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5월 6일 일요일

지드의 '위폐범들' 중

무슨 일이건 당신에게 그렇게 해 주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거야. 소위 기개가 있는 사람이라는 게 바로 그런 걸 테지. 어머니도 꽤 괴롭혔을 거라고 생각해. 그러면서도 아버지는 어머니를 사랑했어. 만약에 누구를 정말로 사랑했다면 말일세. 난 아버지가 주위 모두를, 가령 하인이거나 개거나 말이거나 정부 등을 괴롭혔을 거라고 생각해. 그러나 친구는 예외였어. 친구는 하나도 없었으니 말이야.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제각기 모두 '야아!' 하는 안도의 숨을 쉬어. 소위 '자기 분야에 있어서는 훌륭한 사람이었을 테지. 그러나 그 분야가 뭔지 나는 알 수가 없었어.

'만약에 네가 그것을 하지 않는다면 누가 한단 말인가? 만약에 네가 그것을 지금 당장 하지 않는다면 언제 한단 말인가? 그는 생각했다. '해야 할 큰 일들', 그는 그것을 향해 걸어가는 것처럼 느꼈다. 걸으면서 그는 '큰 일들.' 하고 마음속으로 되풀이했다. 그것이 어떤 일들인지 알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우선 당장은 배가 고프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 뿐이다. (중략) 주머니엔 아무것도 없으나 모든 것이 그의 것이었다.

선원 두 사람이하나는 도끼, 하나는 식칼을 들고 무엇을 했는지 아세요......? 밧줄에 매달려서 우리 보트에 올라오려는 사람들의 손가락이며 손목을 마구 내리찍고 있었어요. 선원 중의 한 사람이 - 또 한 사람은 흑인이었어요. - 추위와 놀라움, 그리고 공포로 이를 딱딱 마주치던 나에게 고개를 돌리더니 '한 사람이라도 더 올라와 보슈, 우리는 모두 끝장이에요. 배는 꽉 찾으니까.' 하고 중얼거렸어요. (중략)
내 일부는 부르고뉴 호와 함께 물속에 침몰해 버렸고, 앞으로는 산더미 같은 세심한 감정 따위가 타고 올라와서 내 마음을 침몰하게 하지 못하도록 그 손가락이며 손목을 찍어 버릴 것이라는 것을 나는 알게 된 거예요.


평론가들이 자신의 작품에 냉담하더라도 그는 아무렇지도 않았다. 그러나 적수의 책에 관한 기사를 읽으면서 그는 다시 한 번 그런 것은 그에게는 이무렇지도 않다고 마음속으로 되풀이하지 않을 수 없었다.
(중략) 그가 보기에 파사방은 예술가라기보다는 하찮은 작품을 쓰는 글쟁이였다. 그런 친구 생각은 그만두자......

미련조차도, 뭔가 채워지지 못한 느낌조차도. 시간이 서서히 빌려 입은 모든 옷을 벗겨 버리고,  진정한 모습이 다시 나타나는 날이 오고야 마는 것이다. 그리고 만약에 상대방인 내가 그러한 꾸밈에 심취하고 있었다면. 이 가슴에 껴안은 것은 결국 주인 없는 하나의 장식, 하나의 추억...... 슬픔과 절망뿐일 것이다.

내 가슴은 타인과의 공감에 의해서만 뛴다. 나는 타인에 의해서만 살고 있는 것이다.

파사방에게는 예술 작품이 목적이라기보다 차라리 수단이다. 그가 내건 예술적 신념이라는 것이 그렇게 극성스럽게 단호한 것은 그 신념에 깊이가 없는 까닭이다. 성격에서 우러나는 은밀한 요구가 그 신념을 불러일으키지 않는다. 그의 신념은 다만 시대에 영합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 신념의 표어는 기회주의다.
[철봉], 처음에 가장 현대적으로 보이는 것이야말로 머지않아 가장 케케묵은 것으로 보일 것이다. 하나하나의 아첨과 가식은 후에는 모두 영락없는 주름살이 되는 것이다.

머물고 싶은 욕망이 너무나 크기 때문에 출발해야 하는 것이다......! 험난한 것에 대한 일종의 동경, (자기 자신과의) 영합에 대한 혐오감, 이것이야말로 유년시절에 받은 나의 청교도적 교육에서 비롯된 것으로, 내가 가장 떨쳐버리기 어려운 것이다.
(중략)
아아, 이런 나를 뒤에 놔두고 갈 수 있다면!

노부인이 분명히 지어낸 이야기를 하는 건 아니었다. (중략) 아무튼, 뒤에 남는 것은 생활 때문에 서로 얽매였으나, 서로를 지긋지긋하게 괴롭히는 두 인간이 있다는 사실이다.

제가 지금 알고 싶은 것은 이런 겁니다. 즉 살아가며 처신하는 데 있어 하나의 목적에 눈길을 집중하는 것이 필요한가?
(중략)
저도 그것을 밤새도록 따져 봤어요. '제가 마음으로 느끼는 이 힘, 이것을 무엇에다 써야 할 것인가? 어떻게 하면 나 자신을 가장 보람 있게 활용할 수 있을까? 하나의 목적을 향해 가면서 그렇게 하는 것일까? 그 목적을 어떻게 고를 수 있는가? 그것에 도달하기 전에 어떻게 그 목적을 알 수 있을 것인가?' 라고 말입니다.
목적없이 산다는 것, 그것은 자기 자신을 기분에 맡기는 거지.
(중략)
우선, 그리고 오랫동안 아무런 해안도 만나지 않고 지내리라는 결심을 하지 않고서는, 결코 새로운 땅을 발견할 수 없어. 그런데 우리나라 작가들은 먼 바다를 두려워해. 말하자면 바닷가만 따라다니는 자들이지.
(중략)
규칙 없이 사는 것을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남이 주는 규칙도 원치 않는다면 대체 어떻게 규칙을 세워야 할 것인가라고 말입니다.
그 대답은 지극히 간단한 것 같군. 그 규칙을 자기 자신 속에서 발견해야지. 자기 자신의 발견을 목적으로 삼는 거야.

- 이 소설은 잘 짜여진 소설은 아니다. 처음에 중요하게 부각됐던 인물들이 중간에 사라져버리고, 새로운 인물들이 아무 배경없이 갑자기 나타난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의 의미가 가벼워지는 것은 아니다. 인과관계가 있는 것은 소설이나 희곡 (영화) 에서일 뿐이라고 지드 자신이 말하고 있지 않은가? 사실 그렇다. 현실은 언제나 뒤죽박죽인 법이어서, 결과의 이유를 도무지 찾을 수 없을 때가 더 많다.
소설은 매우 느리게 시작한다. 마치 담아낼 것이 너무 많은 수레를 오르막으로 천천히 밀고 올라가는 느낌이다. 그러다 소설의 중후반부에 언덕길의 꼭대기에서 수레를 내리막으로 밀어버리는 것 같다. 그것도 수레의 손잡이도 잡지 않은 채 마음대로 언덕 길을 굴러내려가는 수레를 작가가 꼭대기에서 바라보든 듯한. 그것도 그가 잔뜩 실어논 개념과 상황이 가득찬 채. 결국 수레는 거꾸로 박혀버린다. 마치 소설 중 보리스의 죽음이 어이없게 등장해 허탈함을 안겨 주는 것처럼.
지드의 '지상의 양식'이 그러한 것처럼, 소설은 부분 부분 그의 주옥같은 생각들을 담고 있다. 그의 생각이 두서없이 불쑥 튀어나오기에 그것이 더 현실적으로 느껴진다.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게 흐르고 있는 하나는 '위폐'에 대한 개념이다. 사회에서 통용되는 위폐처럼 사람도 위폐가 있는 것이다. 처음에는 번지르르한 글을 쓰는 파사방이라는 작가를 통해 '위폐'의 이미지를 보여주려 했는지 모른다. 그러나, 결국 모든 인물들이 어느정도 자신의 만들어진 모습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지성과 감성에 흔들리며 어떤 모습을 보여야 할지 고민하며, 그러나, 후반부의 베르나르와 에두와르의 '목적'에 대한 대화를 통해 지드는 '진짜'가 되기 위해 자신의 생을 추구하는 몇몇 인물들을 통해 삶에 있어서의 가치와 의미를 고민하고, 자신의 발견을 추구하도록 제시하고 있는 듯 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