없는가? 없는 것 같다. 평소와 마찬가지로 바다를 앞에 두고 하루를 마감한다. (중략) 하늘과 물은 끝이 없다. 여기서는 슬픔도 얼마나 멋진 동반자를 가지는가!

아침 바다: 생성들의 거대한 양어장 - 무겁고 펄쩍펄쩍 뛰는 - 또한 지글지글 끓는 - 비늘이 돋은 - 끈적끈적한 - 신선한 거품에 뒤덮인.

바다는 분해되어가는 것들의 금속성 광채와 함께 거대하게 부어오른 것 같다.

오늘 저녁에 바람 쐬는 갑판을 네 바퀴나 뒤따라 돌면서 그 사람을 관찰해보니 그는 단 한 번도 바다를 바라보지 않았다.

나는 혼자이며 길을 잃었다는 것을 느끼다가 마침내 황홀해지는가 하면 얼굴을 알 수 없는 이 미래와 내가 사랑하는 이 위대함 앞에서 내 힘이 점점 다시 솟아나는 것을 느낀다.

바다는 거칠다. 하늘은 꽉 막혀 있다.

약간 일했고, 많이 어슬렁거렸다.

지금 이 순간의 내 관심이 실제로 인간들을 향해 있지 않고 바다를 향해 있기 때문이다. 내게 습관 되지 않은 내 속의 이 깊은 슬픔은 거기서 오는 것.

영원히 잊을 수 없는 순간이다. 배 전체가 침묵을 지키고 서쪽 뱃전의 갑판 위에 빽빽하게 모여 있는 선객들마저 일상의 비참과 존재의 고통에서 잠시 벗어나 듯 침묵으로 돌아갈 맘큼.

바다를 앞에 두고 오래 머문다. 아무리 노력하고 이리저리 다져보아도 이 슬픔을, 더 이상 이해할 수조차 없는 이 슬픔을 떨쳐버릴 수가 없다.

저녁은 서늘하고 감미롭다. 이제 이틀 후면 도착하게 된다. (중략) 또다시 살고 이야기하기 시작한다는 것. 사람들, 얼굴들, 내가 해야 할 역할, 아마 내가 지금 그것들에 대하여 느끼고 있는 것 이상의 용기가 필요할 것이다.

오후에 수백 미터 아래의 바닷물 속에서 시커먼 거대한 동물 한 마리가 물 표면까지 솟아 올라와서는 파도를 몇 번 타너니 먼지같은 물방울들을 두 줄기 내뿜는다. 내 곁의 바의 보이가 고래라고 알려준다. 그 몸집의 크기, 헤엄쳐나가는 무서운 힘, 고독함 짐승의 모습......등을 보면 그런 것 같지만 여전히 잘 믿어지지 않는다.

이런 교통질서의 혼란과 무질서는 단 하나의 법칙, 즉 무슨 수를 써서라도 제일 먼저 도착한다는 법칙으로만 보상이 된다.

나는 인간의 신들보다 밤과 하늘이 훨씬 더 좋다.

나는 몇몇의 진실한 눈들을 보았다.

이런 날씨에는 두 번 젖는다. 우선 비에, 그 다음에는 자기가 흘린 땀에.

그러나 광대한 공간들 특유의 슬픔을 가진 이 감당할 수 없이 넓은 땅 위에서 삶은 바로 그 땅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데 그 삶으로 파고들자면 오랜 세월이 필요할 것이다.

이 세상에서 잊혀진 이 구석에서 나를 보게 된 것에 놀라워들 했다.

나는 여러 시간 동안 다시 한번 이 단조로운 자연과 이 광막한 공간을 바라본다. 아름답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보는 이의 정신에 질기게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는 그런 경치다. 이 고장에서는 계절들이 서로서로 뒤섞여 분간하기 어려워지고 뒤엉킨 식물들은 형체를 규정할 수 없게 되고 피들이 어찌나 마구잡이로 뒤섞여 있는지 영혼이 그 한계를 잃게 된다.

내 관심은 떠나는 것, 그리고 다 끝내는 것, 마침내 모든 것을 다 끝내버리는 것이다.

지독한 서글픔과 외따로 떨어져 있다는 느낌.


- 작가의 여행, 작가의 눈으로 본 여행. 물론 작가의 느낌이 그대로 표현될 수는 없겠지만, 어느 정도의 공감.
아마도 이 두 여행을 신문기사로 보았다면, 유명작가가 되어 강연을 두 대륙으로 순차적으로 떠나는 카뮈의 여행이 성공의 한 단편 쯤으로 보였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작가의 손으로 기록된 여행일기는 오히려, 카뮈의 고독과 갈등, 작가로서의 시선, 사람과 함께이면서도 완전히 혼자일 수 있는 공간, 장거리의 선상 여행에서의 바다에 대한 애정과 묘사 등으로 그저 일반인이 혼자 떠나는 여행과 다르지 않게 느껴진다. 마치 내가 다시 같은 여정을 떠난다 하더라도 그의 손에 의해 기록된 그 묘사와 나의 느낌이 다르지 않게 느껴질 듯.
원하는 것을 써내고 싶은 작가의 갈망이 광대한 자연과 낯설은 도시의 풍경에 녹아들어가 열망과 고독을 가슴에 불러일으키는 글.

말로의 '인간의 조건' 중

모든 인간이 자취를 감추어버린 세계, 영원의 세계, 낮은 또다시 이들, 썩어빠진 기와지붕 위로 돌아올 것인가?

보고할 수는 있다. 그러나 지금 가슴속에 있는 것을 말로 형언하기는 어려운 노릇이다.

검은 동그라미를 그리며 물결은 침묵 속에서 흔들렸다. 사람 음성에 잉어가 잠을 깬 모양이었다.

"부상자의 반은 죽었겠지. 고통이란 그것이 죽음으로 끝나지 않을 때에만 의미가 있는 법이야.  그런데 대개 고통은 죽음으로 끝나거든."

인간이란 자기가 원하는 것을 잊지 않는다. 그러나 이 육체는 눈에 익은 것이 갑자기 변모하였을 때의, 그 비통한 신비감 - 벙어리나 장님, 미치광이들이 갖고 있는 그 신비감 - 을 몸에  지니고 있었다.

자기 생명도 목구멍으로 듣는 것이다. 그렇지만 남의 생명은? 우선 무엇보다도 인간에게는 고독이 있다. 고독은 무수한 인간들의 배후에 엄연히 존재하고 있다. 마치 희망과 증오로 충만한 황량한 도시를 뒤덮고 있는 이 깊은 밤의 배후에 커다란 원시의 밤이 존재하듯이.
'그런데 나라는 존재는 무엇인가? 나 자신에 대해서, 목구멍에 대해서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그것은 일종의 절대적인 긍정이다. 미치광이의 긍정이다. 다른 무엇보다도 훨씬 강력한 힘이다. 하지만 남들에게는 나라는 존재는 결국 내가 한 일만이 전부인 것이다.' (중략) 포옹은 사랑에 의해서 남녀를 결속시켜 고독을 잊게 해주기는 하지만, 그것 역시 결코 인간에게 구원을 가져다 주지는 못했다.

이 완전한 고독, 그가 기요에게 품고 있는 그 애정조차도 그를 여기에서 해방시킬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다른 인간 속에서 피난처를 발견할 수는 없다 해도 자기를 해방시키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 아편이 있기 때문이다.
(중략) 그곳에서는 관대한 무관심이 모든 것을 녹이고 있었다.
(중략) 두 눈을 감고, 흔들리지 않는 커다란 날개에 실려가고 있는 노인 지조르는 자기의 고독을 조용히 관조하고 있었다. 그것은 신성한 것을 추구해가는 쓸쓸한 마음이었다. 동시에 죽음의 심연을 부드럽게 덮고 있는 저 조용한 물결은 무한히 퍼져나가고 있었다.

현재로서는, 그들은 모두 죽음을 선고받은 것이나 다름이 없었다. 문제는 개죽음이 되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생각하는 것도 어리석은 일이지만, 마치 밤이 그들을 그곳에 가둔 것처럼 적의 그림자 하나 보이지 않는 이 새벽이, 이번에는 그들을 거기서 놓아주는 것같이 여겨졌다. 지붕 위의 새벽빛이 반사되어 파르스름한 잿빛으로 변했다. 전투가 그친 시간 위에서 빛이 밤의 커다란 덩어리를 흡수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그리고 다만, 인간 앞에 검고 네모지 그림자가 남아 있을 뿐이었다. 그 그림자도 차차 짧아져갔다. 그것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앞으로 여기서 죽어갈 사람들오 잊어버릴 수 있을 것처럼 여겨졌다. 그림자는 오늘도 영원한 움직임을 계속하면서 줄어들어갔다. 그것이 오늘은 일종의 처참할 정도로 장엄함을 띠고 있었다. 왜냐하면 그들은 이제 두 번 다시 그것을 볼 수 없을지도 몰랐기 때문이다.

제일 먼저 오고 있는 저 사나이는 돈 때문에 저 위층에서 아직 꿈틀거리고 있는 사람들을 죽이러 오는 것은 아니었다. 어떤 사상, 어떤 신념 때문일 것이다. 지금 철조망 앞에 서 있는 저 그림자, 에멜리크는 그 그림자의 사상에까지 증오를 느꼈다. 이 행운의 종족은 그들을 죽이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것이다. 게다가 그들은 자기네들이 정당하다고 믿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러나 그는 지배하고 있는 인간 앞에서 누구나가 느끼는 그 굴욕감을 욕지기가 날 정도로 느끼고 있었다. 그는 채찍을 쥔 저 더러운 그림자에 대해서는 무력했다. 자기 자신을 상실하고 있는 것이다.

이래서야 마치 권력을 쥐기만 하면 거의 모든 인간을 개짐승으로 바꿔버릴 수 있다는 게 아닌가. 어릴 때 꿈에 본 갑각류나 거대한 곤충처럼 왠지 마음을 못 놓게 하는 존재들, 창살 저편에서 우글거리고 있는 저 희미한 존재들은 이제 더 이상 인간이 아니었다. 그것은 완전한 고독과 굴욕이었다.

아니, 자기 자신에게 벗어나 남의 눈에 지금까지와 다른 인생을 사는 인간처럼 비치기 위해서는 한 벌의 옷으로 충분하다는 것은 이제 인간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과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고통과 부조리 속에서, 혹은 굴욕의 한가운데서 일하는 인간들이 있는 곳이면 어디서나 사람들은 이곳에 있는 이와 같은 수형자들을 생각할 것이다. 마치 신자들이 기도를 드리듯이. 그리고 벌써 거리에서는 이 죽어가는 사람들을 이미 죽어버린 것처럼 여기고 사랑하기 시작했다...... (중략) 죽음을 각오할 수 없는 인생이 무슨 가치가 있겠는가? 혼자만이 죽는 것이 아닐 때, 사람은 쉽게 죽을 수 있는 법이다. 이와 같이 동지의 떨리는 말소리로 가득 찬 죽음, 많은 사람들이 마침내 순교자로 발견하게 될 패배자의 집합, 황금전설을 만들 이 피비린내 나는 전설! 이미 죽음에 직면하고 있는 그가 어떻게 생명을 바치 인간의 중얼거림을 듣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 중얼거림은 죽어가는 자들에게는 인간의 씩씩한 마음이야말로 영혼의 세계 몿지않은 은신처라고 부르짖는 것 같았다.

너무나도 자존심이 강해 순응주의자도 위선자도 되지 못했다. 위대한 개인주의란 위선의 비료를 받지 않으면 충분히 발달하지 못하는지도 모른다.

결국 인간의 정신은 인간을 영원의 세계에 놓고 생각한다. 그런데 생에 대한 의식은 고뇌일 수밖에 없다.
(중략) '인간은 모두 미치광이다.' 하고 그는 여전히 명상에 빠져 있었다. '하지만 이 광증과 세계를 결부시키기 위한 인생의 노력이 인간의 운명이 아니라면, 인간의 운명이란 과연 무엇이겠는가?......'

하늘 높이 뜬 가벼운 구름이 어두운 소나무 위로 흘러가다가 차츰 하늘에 녹아들었다. 그는 거기에 흐르고 있는 구름 한 조각이 - 바로 그것이 - 그가 일찍이 알던 혹은 사랑한, 그리고 지금은 이미 죽어버린 사람들을 나타내고 있는 것 같았다. 사람은 살과 피와 고뇌로 두껍고 무겁다. 무릇 죽는 것이 다 그러하듯 인간은 영원히 자기 자신에 매달려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 피조차도, 살조차도, 고뇌조차도, 그리고 죽음까지도 저 높은 광명 속으로 빨려들어가 버린다. 

- 중국 공산주의의 저항이 시작되었을 때 장제스의 탄압에 대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인간 개인의 생각과 의식을 날카롭게 짚어낸 소설이다. 이 소설에서는 사상보다는 사상속에서 행동하는 인간에 대해 촛점을 맞추고 있다. 공산주의 세력인 첸, 기요, 카토프, 에멜리크 등은 사상에 얽매여 있기 보다는 동지애, 인간애 등에 더 큰 비중을 두고 투쟁한다. 각각의 개인적 생각과 삶속에서 가장 인간다운 선택을 하는 그들의 참담한 패배. 그것은 과연 패배인가? 죽음으로 끝나는, 혹은 죽음으로 끝날 것이 당연히 예견되어져 있는, 그들의 삶은 어리석음인지 위대함인지 분별하기 어렵다. 그러나, 그 무엇보다도 그들은 인간의 고귀한 본질, 의리, 우정, 용기, 자존심 등, 을 지키려고 노력했다는 점이다. 본문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그들의 고통은 죽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었다. 그 이상의 무엇을 가슴 속에 남기고 있다.
  역사를 통해 많은 사상과 신념에 의해 인간들이 잔혹하게 희생되어 온 것을 본다. 그 사상과 신념의 중심에서 생기는 권력에 의해 반대편의 인간들은 인간으로 할 수 없는 일을 자행하는 인간이하의 존재로 변하는 것도 본다. 그러나, 시간에 의해서 우리는 모든 사상과 신념의 무용함과 무상함 또한 보아왔다. 그럼에도 같은 잔악함과 그 잔악함에 대한 대항이 계속 되는 것은 인간의 어리석음인가? 위대함인가?
  말로는 여러 극중 인물을 통해, 투쟁하는 인간, 회색지대에 머무는 인간, 회피하는 인간을 모두  보여준다. 어떠한 것이 옳은 것인지는 알 수 없다. 고귀한 인간적 본질들(우정, 용기, 의리, 자존심)은 모두 세상적 의미에서 패배로 끝난다. 그러나, 고통과 죽음, 부조리 앞에서, 인간의 조건(최소한 인간의 존엄)을 사수하기 위한 인간의 노력은 진실로 안타깝고도 위대하다. 이를 극히 명확하고도 아름다운 서술로 이끌어 낸 말로의 시각. 주인공들이 한동안 가슴에 남아있다...





2012년 7월 14일 토요일

레마르크의 '사랑할 때와 죽을 때' 중

죽은 자들의 몸속으로 가스가 가득히 차오르면 낯선 별빛 아래서 마치 유령처럼 시체들이 몸을 일으켰다. 아무 희망도 없이, 모두들 제각각 혼자서, 말없이 다시 한 번 전투에 참가하기라도 하려는 듯이. 그러나 다음 날 아침이 되면 그것들은 다시 쭈그러들기 시작하여 그대로 땅에 착 달라붙을 것 같았다. 너무도 지쳐 땅속으로 기어들려는 것 같았다.

시체들은 햇빛 아래 놓이면 우선 눈 부위부터 녹아내렸다. 눈은 광채를 상실했고, 동공은 아교질처럼 번들번들했다. 눈 속의 얼음이 녹아서 천천히 흘러나왔다. 마치 울기라도 하는 것처럼.

나는 정말 그 사실을 생각하지 않았던가? 사실은 모든 것을 의심했고, 구역질나는 것도 애써 외면해 왔던 것은 아닐까?

말해 봤자 아무 소용없어. 지난 몇 년 동안 갖가지 견해들이 난무하지 않았던가? 온갖 신념들 말이야. 말이라는 건 의미도 없을뿐더러 위험하기도 하지. 소리도 없이 천천히 다가오는 낯선 것이야말로 훨씬 더 거대하고 막연하고 불길하지. 사람들은 근무와 먹을 거와 추위에 대해서는 이런저런 말들을 했지. 하지만 낯선 것 그리고 죽은 자에 대해서는 모두들 입을 다물었어.

시체들은 창백하고 적대적이고 낯설었으며 아직도 생을 체념하지 않은 것처럼 보였다.

어머니, 제게는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아요. 머리도 위장도 남아 있지 않아요.
그는 층계 옆에 쪼그리고 앉았다. 야곱의 사다리라고 그는 생각했다. 저건 무엇이었을까? 하늘로 올라가는 사다리가 아니었을까? 천사들이 그 위로 날아다니지는 않았을까? 천사들은 어디로 간 것일까? 비행기로 변했을까. 모든 것은 어디에 있는가? 지구는 어디에 있는가? 지구는 오로지 무덤을 위해서 아직도 그대로 있는 것인가? 나는 무덤을 팠어, 많은 무덤을, 하고 그는 생각했다. 나는 여기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왜 아무도 나를 도와주지 않는가? 나는 폐허들을  수없이 보아 왔어. 하지만 진짜 폐허를 본 적은 한 번도 없었어. 오늘에서야 진짜 본 거야. 바로 이 폐허를. 이것은 다른 폐허들과는 달라. 왜 나는 저 아래에 누워 있지 않은 걸까? 나는 저 아래 누워 있어야 마땅해.

그것은 그가 전선에서 자주 느꼈던 암흑과도 같은 것이었다. 감히 단 한 번도 대답할 수 없었던 의문이었으며, 낭떠러지 앞에 선 심정이긴 해도 계속해서 회피해왔던 절망이었다. 그것이 마침내 그를 궁지로 내물았고, 그도 이제는 그것이 무엇인지를 알게 되었으며, 더 이상 그것을 피하고 싶지 않았다. 이제 끝장을 보고 싶었다.

그는 가만히 앉아서 깊이 숨을 쉬었고, 정의도 불의도 상관없이 세속을 초월하여 위안을 주는 온기를 느꼈다.

"나무는 우리에게 가르쳐 주고 있어. 오늘 오후에는 보리수나무에게서 배웠는데, 지금은 이 나무에게 배우는군. 나무는 자라서 잎을 만들고 꽃을 피우지. 비록 찢어지는 한이 있어도 일부는, 땅 속에 조금이나마 뿌리를 뻗고 있는 일부는 계속해서 잎과 꽃을 피우는 거야. 나무는 끊임없이 가르침을 주면서도 결코 비통해하거나 자신을 동정하는 법이 없어."

도대체 무엇이 남았는가? 그는 경악하며 자신에게 물었다. 내가 이 세상에 없다면 도대체 무엇이 남는 것인가? 몇 사람들의 머릿속에 남아 있는 희미해져 가는 기억 이외에는 아무것도 없다. (중략) 그리고 그것조차도 얼마나 오래 남을 것인가? 그는 거울 속을 들여다보았다. 그는 이미 종이 한 장처럼 얇아지고 그림자처럼 가벼워진 느낌이었다. 훅 불기라도 하면 날려가 버리고, 펌프에 의해 빨아들여진 텅 빈 껍질 같았다. 도대체 무엇이 남았는가? 어디에 정주할 수 있을 것인가, 어디에 닻을 던질 것인가, 어디에서 멈출 것인가, 완전히 내쫓기지 않도록 그를 지탱해 줄 무엇을 어디에다 남겨야 한단 말인가?

아무 것도 가진 게 없을 때는 판단을 내리고 용감해지는 것이 쉽다. 그러나 무언가를 가지게 되면 세상은 달라 보인다. 더 쉬워질 수도 더 어려워질 수도 있으며 때로는 거의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별안간에 이 모든 것을 빚어낸 인간들에 대해 발작과도 같은 증오심이 일었다. 조국의 경계썬에 머무는 그런 증오심이 아니었으며, 신중함이라든지 정의와는 아무 상관없는 증오심이었다.

나는 나를 지탱해 줄 무언가를 가지려 했어. 하지만 그것을 가지게 되면 그것이 오히려 나를 두 곱이나 고통스럽게 한다는 점은 몰랐던 거야.

"집단 수용소 대장들 중에 유머를 갖춘 사람도 있고, 또 사람들에게 친절하고 동지애를 갖춘 친위대원도 있어. 그리고 애써 세상의 선한 면만을 보면서 끔찍한 일에는 눈을 감아 버리거나 그것을 일시적이거나 엄혹한 필연으로 여겨 버리는 동시대인도 얼마든지 있어. 그들은 말하자면 탄력적인 양심을 가지 사람들이지."

모든 것은 죽음과 죽음 사이에 있는 거친 꿈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 제2차 세계대전의 막바지에 독일군 병사인 주인공의 고통과 좌절, 양심의 갈등, 사랑과 죽음등이 처절하고도 아름답게 묘사되어 있는 '사랑할 때와 죽을 때'.
  인간들이 이유도 없이 죽이고 죽어갈 때, 침묵하는 양심은 옳은 것인가?
그래버는 독일군임에도 불구하고, 전쟁을 일으킨 원인에 대한 반항을 가슴 속에 간직하고 있다. 소설 초반에 이는 구체화되지 못하고 점차 그래버가 꿈꾸었던 휴가에서의 부모와의 상봉이 물거품되고 생사조차 모르게 될 때, 전방이나 후방 모두에서 모든 사람들이 참혹하게 생활하거나 죽어갈 때, 양심의 유보에 대한 그의 혼돈은 점차 진전된다. 엘리자베스와의 사랑은 전쟁 중에서 인간다움을 찾을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이었던 만큼 그에게 절대적이었으나, 사랑한 사람을 가지게 됨으로써 그를 잃게 됨에 대한 두려움이 그만큼 커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다운 삶을 조금이라도 찾는 그 순간이 그에게 영원하다. 결국 그래버는 자신의 양심에 따라 민간인처럼 보이는 러시아인들을 풀어주기 위해 살인광인 동료 독일군을 살해한다. 그러나, 아이러니컬하게도 그래버는 자신이 첫 양심에 따라 움직인 그 행동에 의해 죽게 된다. (그 풀려난 러시아인이 도망치면서 두려움에 그를 쏘게 된다.)
  절망과 희망, 삶과 죽음은 무슨 차이가 있는 것일까? 모든 것이 극한 상황에 도달했을 때 인간의 존엄성은 얼마나 남아있을 수 있는 것인가? 레마르크는 이 소설에 가치/사상/종교의 무용, 인간의 잔인성과 무모함, 혹은 인간의 양심과 사랑, 생의 가치와 의미에 대한 질문 등을 한꺼번에 담아 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모든 잔인한 상황과 생의 무상함에도 불구하고, 남겨진 뿌리로 싹을 돋아내는 나무처럼, 순간을 살아내고 사랑하는 인간의 아름다움과 행동하는 양심의 위대함을 그는 그려내고 있는 것이다.

2012년 6월 16일 토요일

카뮈의 '페스트' 중

어떤 한 도시를 아는 편리한 방법은 거기서 사람들이 어떻게 일하고 어떻게 사랑하며 어떻게 죽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곳에서 병을 앓는 사람은 아주 외롭다. 같은 도시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이 바로 그 시간에 전화를 붙잡고서, 혹은 카페에 앉아서 어음이니 선하증권이니 할인이니 하는 이야기를 주고 받고 있는데, 더위로 불꽃이 튀기는 듯한 수많은 벽들 뒤에서 덫에 걸린 채 다 죽어 가는 사람을 상상해 볼가. 비록 현대적인 것이라 할지라도 어떤 메마른 고장에 죽음이 그처럼 들이닥칠 때 불편함이 어떠할 것일지는 이해가 갈 것이다.

나흘째 되는 날부터 쥐들은 떼를 지어서 거리로 나와 죽었다.

마치 그 광경은 우리의 집들이 자리 잡고 서 있는 땅 자체가 그 속에 있던 응어리와 악혈을 표면으로 내뿜고 있는 것만 같았다. 마치 건강한 사람의 짙은 피가 돌연 역류하기 시작하는 것처럼.

'들어오시오, 나는 목매달았소.'

공포가, 공포와 함께 반성이 시작된 것은 바로 그때부터였다.

쥐들은 눈에 띄는 거리에 나와 죽었지만 사람들은 방 안에서 죽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신문은 오직 거리에서 일어나는 일에만 관심이 있었다.

사실 재앙이란 모두가 다 같이 겪는 것이지만 그것이 막상 우리의 머리 위에 떨어지면 여간해서는 믿기 어려운 것이 된다.

그러나 그러한 사망자의 증가도 충분하지는 못했는지 시민들은 그 불안의 한복판에서도, 그것은 필시 가슴 아픈 사건임은 틀림없지만, 그래도 결국은 일시적인 것이라는 인상을 버리지 못했다.

아무도 웃는 사람은 없었다.

겁은 났지만 절망은 하지 않았으며, 페스트가 그들의 생활 형태처럼 보이기까지 하고 또 그때까지 영위할 수 있었던 생활 방식 자체를 잊어버리기까지 하는 시기는 아직 오지 않았다.

그러나 그렇게 오랜 시일을 두고 시달리다 보니 사람마다 심장이 무뎌져 버렸는지, 마치 신음 소리가 인간의 타고난 언어라는 듯이 아랑곳하지 않은 채 스쳐 지나가거나 그 곁에서 살고 있었다.

질병이 확대되면 도덕도 역시 헐렁해질 것이다. 우리는 무덤 근처에서 벌어지던 그 밀라노의 사투르누스 축제를 여기서도 다시 보게 될 판이다.

그때 나는 절대로 그런 것에 익숙해질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지요.

이와 같이 매주일 계속해서 그 페스트의 포로들은 저마다 재주껏 발버둥을 쳤다. (중략) 그때는 이미 개인적인 운명 같은 것은 있을 수 없었고, 다만 페스트라는 집단적인 역사적 사건과 모든 사람들이 공통으로 느끼는 여러 가지 감정밖에는 없었다.

아! 정말이지 인간은 다른 인간들 없이 지낼 수는 없고, 정말이지 그도 이제는 저 불행한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속수무책의 신세이고, 정말이지 그들 곁을 떠나고 나면 그 역시 가슴 속에 걷잡을 수 없이 솟구쳐 오르는 동정심의 전율과 똑같은 것을 받을 가치가 있는 그런 인간이 것이었다.

어둠 속에서 더듬거리면서라도 전진을 계속해야만 하고 선을 행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죄 없는 사람이 눈알을 잃었을 때, 기독교인으로서는 신앙을 잃거나 눈알이 빠지거나 해야 마땅하죠. 파늘루는 신앙을 잃기를 원치 않습니다. 그러니 그는 갈 데까지 갈 거예요. 그가 하고 싶었던 것이 바로 그겁니다."

나는 내가 간접적으로 인간 수천 명의 죽음에 동의했다는 것, 필연적으로 그러한 죽음에 이르도록 만든 행위나 원칙들을 선이라고 인정함으로써 나 자신이 그러한 죽음을 야기하기까지 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딴 사람들은 그런 것으로 속을 썩이는 것 같지 않았고, 적어도 자발적으로 그런 이야기를 꺼내는 일은 결코 없었습니다. 그러나 나는 목구멍이 착 달라붙는 것같이 괴로웠어요. 나는 그들과 같이 있으면서도 외로웠어요. 내가 나의 께름칙한 마음을 표시할라치면, 그들은 나에게 지금 때가 어떤 때인지 잘 생각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었고, 흔히 감동적인 이유들을 내세워 아무리 해도 소화되지 않는 것을 내게 삼키도록 하는 것이었습니다. (중략) 일단 한번 양보하면 끝도 없이 양보를 해야 한다고 말입니다.
(중략)
그래서 나는 직접적이건 간접적이건, 좋은 이유에서건 나쁜 이유에서건 사람을 죽게 만들거나 또는 죽게 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모든 걸 거부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중략) 사람은 제각기 자신 속에 페스트를 지니고 있다는 것입니다.

몸을 약간 일으키면서 타루에게, 마음의 평화에 도달하기 위해서 걸어야 할 기링 어떤 것일지 생각해 본 것이 있느냐고 물었다.
"물론 그건 공감이죠."

사람은 신없이 성인 될 수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내가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은 그저 인간이 되겠다는 것입니다.

그 늙은 서기의 얼굴에는 끊임없이 눈물이 흘러내리고 있었다. 그 눈물을 라유의 마음을 흔들었다. 왜냐하면 그는 그 눈물의 원인을 알고 있었고, 자기도 역시 목구멍 깊숙한 곳에서 그것을 느끼고 있었기 때문이다.
(중략)
그 슬픔은 리유 자신의 슬픔이었고, 그때 그의 마음을 괴롭히는 것은 모든 인간이 다 같이 나누고 있는 고통 앞에서 문득 치솟는 견딜 수 없는 분노였다.

끝으로, 낮과 밤의 어떤 시간이 되면 인간이 비겁해지곤 하는데, 자기가 두려워하는 것은 바로 그 시각이라고 그는 대답 대신 적어 놓았다. 타루의 수첩은 여기서 끝나 있었다.

그에게 그렇게도 친근했던 그 인간의 모습이, 지금은 창끝으로 찔리고 초인간적인 악으로 불태워지고 하늘의 증오에 찬 온갖 바람에 주리 틀리면서 바로 그의 눈앞에서 페스트의 검은 물결 속으로 빠져들어 갔지만, 그로서는 이 난파를 막는 데 속수무책이었다. 그는 다시 한 번 빈손과 뒤틀리는 마음뿐, 무기도 처방도 없이 기슭에 머물러 있어야만 했다.

그러나 적어도 그때, 그는 자기 자신에게 다시는 평화가 있을 수 없다는 것, 또 아들을 빼앗긴 어머니라든지 친구의 시체를 묻어 본 적이 있는 사람에게 다시는 휴전이라는 것이 없다는 것을 알 것 같았다.

자신들의 우정을 정말 우정답게 체험할 시간도 미처 갖지 못한 채 그날 저녁에 타루는 죽어 갔던 것이다. 타루는 자기 말마따나 내기에 졌던 것이다. 그러나 그 자신, 리유가 이긴 것은 무엇이었던가? 단지 페스트를 겪었고, 그리고 그것에 대한 추억을 가진다는 것, 우정을 알게 되었으며 그것에 대한 추억을 가진다는 것, 애정을 알게 되었으며 언젠가는 그것에 대한 추억을 갖게 되리라는 것, 그것만이 오로지 그가 얻은 점이었다. 인간이 페스트나 인생의 노름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고는 그것에 관한 인식과 추억뿐이다. 타루도 아마 그런 것을 내기에 이기는 것이라고 말했던 모양이다!

단지 자기가 알고 있는 것, 추억에 남는 것만을 지니고 살아갈 뿐, 희망하는 것은 다 잃어야 되니, 그 얼마나 괴로운 일이랴.

삶의 체온과 죽음의 이미지, 그것이 바로 인식이었던 것이다.

인간들은 늘 똑같은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그들의 힘이고 순진함이기도 하다.

- 카뮈가 이야기한 세가지 긍정의 작품 중의 하나인 '페스트'.
죽음과 고립, 저항할 수 없이 밀어닥친 이 재앙에 있어 사람들이 어떠한 행동으로 내몰리는지 카뮈의 문장은 날카롭다. 그러나, 의사인 리유, 타루, 랑베르 등의 인물을 통해, 인간으로서 그 어찌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자신의 최선을 가지고 맞선다. 희망이 보이지 않는 절망적인 상태에서도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잃지 않으려는 노력과 우정, 공감들... 잿빛 하늘 아래에서도 분명 아름다움은 존재한다.
같은 상황이 다시 발생한다 하더라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포에 휘말려 말도 되지 않는 행동을 일삼게 되더라도, 또다른 리유와 타루가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잃지 않는다. 타루의 말대로 '한번 양보하면 끝도 없는 양보를 하게 될까봐'... 그러나, 지금에 와서 비극적인 사건에 침묵하는 나는, 대중은, '양심을 한 보 양보하고, 정의를 한 보 양보하고' 결국 끝도 없이 뒤로 밀리게 될까봐 두렵다.
페스트를 겪은 리유는 그 전의 리유와는 다른 리유이다. 그는 많은 고통과 슬픔을 보았지만, 그에 맞선 용기와 양심도 보았다. 그 추억들을 간직한 채 살아가는 인간이 생에 있어 인간으로서 가질 수 있는 전부라고 한다해도 그것은 결코 하찮은 것이 아님을 굳게 믿는다. 카뮈의 인간에 대한 긍정을 믿는다.

2012년 6월 15일 금요일

블라드미르 나보코프의 '롤리타' 중

나의 이 글이 머리글이 된 그 기묘한 원고의 저자인 험버트 험버트는 1952년 11월 수감된 상태에서 관상동맥 혈전증으로 죽었다. 그가 재판을 받기 며칠 전 일이다.

나는 너를 사랑했다. 나는 괴물이었지나 너만은 사랑했다. 나는 비열하고, 잔인하고, 야비한 그 모든 것이었지만 나는 너를 사랑하였다. 너를 사랑하였다! 네 기분이 어떠한지를 알 수 있는 때도 더러 있었으나 그것을 안다는 것은 곧 지옥이었다.

<롤리타> 나의 책에 대하여
1949년 무렵, 뉴욕 주 중부 이타카에 살고 있을 때 아직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그 고동 소리가 또다시 나를 괴롭히기 시작했다. 마음의 다짐이 새로운 열의를 가지고 영감에 합류했고, 이 주제를 다시 다루어 이번엔 영어로 써볼 생각이었다.
(중략)
진지한 작가라면 누구나 자신이 발표한 작품이 끊임없이 위로를 준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 표시등은 지하실 어딘가에서 끊임없이 켜져 있어서, 감추어 둔 자동온도조절 장치에 조금이라도 닿으면 이내 따뜻한 온기를 내뿜는다. (중략) 1955년 봄에 교정을 본 이후 나는 <롤리타>를 다시 읽은 적은 없지만, 그래도 나에게는 기쁨으로 가득 찬 존재이고, 안개 저편에서 틀림없이 밝게 빛날, 여름날의 태양과 같다.
(중략)
하지만 여기서 나는 내 목소리가 꽤 귀에 거슬린다는 것을 느낀다. 나의 미국인 벗들 중 아무도 내가 러시아어로 쓴 소설을 읽지 않았기 때문에, 영어로 쓴 소설을 기준으로 한 평가라는 것은 초점에 벗어날 수밖에 없다.

- 나보코프의 롤리타를 한 번은 영문으로 한 번은 한글번역으로 읽었다. 롤리타는 나보코프의 최초의 영문 소설이다. 내게 옮겨 적을 구절이 거의 없는 까닭은 이 소설은 전체를 읽지 않고서는 조금도 이해할 수 없고, 또한 한 두 구절이 마음에 와 닿기 보다는 범죄스러운 이상한 애절함에 사로잡히게 하는 소설 전체를 어찌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영화로 더 많이 알려진 롤리타는 주인공 험버트 험버트라는 중년의 사내가 롤리타라고 명칭되어지는 의붓딸을 사랑하는 이야기이다. (사랑이라는 말이 성도착자의 어린이에 대한 에로티시즘과 집착을 포함한다면 말이다.) 더욱 경악스러운 것은 우리의 주인공 험버트가 무지몽매한 사람도 아니고, 미치광이 범죄자도 아니라는 점이다. 그는 고등교육을 받은 지식인이고, 고상한 취미를 가진 수려한 외모의 사람이라는 것이다. 그러한 사람이 상식적으로 도저히 용서받지 못할 (특히 미국이라는 사회에서는 더욱 용서받지 못할) 일을 장기간에 걸쳐 저지르며 그것에 대한 어떤 도덕적 판단을 배제한다는 것은 소설이라 할지라도 받아들여지기 쉬운 내용은 아니다. 어머니가 죽은 (험버트가 딸을 탐해 결혼했으나 험버트의 진면목을 알고나서 우연한 사고로 죽게 된, 그러나 죽음의 많은 책임에 험버트에게 있는) 12살의 딸을 데리고 미국 전역을 돌면서 자신의 성적욕구를 만족시키며 그녀에게 집착하는 험버트. 그녀를 그로부터 도망시킨 사람을 찾아내 살해하는 험버트. 그의 온갖 도덕적 부정함과 잔인함에도 불구하고 이상하리만치 매력적인 인물인 험버트.
나보코프의 이 소설은 줄거리만큼이나 그 출판도 드라마틱하다. 코넬 교수였던 나보코프가 출판되었을 때의 파장을 예상하였을 거라 생각된다. (처음에는 익명의 출판을 고려했을 만큼.)  그러나, 미국의 모든 출판사는 출판을 거부하고, 결국 파리의 포르노 소설을 출판하는 출판사에서 출판된다. 그러나, 미국의 어떤 비평가에 의해 명성을 얻게 되고, 미국에 출판되어 나보코프는 교수를 그만두어도 될 정도의 부를 얻는다. 이 소설이 없었다면 나보코프의 훌륭한 러시아어로 쓰여진 소설도 빛을 보지 못했으리라.
작가 역시 그의 후기에서 영어로 쓰는 일이 러시아어로 쓰는 것만큼의 표현의 유려함과 자유를 주지 못했음을 토로하고 있다. 나 역시 그가 '절망'에서 썼던 현란한 언어의 기교를 보지 못했다. 그러나, 세상의 시선을 외면하고 자신에게 갇혀 자신의 것을 추구하는 같은 모습이 공통되게 보여지는 것은 다르지 않았다. 누구에게도 인정받을 수 없는 죄스러운 행동을 하는 인물들이 본인의 이유로는 자신에게 가장 정당한 일을 하는 것처럼 그려지는 나보코프의 소설에서  사회적 상황에 대한 개인의 반항 혹은 개인의 관점의 흔치않은 그릇됨이 극한으로 표현되었지만 인간에게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어떤 부분인 것만은 확실한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