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then, is where people come to live; I'd have thought it more of a place to die.
The child was asleep, its mouth hung open, it was breathing in iodoform, pommes frites, fear. That was simply the way it was. The main thing was to be living. That was the main thing.
A dog barks. What relief: a dog.
Why should I inform anyone of the changes within me? If I am changing, I no longer remain the person I was, and if I become someone else, it follows that I have no friends or acquaintances. And to write strangers, to people who do not know me, is quite out of the question.
Have I mentioned already that I am learning to see? Yes, I am making a start. I have not made much progress yet, but I mean to the most of my time.
To think, for example, that I have never consciously registered how many faces there are. There are a great number of people, but there are a great many more faces, for every person has several. There are several people who wear the same face for years on end; naturally it shows signs of wear, it gets dirty, it cracks at the creases, it splays out like gloves worn on a journey. These are simple people, practicising economies, and they do not change their face or even have it cleaned. It'll do fine, they insist, and who is to prove then wrong? The question, of course, since they have several faces, is what they do with the others. They keep them for best: their children can wear them some day. But it has been known for their dogs to go out wearing them, too. And why not? A face is a face.
Other people are disconcertingly quick to change their faces, one after another, and they wear them out. At first suppose they have enough to last for ever, but hardly have they reached forty when they come to the last of them. There is of course a tragic side to this. They are not used to looking after their faces; the last is worn out in a week, holed and paper-thing in numerous places, and little by little the underlay shows through, the non-face, and they go about wearing that.
But the woman, that woman: she was wholly immersed withing herself, bowed forward, head in hands. It was at the corner of the rue Notre-Dame-des-Champs. The moment I saw her, I began to tread softly. The poor should not be disturbed when they are lost in thought. The thing they are trying to think of may yet come to them.
The street was too deserted, its emptiness was wearied with itself and pulled out the footfall from under my feet and banged it about as if it were knocking a wooden clog. The woman was startled and started out of herself too rapidly and roughly, so that her face was left in her hands. I could see it lying in them, the hollow mould of it. It cost me an indescribable effort to keep my gaze on those hands and not look at what had been torn from out of them. I was appalled to see the inside of the facial mask, but I was far more terrified still of seeing a head bare and stripped of its face.
Who cares about a well-made death these days? No one. Even the rich, who could afford to die in well-appointed style, are lowering their standards and growing indifferent; the wish for a death of one's own is becoming ever more infrequent. (skip) along we come and find a life ready to wear on the rail, and all we have to do is put it on. (skip) You die as you happen to die; you die the death that comes with your illness
Is it possible, it thinks, that we have neither seen nor perceived nor said anything real or of any importance yet? Is it possible that we have had thousand of years to look, ponder and record, and that we have let those thousands of years pass like a break at school, when one eats a sandwich and an apple?
Yes, it is possible.
Is it possible that despite our inventions and progresses, despite our culture, religion and knowledge of the world, we have remained on the surface of life? Is it possible that even that surface, which might still have been something, has been covered with an unbelievably boring material, leaving it looking like drawing-room furniture in the summer holidays.
Yes, it is possible.
(skip)
Is it possible that all realities are nothing to them; that their life is winding down, connected to nothing at all, like a clock in an empty room - ?
Yes, it is possible.
(skip)
Anyone - anyone who has had this disquieting thoughts - (skip) This young foreigner of no consequence, Brigge, will have to sit himself, five flights up, and write, day and night: yes, that is what it will come to - he will have to write.
Ah, how good it is to be among people who are reading. (skip) They give me one look and they know. They know that really I am one of them, and am only play-acting a little. (skip) For it is clear to me that untouchables is what they are, not mere beggars; no, they really are not beggars, one must make distinctions. They are human refuse, the husks of men, spat out by fate. Moist with the spittle of fate, they cling to a wall, a lamp-post, a Morris column, or they dribble slowly down the street, leaving a dark, dirty trail behind them. What on earth did that old woman want of me, who had crept out of some hole carrying a bedside-table drawer with a few buttons and needles rolling about in it? Why did she keep walking at my side, watching me?
(skip) and then I am among these books, beyond your reach as though I were dead, and sit here reading a poet.
There I would have lived with my old things, my family portraits, my books. And I would have had an armchair and flowers and dogs and a stout stick for the stony paths. And nothing else. Nothing but a book bound in yellowish, ivory-covered leather with old-style floral endpapers: in this I would have written. I would have written a great deal, for I would have had a great many thoughts and memories of a great many people.
But things turned out differently, (skip) as for myself, dear God, I don't have a roof over my head and it is raining into my eyes.
a viscous tide of humanity flowed towards me. (skip) the laughter oozed from their mouth like pus from open wounds. (skip) I felt I ought to laugh as well but I couldn't. (skip) the truth of it was that they were moving and I never budged an inch.
They don't allow the dying in. (skip) It was his immobility I sensed, and all of sudden I knew what it meant. A link had been forged between us, and I realized that he was rigid with terror. (skip) his withdrawal from everything: not only from humankind. One moment more and all of it would have lost its meaning,
I was one of the untouchables; (skip) a hand that was no longer a hand now lay; (skip) It was some immense, immovable mass, with a face and a large, heavy, inert hand.
Now it was there. Now it was growing from within me like a tumour, like a second head, and it was part of me, though it surely could not be mine, since it was too big.
And with whatever it is that comes back, there rises a whole tangle of muddled memories, clinging to it like wet seaweed on some sunken thing.
the fear that I might betray myself and speak of everything I am afraid of; and the fear that I might not be able to say anything, because it is all beyond saying - and the other fears . . . the fears.
I shared the fear with which he sensed them growing and growing, and I saw how he clutched the stick when the spasms began inside him. At those times, the expression of his hands was so severe and relentless that I placed all my hope in his will, which must be a mighty one. But what could the mere will do? The moment must inevitably come when his strength would be exhausted; it could not be a long now. And I, following him with my heart pounding, I gathered what little strength I had, like cash, and, looking at his hands, begged him to take it if he had any need for it.
(skip) Stood. His left hand gently released its grip on the stick and rose, so slowly that I saw it tremble against the air; he pushed his hat back a little and wiped his brow. He turned his head slightly, the water, without taking any of it in, and then he gave in. The stick was gone, he flung wide his arms as if he meant to fly,
(skip) I was drained. Like a blank piece of paper I drifted along, past the houses, back up the boulevard.
if only some of this could be shared. But would it then be, would it be? No, it is only at the price of solitude.
(skip) Your heart is driving you out of yourself, your heart is after you, and you are almost beside yourself and you can't go back. Like a beetle stepped on, you ooze out of yourself, and you little scrap of carapace and adaptability is meaningless.
The trees stood as if they had lost their way in the fog, and there was something presumptuous about driving into it. As we drove, the snow began to fall silently once more, and now it was as if all that remained had been erased and we were driving on to a blank page.
now silence fell. It was as silent as in the aftermath of pain. The silence was strangely palpable and prickling, as if a wound were healing.
That strangely unbounded quality of childhood, the lack of proportions, that refusal of things ever to be quite foreseen, (skip) Essentially this was all still growing apace on me, closing in on every side, and the more I looked out, the more I stirred up what was within me: (skip) It was easy to see that grown-ups were very little troubled by all of this; they went about making their judgements and doing what they did, and, if ever they were in difficulties, it was external circumstances that were to blame.
No matter how often I tried, life gave me to understand that it knew nothing of their existence.
This city is full of people who are slowly slipping down to their level. Most of them resist at first; but then there are those faded, (skip)
Why else do I find it so hard not to follow them when they pass me? Why do I suddenly think up the sweetest words of night, and why does my voice linger, all tenderness between my throat and my heart? Why do I imagine how I would hold them close, right up to my breath, with an inexpressible caution, these dolls whom life has played with, flinging their arms open wide with every spring that comes, for no purpose whatsoever, till their shoulder joints grow loose? (skip) Stray cats are the only ones that come to them in their rooms at evening, and one down a couple of streets. They walk on past the houses, people continually screen them from my view, and they disappear beyond them as if they were merely nothing.
And yet I know that if a man were to try to love them, they would weigh upon him, like people who have been walking too long and simple stop.
But it is night, it is winter, I am freezing, I believe in him. For glory is a mere moment, and we have never seen anything longer lasing than wretchedness.
Ah, ought you to have been dead?
Maybe. Maybe what is new is that we survive it: the year, and love. The blossoms and the fruit are ripe when they fall; animals are aware of their own being, and find each other, and are content with that. But we, who have embarked on the quest for God, we can never accomplish an ending. We keep postponing what our own nature prompts us to, needing even more time. What is one year to us? What are all the years? Even before we have embarked upon God, we are praying to Him: let us get through this night. And then illness. And then love.
At such times, the light burns late in his study. He does not remain bent over the pages always, but often leans back and closes hi eyes to ponder a line he has reread, and its meaning spreads through his blood.
- 아프도록 유려한 문장이 표현해 낸 존재적 슬픔과 공허, 그리고 공감.
되씹어서 읽어도 역시 아름답고 가슴 저릿한, 문장들 사이에 그의 말대로 등을 기대고 의미가 혈관에 퍼지는 것을 저릿 저릿할 정도로 느끼게 되는 그런 책이다.
무슨 말로 표현할 수 있을까? 비가 개이지 않는 회색 하늘 밑 그림자가 길어지는 날, 이 책을 다시 펼쳐 젖은 눈으로 한동안 허공을 한동안 응시하게 되리라는 것 밖에는...
2014년 12월 19일 금요일
2014년 11월 12일 수요일
Gunter Grass의 'The Tin Drum' 중
Yes, it was evil. If only because I stood in dark doorways. For as everyone should know, a doorway is the favorite dwelling place of evil.
Saul became Paul. (skip) but I screamed silently, screamed as perhaps a star screams of a fish deep down in the sea. I screamed first into the frosty night that new snow might fall at last, and then into the glass, the dense glass, the precious glass, the cheap glass, the transparent glass, the partitioning glass, the glass between worlds, the virginal, mystical glass that separated Jan Bronski from the ruby necklace, cutting a hole just right for Jan's glove size, which was well known to me. I mad the cutout fall inward like a trap door, like the gate of heaven or the gate of hell:
(skip)
and found me, Oskar, in the doorway.
revealing an abyss of emptiness which apparently nothing could fill but enormous quantities of fried, boiled, preserved, and smoked fish.
He wished to go down into the pit with Mama and the fetus. And there he wished to remain while the survivors tossed in their handfuls of earth, no, Oskar didn't wish to come up, he wished to sit on the tapering foot end of the coffin, drumming if possible, drumming under the earth, until the sticks rotted out of his hands, until his mama for his sake and he for her sake should rot away, giving their flesh to the earth and its inhabitants; with his very knuckles Oskar would have wished to drum for the fetus, if it had only been possible and allowed.
while Oskar cried from hate and love, which turned to a leaden helplessness but could not die.
Everything about Greff was overdone.
Though I had not forgotten them, I missed none of them.
Against all my better judgement, despite my ingrained skepticism, I wanted happiness.
As soon as the Onion Cellar had filled up - half-full was regarded as full - Schmuh, the host, donned his shawl. (skip)
The customers - businessmen, doctors, lawyers, artists, journalists, theater and movie people, well-known figures from the sporting world, officials in the provincial and municipal government, in short, a cross section of the world which nowadays calls itself intellectual - came with wives, mistresses, secretaries, interior decorators, and occasional male mistresses, to sit on crates covered with burlap. Until Schmuh put on his golden-yellow onions, the conversation subdued, forced, dispirited. These people wanted to talk, to unburden themselves, but they couldn't seem to get started; despite all their efforts, they left the essential unsaid, talked around it. Yet how eager they were to spill their guts, to talk from their hearts, their bowels, their entrails, to forget about their brains just this once, to lay bare the raw, unvarnished truth, the man within. (skip)
The Onion Cellar had its specialty: onions. And moreover, the onion, the cut onion, when you look at it closely. . . but enough of that, Schmuh's guests had stopped looking, they could see nothing more, because their eyes were running over and not because their hearts were so full; for it is not true that when the heart is full the eyes necessarily overflow, some people can never manage it, especially in our century, which in spite of all the suffering and sorrow will surely be known to posterity as the tearless century. (skip) what did the onion juice do? It did what the world and the sorrows of the world could not do: it brought forth a round, human tear. It mad them cry. At last they were able to cry again. To cry properly, without restraint, to cry like mad. The tears flowed and washed everything away. The rain came. The dew. (skip)
After this cataclysm at twelve marks eighty, human beings who have had a good cry open their mouths to speak. Still hesitant, startled by their nakedness of their own words, the weepers poured out their hearts to their neighbors on the uncomfortable, burlap-covered crates, submitted to questioning, let themselves to turned inside-out like overcoats.
my poor mama, the foolish and lovable Jan Bronski, and Matzerath, the cook who knew how to transform feelings into soups? All of them needed to be wept for.
- 대학시절 그저 난잡한 책이라고 만 느껴졌던 때와는 다르게 작년 11월부터 읽기 시작해 중간중간 책의 무게가 너무 무거워 쉬어가며 읽은 책. 자라지 못하는 몸을 가진 오스카의 말로 형언해내기 어려운 생각과 그의 행동 속에 표현되지지 못한 우리자신의, 사회의, 시대의 추한 모습을 보는 듯하여 소름이 돋았다. 유리를 깨는 그의 목청과 미친듯한 드럼의 소리로 시대에 무기력한 인간의 절규를 표현해 낸 듯 하다. 그의 obscene한 생각과 행동들이 무척이나 쓸쓸하고 슬픈 것은 Gunter Grass의 천재적인 표현에 의해서만 가능한 듯.
Saul became Paul. (skip) but I screamed silently, screamed as perhaps a star screams of a fish deep down in the sea. I screamed first into the frosty night that new snow might fall at last, and then into the glass, the dense glass, the precious glass, the cheap glass, the transparent glass, the partitioning glass, the glass between worlds, the virginal, mystical glass that separated Jan Bronski from the ruby necklace, cutting a hole just right for Jan's glove size, which was well known to me. I mad the cutout fall inward like a trap door, like the gate of heaven or the gate of hell:
(skip)
and found me, Oskar, in the doorway.
revealing an abyss of emptiness which apparently nothing could fill but enormous quantities of fried, boiled, preserved, and smoked fish.
He wished to go down into the pit with Mama and the fetus. And there he wished to remain while the survivors tossed in their handfuls of earth, no, Oskar didn't wish to come up, he wished to sit on the tapering foot end of the coffin, drumming if possible, drumming under the earth, until the sticks rotted out of his hands, until his mama for his sake and he for her sake should rot away, giving their flesh to the earth and its inhabitants; with his very knuckles Oskar would have wished to drum for the fetus, if it had only been possible and allowed.
while Oskar cried from hate and love, which turned to a leaden helplessness but could not die.
Everything about Greff was overdone.
Though I had not forgotten them, I missed none of them.
Against all my better judgement, despite my ingrained skepticism, I wanted happiness.
As soon as the Onion Cellar had filled up - half-full was regarded as full - Schmuh, the host, donned his shawl. (skip)
The customers - businessmen, doctors, lawyers, artists, journalists, theater and movie people, well-known figures from the sporting world, officials in the provincial and municipal government, in short, a cross section of the world which nowadays calls itself intellectual - came with wives, mistresses, secretaries, interior decorators, and occasional male mistresses, to sit on crates covered with burlap. Until Schmuh put on his golden-yellow onions, the conversation subdued, forced, dispirited. These people wanted to talk, to unburden themselves, but they couldn't seem to get started; despite all their efforts, they left the essential unsaid, talked around it. Yet how eager they were to spill their guts, to talk from their hearts, their bowels, their entrails, to forget about their brains just this once, to lay bare the raw, unvarnished truth, the man within. (skip)
The Onion Cellar had its specialty: onions. And moreover, the onion, the cut onion, when you look at it closely. . . but enough of that, Schmuh's guests had stopped looking, they could see nothing more, because their eyes were running over and not because their hearts were so full; for it is not true that when the heart is full the eyes necessarily overflow, some people can never manage it, especially in our century, which in spite of all the suffering and sorrow will surely be known to posterity as the tearless century. (skip) what did the onion juice do? It did what the world and the sorrows of the world could not do: it brought forth a round, human tear. It mad them cry. At last they were able to cry again. To cry properly, without restraint, to cry like mad. The tears flowed and washed everything away. The rain came. The dew. (skip)
After this cataclysm at twelve marks eighty, human beings who have had a good cry open their mouths to speak. Still hesitant, startled by their nakedness of their own words, the weepers poured out their hearts to their neighbors on the uncomfortable, burlap-covered crates, submitted to questioning, let themselves to turned inside-out like overcoats.
my poor mama, the foolish and lovable Jan Bronski, and Matzerath, the cook who knew how to transform feelings into soups? All of them needed to be wept for.
- 대학시절 그저 난잡한 책이라고 만 느껴졌던 때와는 다르게 작년 11월부터 읽기 시작해 중간중간 책의 무게가 너무 무거워 쉬어가며 읽은 책. 자라지 못하는 몸을 가진 오스카의 말로 형언해내기 어려운 생각과 그의 행동 속에 표현되지지 못한 우리자신의, 사회의, 시대의 추한 모습을 보는 듯하여 소름이 돋았다. 유리를 깨는 그의 목청과 미친듯한 드럼의 소리로 시대에 무기력한 인간의 절규를 표현해 낸 듯 하다. 그의 obscene한 생각과 행동들이 무척이나 쓸쓸하고 슬픈 것은 Gunter Grass의 천재적인 표현에 의해서만 가능한 듯.
2014년 9월 30일 화요일
Karl Jaspers의 'Way to Wisdom'중
Nor is philosophical thought, like sciences, characterized by progressive development. Beyond any doubt, we are far more advanced than Hippocrates, the Greek physician. But we are scarcely entitled to say that we have progressed beyond Plato. (skip)
The certainty to which it aspires is not of the objective, scientific sort, which is the same for every mind; it is inner certainty in which a man's whole being participates. Whereas science always pertains to particular objects, the knowledge of which is by no means indispensable to all men, philosophy deals with the whole of being, which concerns man as man, with a truth which, wherever it is manifested, moves us more deeply than any scientific knowledge.
Our own humanity, our own destiny, our own experience strike us as a sufficient basis for philosophical opinions.
(skip) The circuitous paths traveled by specialists in philosophy have meaning only if they lead man to an awareness of being and of his place in it.
(skip) Every man must accomplish it for himself.
The Greek word for philosopher (philosophos) connotes a distinction from sophos. It signifies the lover of wisdom (knowledge) (skip) the essence of philosophy is not the possession of truth but the search for truth, (skip) Philosophy means to be on the way. Its questions are more essential than its answers, and every answer becomes a new question.
Philosophy is the principle of concentration through which man becomes himself, by partaking reality.
It is a task which man will face in one form or another as long as he remains man.
The Stoic Epictetus said, "Philosophy arises when we become aware of our own weakness and helplessness." (skip) By looking upon everything that is not within my power as necessary and indifferent to me, but by raising what does depend on me, namely the mode and content of my ideas, to clarity and freedom by thought.
I must die, I must suffer, I must struggle, I am subject to chance, I involve myself inexorably in guilt. We call these fundamental situations of our existence ultimate situations. (skip) Along with wonder and doubt, awareness of these ultimate situations is the most profound source of philosophy. In our day-to-day lives we often evade them, by closing our eyes and living as if they did not exist. We forget that we must die, forget our guilt, and forget that we are at the mercy of chance. We face only concrete situations and master them to our profit, we react to them by planning and acting in the world, under the impulsion of our practical interests. But to ultimate situations we react either by obfuscation or, if we really apprehend them, by despair and rebirth; we become ourselves by changing our consciousness of being.
no reliance can be placed in worldly existence.
But there is a counterweight to the general unreliability of the world: there are in the world things worthy of faith, things that arouse confidence. (skip) But precariousness of all worldly existence is a warning to us, it forbids us to content ourselves with the world: it points to something else.
The way in which man approaches his failure determines how that man will become.
I should not suffer deeply from lack of communication or find such unique pleasure in authentic communication if I for myself, in absolute solitude, could be certain of the truth. But I am only in conjunction with the Other, alone I am nothing.
And so we may say that wonder, doubt, the experience of ultimate situations are indeed the sources of philosophy, but the ultimate source is the will to authentic communication, which embraces all the rest.
As Schopenhauer said, there is no object without subject and there is no subject without object. (skip)
It can only mean that being as a whole neither subject nor object but must be the Comprehensive,
as Dasein, being-there
The fall from absolutes which were after all illusory becomes an ability to soar; what seemed an abyss becomes space for freedom; apparent Nothingness is transformed into that from which authentic being speaks to us.
But this God of the Greek thinkers is a God originating in thought, not the living God of Jeremiah. In essence the two coincide. From this twofold rook Western theology and philosophy have, in infinite modulations, reflected that God is and pondered on what He is.
limiting himself to determine object knowledge, that is to scientific cognition, he ceases to philosophize, saying: It is best not to talk of what we do not know.
God never becomes a tangible object in the world - and this means that man must not abandon his freedom to the tangibilities, authorities, powers of the world; that he bears responsibility for himself, and must not evade this responsibility by renouncing freedom ostensibly for the sake of freedom. He must owe his own decision and the road he chooses to himself.
In every case an aim determines means appropriate to it.
Only when I live by something that can no longer be explained by object knowledge do I live by the unconditional.
(skip)
the unconditional attitude implies a decision, lucidly taken, out of unfathomable depth, a decision with which I myself am identical. (skip)
The unconditional is hidden, only in extreme situations does it by silent decision determine a man's road; (skip)
since man arrives at his unconditional foundation not by the degrees but by a leap into another dimension.
The unconditional imperative is not given like empirical existence. It grows within man in time.
evil is the life of the man who remains in the sphere of the contingent, who merely lives from day to day like an animal, well or badly, in the unrest of change - a life in which there is no decision.
Good in contradiction is the life of the man who does not reject the happiness in this world but subordinates it to the morally admissible, seen as the universal law of just action.
A man can only want one thing or the other, if he is authentic. (skip) Instead of deciding, we vacillate and stumble through life, combine the one with the other and even accept such a state of things as a necessary contradiction. This indecision is in itself evil. (skip) He becomes himself when he decides which way he is going and acts accordingly.
Man is fundamentally more than he can know about himself.
In the world, those powers which have flung us to the ground strive to dominate us: fear of the future, anxious attachment to present possessions, care in the face of dire possibilities. Opposing them man can perhaps in the face of death gain a confidence which will enable him, even in the most extreme, inexplicable, meaningless situation, to die in peace.
To be a man is to become a man.
We have heard the outcry: Science destroys faith. Greek science could be built into faith and was useful for its elucidation, but modern science is utterly ruinous. (skip)
Where science lost man falls into the twilight of vaguely edifying sentiments, of fanatical decisions arrived at in self-willed blindness. Barriers are erected, man is led into new prisons.
The spiritual process which took place between 800 to 200 B.C. seems to constitute such an axis. (skip) "axial age." Extraordinary events are crowded into this period. In China lived Confucius and Lao Tse, all the trends in Chinese philosophy arose, it was the era of MoTse, Chuang Tse and countless others. In India it was the age of the Upanishads and of Buddha; as in China, all philosophical trends, including skepticism and materialism, sophistry and nihilism, were developed. In Iran Zarathustra put forward his challenging conception of the cosmic process as a struggle between good and evil; in Palestine prophets arose: Elijah, Isaiah, Jeremiah, Deutero-Isaiah; Greece produced Homer, the philosophers Parmenides, Heraclitus, Plato, the tragic poets, Thucydides, and Archimedes. All the vast development of which these names are a mere intimation took place in these few centuries, independently and almost simultaneously in China, India, and the West.
(skip) And in consciously apprehending his limits he set himself the highest aims. He experienced the absolute in the depth of selfhood and in the clarity of transcendence.
(skip)
For the first time there were philosophers. Men dared to stand upon their own feet as individuals. Hermits and wandering thinkers in China, ascetics in India, philosophers in Greece, prophets in Israel may be grouped together, greatly as they differ in faith, ideas, and inner attitude. Man opposed his own inwardness to the whole world. He discovered in himself the primal source, by virtue of which he might rise above himself and the world.
(skip) renaissances. True, there have been great new spiritual creations but they have been inspired by ideas acquired in the axial age. (skip)
But today we are living in the era of the most terrible catastrophes. It seems as though everything that had been transmitted to us were being melted down, and yet there is no convincing sigh that a new edifice is in the making.
Being is revealed in man through his dealings with other men.
When in our isolation we see our lives seeping away as a mere succession of moments, tossed meaninglessly about by accidents and overwhelmed events; when we contemplate a history that seems to be at the end, leaving only chaos behind it, then we are impelled to raise ourselves above history.
Yet we must remain aware of our epoch and our situation. (skip) We must not adjust our potentialities to the low level of our age, not subordinate ourselves to our epoch, but attempt, by elucidating the age, to arrive at the point where we can live out of our primal source.
(skip) By making history our own, we cast an anchor through history into eternity.
An irresponsible playing with contradictions permits such a man to take any position he finds convenient. He is versed in all methods but adheres strictly to none. (skip) No authentic discussion with him is possible but only a talking back and forth about a wide variety of "interesting" things.
(skip)
We drift along, without desire to do or to be anything in particular. We do what is asked of us or what seems appropriate. Genuine emotion is absurd. We are helpful in our everyday dealings with men.
No horizon, so distance, neither past nor future sustain this life which expects nothing and lives only here and now.
let us be master of our thoughts;
(skip)
let us acquire the power to learn from all the past by making it our own; let us listen from our contemporaries and remain open to all possibilities;
let each of us as an individual immerse himself in his own historicity, in his origin, in what he has done; let him posses himself of what he was, of what he has become, and of what has been given to him;
let us not to cease to grow through our own historicity into the historicity of man as a whole and thus make ourselves into citizens of the world.
(skip) only by rising from the chains that bind us to our emotions, not by destroying them do we come to ourselves. (skip) Then we shall suffer without complaining, despair without succumbing; we shall be shake but not overturned, for the inner independence that grows up in us will sustain us.
by repetition we must gain depth.
The desire to lead a philosophical life springs from the darkness in which the individual finds himself, from his sense of forlornness when he stares without love into the void, from his self-forgetfulness when he feels that he is being consumed by the busy-ness of the world, when he suddenly wakes up in terror and asks himself: What am I, what am I failing to do, what should I do?
(skip) it may even lead a man to feel that he is part of the machine, interchangeably shunted in here and there, and when left free, to feel that he is nothing and can do nothing with himself. (skip)
He must snatch himself out of it if he is not to lose himself to the world, to habits, to thoughtless banalities, to the beaten track.
What I gain for myself alone in reflection would - if it were all - be as nothing gained.
(skip) The truth begins with two.
Consequently philosophy demands: seek constant communication, risk it without reserve, renounce the defiant self-assertion which forces itself upon you in ever new disguises, live in the hope that in our very renunciation you will in some incalculable way be given back to yourself.
To philosophize is then at once to learn how to live and to how how to die.
(skip)
If to philosophize is to learn how to die, then we must learn how to die in order to lead a good life. To learn to live and learn how to die are one and the same thing.
Meditation teaches us the power of thought.
Thought is the beginning of human existence.
Our states of being are only manifestations of existential striving or failure. It lies in our very nature to be on the way.
(skip)
The ascent of philosophical life is the ascent of the individual man.
Having oriented himself on secure dry land - through realistic observation, through the special sciences, through logic and methodology - the philosopher at the limits of this land, explores the world of ideas over tranquil paths. And now like a butterfly he flutters over the ocean shore, out over the water; he spies a ship in which he would like to go on a voyage of discovery, to seek out the one thing which as transcendence is present in his existence. He peers after the ship - the method of philosophical thoughts and philosophical life - the ship which he sees and yet can never fully reach; and he struggles to reach it, sometimes strangely staggering and reeling.
We are creatures of this sort, and we are lost if we relinquish our orientation to the dry land. But we are not content to remain there. That is why our flutterings are so uncertain and perhaps so absurd to those who sit secure and content on dry land, and are intelligible only to those who have seized by the same unrest. For them the world is a point of departure for that flight upon which everything depends, which each man must venture on his own though in common with other men, and which can never become the object of any doctrine.
The churches are for all, philosophy for individuals. (skip) Philosophy is an expression of a realm of minds linked with one another through all people and ages; it is represented by no institution which excludes and welcomes.
Bruno, Descartes, Spinoza were solitary thinkers, without any institution behind them, seeking the truth for its own sake;
For philosophy is essentially concerned with the present. We have only one reality, and that is here and now. What we miss by our evasions will never return, but if we squander ourselves, then too we lose being. Each day is precious: a moment is everything.
We are remiss in our task if you lose ourselves in the past or future. Only through present reality can we gain access to the timeless: only in apprehending time can we attain to that sphere where all time is extinguished.
Even Greeks, to be sure, conceived of science as methodical, cogently certain, and universally valid knowledge. (skip)
To modern science nothing is indifferent. (skip) There is nothing that can evade it. Nothing must be hidden or passed alone in silence; nothing must remain a mystery.
Today neither theology nor philosophy creates a whole.
we are always on our way to a solution. And in this history helps us. Independent thinking does not spring from the void. What we think must have roots in reality.
And the very essence of philosophical thought is openness to the truth as a whole, not to barren, abstract truth but to truth in the diversity of its supreme realizations.
- 한국에서 읽은 '철학입문'을 다시 영어로 읽음. 언어에 따라 느껴지는 울림은 약간은 다른 듯 하지만 와 닿는 부분은 결국 같은 구절들이다.
Jaspers의 철학은 Nietzsche나 Sartre처럼 참신한 생각의 벌침을 맞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너무도 자명한 삶의 본질적 부분이나 일상의 삶에서 간과되고 있는 부분을 잘 보여주고 일깨워 준다. 철학은 한 사람의 생각에서 시작되어 철학적 자세로 발전되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그 결실을 가지는 것, 道上의 철학. 결과가 아니라 과정으로서 인간의 삶을 시간과 역사속에서 빛을 비추어 주는 것. 이러한 철학적 삶으로의 비약이 현실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 단단히 뿌리를 내리고 비상과 항해를 꿈꾸고 계획하고 실천하는 것. '인간은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이다.'라는 그의 말에 그의 생각이 응축되어 있는 것 같다. 그는 모든 것을 포용하면서도 치우치지 않으며 인간 존재에 대한 절대적 긍정을 가지고 살아나가는 것을 가르친다. 무엇보다도 불안정한 각박한 현대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가치인 듯.
The certainty to which it aspires is not of the objective, scientific sort, which is the same for every mind; it is inner certainty in which a man's whole being participates. Whereas science always pertains to particular objects, the knowledge of which is by no means indispensable to all men, philosophy deals with the whole of being, which concerns man as man, with a truth which, wherever it is manifested, moves us more deeply than any scientific knowledge.
Our own humanity, our own destiny, our own experience strike us as a sufficient basis for philosophical opinions.
(skip) The circuitous paths traveled by specialists in philosophy have meaning only if they lead man to an awareness of being and of his place in it.
(skip) Every man must accomplish it for himself.
The Greek word for philosopher (philosophos) connotes a distinction from sophos. It signifies the lover of wisdom (knowledge) (skip) the essence of philosophy is not the possession of truth but the search for truth, (skip) Philosophy means to be on the way. Its questions are more essential than its answers, and every answer becomes a new question.
Philosophy is the principle of concentration through which man becomes himself, by partaking reality.
It is a task which man will face in one form or another as long as he remains man.
The Stoic Epictetus said, "Philosophy arises when we become aware of our own weakness and helplessness." (skip) By looking upon everything that is not within my power as necessary and indifferent to me, but by raising what does depend on me, namely the mode and content of my ideas, to clarity and freedom by thought.
I must die, I must suffer, I must struggle, I am subject to chance, I involve myself inexorably in guilt. We call these fundamental situations of our existence ultimate situations. (skip) Along with wonder and doubt, awareness of these ultimate situations is the most profound source of philosophy. In our day-to-day lives we often evade them, by closing our eyes and living as if they did not exist. We forget that we must die, forget our guilt, and forget that we are at the mercy of chance. We face only concrete situations and master them to our profit, we react to them by planning and acting in the world, under the impulsion of our practical interests. But to ultimate situations we react either by obfuscation or, if we really apprehend them, by despair and rebirth; we become ourselves by changing our consciousness of being.
no reliance can be placed in worldly existence.
But there is a counterweight to the general unreliability of the world: there are in the world things worthy of faith, things that arouse confidence. (skip) But precariousness of all worldly existence is a warning to us, it forbids us to content ourselves with the world: it points to something else.
The way in which man approaches his failure determines how that man will become.
I should not suffer deeply from lack of communication or find such unique pleasure in authentic communication if I for myself, in absolute solitude, could be certain of the truth. But I am only in conjunction with the Other, alone I am nothing.
And so we may say that wonder, doubt, the experience of ultimate situations are indeed the sources of philosophy, but the ultimate source is the will to authentic communication, which embraces all the rest.
As Schopenhauer said, there is no object without subject and there is no subject without object. (skip)
It can only mean that being as a whole neither subject nor object but must be the Comprehensive,
as Dasein, being-there
The fall from absolutes which were after all illusory becomes an ability to soar; what seemed an abyss becomes space for freedom; apparent Nothingness is transformed into that from which authentic being speaks to us.
But this God of the Greek thinkers is a God originating in thought, not the living God of Jeremiah. In essence the two coincide. From this twofold rook Western theology and philosophy have, in infinite modulations, reflected that God is and pondered on what He is.
limiting himself to determine object knowledge, that is to scientific cognition, he ceases to philosophize, saying: It is best not to talk of what we do not know.
God never becomes a tangible object in the world - and this means that man must not abandon his freedom to the tangibilities, authorities, powers of the world; that he bears responsibility for himself, and must not evade this responsibility by renouncing freedom ostensibly for the sake of freedom. He must owe his own decision and the road he chooses to himself.
In every case an aim determines means appropriate to it.
Only when I live by something that can no longer be explained by object knowledge do I live by the unconditional.
(skip)
the unconditional attitude implies a decision, lucidly taken, out of unfathomable depth, a decision with which I myself am identical. (skip)
The unconditional is hidden, only in extreme situations does it by silent decision determine a man's road; (skip)
since man arrives at his unconditional foundation not by the degrees but by a leap into another dimension.
The unconditional imperative is not given like empirical existence. It grows within man in time.
evil is the life of the man who remains in the sphere of the contingent, who merely lives from day to day like an animal, well or badly, in the unrest of change - a life in which there is no decision.
Good in contradiction is the life of the man who does not reject the happiness in this world but subordinates it to the morally admissible, seen as the universal law of just action.
A man can only want one thing or the other, if he is authentic. (skip) Instead of deciding, we vacillate and stumble through life, combine the one with the other and even accept such a state of things as a necessary contradiction. This indecision is in itself evil. (skip) He becomes himself when he decides which way he is going and acts accordingly.
Man is fundamentally more than he can know about himself.
In the world, those powers which have flung us to the ground strive to dominate us: fear of the future, anxious attachment to present possessions, care in the face of dire possibilities. Opposing them man can perhaps in the face of death gain a confidence which will enable him, even in the most extreme, inexplicable, meaningless situation, to die in peace.
To be a man is to become a man.
We have heard the outcry: Science destroys faith. Greek science could be built into faith and was useful for its elucidation, but modern science is utterly ruinous. (skip)
Where science lost man falls into the twilight of vaguely edifying sentiments, of fanatical decisions arrived at in self-willed blindness. Barriers are erected, man is led into new prisons.
The spiritual process which took place between 800 to 200 B.C. seems to constitute such an axis. (skip) "axial age." Extraordinary events are crowded into this period. In China lived Confucius and Lao Tse, all the trends in Chinese philosophy arose, it was the era of MoTse, Chuang Tse and countless others. In India it was the age of the Upanishads and of Buddha; as in China, all philosophical trends, including skepticism and materialism, sophistry and nihilism, were developed. In Iran Zarathustra put forward his challenging conception of the cosmic process as a struggle between good and evil; in Palestine prophets arose: Elijah, Isaiah, Jeremiah, Deutero-Isaiah; Greece produced Homer, the philosophers Parmenides, Heraclitus, Plato, the tragic poets, Thucydides, and Archimedes. All the vast development of which these names are a mere intimation took place in these few centuries, independently and almost simultaneously in China, India, and the West.
(skip) And in consciously apprehending his limits he set himself the highest aims. He experienced the absolute in the depth of selfhood and in the clarity of transcendence.
(skip)
For the first time there were philosophers. Men dared to stand upon their own feet as individuals. Hermits and wandering thinkers in China, ascetics in India, philosophers in Greece, prophets in Israel may be grouped together, greatly as they differ in faith, ideas, and inner attitude. Man opposed his own inwardness to the whole world. He discovered in himself the primal source, by virtue of which he might rise above himself and the world.
(skip) renaissances. True, there have been great new spiritual creations but they have been inspired by ideas acquired in the axial age. (skip)
But today we are living in the era of the most terrible catastrophes. It seems as though everything that had been transmitted to us were being melted down, and yet there is no convincing sigh that a new edifice is in the making.
Being is revealed in man through his dealings with other men.
When in our isolation we see our lives seeping away as a mere succession of moments, tossed meaninglessly about by accidents and overwhelmed events; when we contemplate a history that seems to be at the end, leaving only chaos behind it, then we are impelled to raise ourselves above history.
Yet we must remain aware of our epoch and our situation. (skip) We must not adjust our potentialities to the low level of our age, not subordinate ourselves to our epoch, but attempt, by elucidating the age, to arrive at the point where we can live out of our primal source.
(skip) By making history our own, we cast an anchor through history into eternity.
An irresponsible playing with contradictions permits such a man to take any position he finds convenient. He is versed in all methods but adheres strictly to none. (skip) No authentic discussion with him is possible but only a talking back and forth about a wide variety of "interesting" things.
(skip)
We drift along, without desire to do or to be anything in particular. We do what is asked of us or what seems appropriate. Genuine emotion is absurd. We are helpful in our everyday dealings with men.
No horizon, so distance, neither past nor future sustain this life which expects nothing and lives only here and now.
let us be master of our thoughts;
(skip)
let us acquire the power to learn from all the past by making it our own; let us listen from our contemporaries and remain open to all possibilities;
let each of us as an individual immerse himself in his own historicity, in his origin, in what he has done; let him posses himself of what he was, of what he has become, and of what has been given to him;
let us not to cease to grow through our own historicity into the historicity of man as a whole and thus make ourselves into citizens of the world.
(skip) only by rising from the chains that bind us to our emotions, not by destroying them do we come to ourselves. (skip) Then we shall suffer without complaining, despair without succumbing; we shall be shake but not overturned, for the inner independence that grows up in us will sustain us.
by repetition we must gain depth.
The desire to lead a philosophical life springs from the darkness in which the individual finds himself, from his sense of forlornness when he stares without love into the void, from his self-forgetfulness when he feels that he is being consumed by the busy-ness of the world, when he suddenly wakes up in terror and asks himself: What am I, what am I failing to do, what should I do?
(skip) it may even lead a man to feel that he is part of the machine, interchangeably shunted in here and there, and when left free, to feel that he is nothing and can do nothing with himself. (skip)
He must snatch himself out of it if he is not to lose himself to the world, to habits, to thoughtless banalities, to the beaten track.
What I gain for myself alone in reflection would - if it were all - be as nothing gained.
(skip) The truth begins with two.
Consequently philosophy demands: seek constant communication, risk it without reserve, renounce the defiant self-assertion which forces itself upon you in ever new disguises, live in the hope that in our very renunciation you will in some incalculable way be given back to yourself.
To philosophize is then at once to learn how to live and to how how to die.
(skip)
If to philosophize is to learn how to die, then we must learn how to die in order to lead a good life. To learn to live and learn how to die are one and the same thing.
Meditation teaches us the power of thought.
Thought is the beginning of human existence.
Our states of being are only manifestations of existential striving or failure. It lies in our very nature to be on the way.
(skip)
The ascent of philosophical life is the ascent of the individual man.
Having oriented himself on secure dry land - through realistic observation, through the special sciences, through logic and methodology - the philosopher at the limits of this land, explores the world of ideas over tranquil paths. And now like a butterfly he flutters over the ocean shore, out over the water; he spies a ship in which he would like to go on a voyage of discovery, to seek out the one thing which as transcendence is present in his existence. He peers after the ship - the method of philosophical thoughts and philosophical life - the ship which he sees and yet can never fully reach; and he struggles to reach it, sometimes strangely staggering and reeling.
We are creatures of this sort, and we are lost if we relinquish our orientation to the dry land. But we are not content to remain there. That is why our flutterings are so uncertain and perhaps so absurd to those who sit secure and content on dry land, and are intelligible only to those who have seized by the same unrest. For them the world is a point of departure for that flight upon which everything depends, which each man must venture on his own though in common with other men, and which can never become the object of any doctrine.
The churches are for all, philosophy for individuals. (skip) Philosophy is an expression of a realm of minds linked with one another through all people and ages; it is represented by no institution which excludes and welcomes.
Bruno, Descartes, Spinoza were solitary thinkers, without any institution behind them, seeking the truth for its own sake;
For philosophy is essentially concerned with the present. We have only one reality, and that is here and now. What we miss by our evasions will never return, but if we squander ourselves, then too we lose being. Each day is precious: a moment is everything.
We are remiss in our task if you lose ourselves in the past or future. Only through present reality can we gain access to the timeless: only in apprehending time can we attain to that sphere where all time is extinguished.
Even Greeks, to be sure, conceived of science as methodical, cogently certain, and universally valid knowledge. (skip)
To modern science nothing is indifferent. (skip) There is nothing that can evade it. Nothing must be hidden or passed alone in silence; nothing must remain a mystery.
Today neither theology nor philosophy creates a whole.
we are always on our way to a solution. And in this history helps us. Independent thinking does not spring from the void. What we think must have roots in reality.
And the very essence of philosophical thought is openness to the truth as a whole, not to barren, abstract truth but to truth in the diversity of its supreme realizations.
- 한국에서 읽은 '철학입문'을 다시 영어로 읽음. 언어에 따라 느껴지는 울림은 약간은 다른 듯 하지만 와 닿는 부분은 결국 같은 구절들이다.
Jaspers의 철학은 Nietzsche나 Sartre처럼 참신한 생각의 벌침을 맞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너무도 자명한 삶의 본질적 부분이나 일상의 삶에서 간과되고 있는 부분을 잘 보여주고 일깨워 준다. 철학은 한 사람의 생각에서 시작되어 철학적 자세로 발전되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그 결실을 가지는 것, 道上의 철학. 결과가 아니라 과정으로서 인간의 삶을 시간과 역사속에서 빛을 비추어 주는 것. 이러한 철학적 삶으로의 비약이 현실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 단단히 뿌리를 내리고 비상과 항해를 꿈꾸고 계획하고 실천하는 것. '인간은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이다.'라는 그의 말에 그의 생각이 응축되어 있는 것 같다. 그는 모든 것을 포용하면서도 치우치지 않으며 인간 존재에 대한 절대적 긍정을 가지고 살아나가는 것을 가르친다. 무엇보다도 불안정한 각박한 현대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가치인 듯.
2014년 9월 16일 화요일
Victor E. Frankl 의 'Man's Search for Meaning' 중
if a book has one passage, one idea with the power to change a person's life, that alone justifies reading it, rereading it, and finding room for it on one's own shelves.
<Harold S. Kushner in 'Forward' Chapter>
I. EXPERIENCES IN A CONCENTRATION CAMP
Sensitive people who were used to a rich intellectual life may have suffered much pain (the were often of a delicate constitution), but the damage to their inner selves was less. They were able to retreat from their terrible surroundings to a life of inner riches and spiritual freedom.
As inner life of the prisoner tended to become more intense, he also experienced the beuaty of art and nature as never before. (skip) If someone had seen our faces on the journey from Auschwitz to a Bavarian camp as we beheld the mountains of Salzburg with their summits glowing in the sunset, through the little barred windows of the prison carriage, he would never have believed that those were the faces of men who had given up all hope of life and liberty. Despite that factor-or maybe because of it - we were carried away by nature's beauty, which we had missed for so long.
The violin wept and a part of me wept with it.
Dostoevski said once, "There is only one thing that I dread: not to be worthy of sufferings."
What does Spinoza say in his Ethics? - "Affectus, qui passio est, desinit esse passio simulatque eius claram et distinctam formamus ideam." Emotion, which is suffering, ceases to be suffering as we form clear and precise picture of it.
Nietzsche's words, "He who has a why to live for can bear with almost any how,"
And I quoted Nietzsche: "Was mich nicht umbringt, macht mich starker." (That which does not kill me, makes me stronger.)
Life in a concentration camp tore open the human soul and exposed its depths. Is it surprising that in those depths we again found only human qualities which in their very nature were a mixture of good and evil? The rift dividing good from evil, which goes through all human beings, reaches into the lowest depths and becomes apparent even on the bottom of the abyss which is laid open by the concentration camp.
Here it was not one's fellow man (whose superficiality and lack of feeling was so disgusting that one finally felt like creeping into a hole and neither hearing nor seeing human beings any more) but fate itself which seemed so cruel. A man who for years had thought he had reached the absolute limit of all possible suffering now found that suffering has no limits, and that he could suffer still more, and still more intensely.
II. LOGOTHERAPY IN A NUTSHELL
Logotherapy focuses rather on the future, that is to say, on the meanings to be fulfilled by patient in his future.
Logos is a Greek word which denotes "meaning." (skip) focuses on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as well as on man's search for such a meaning. According to logotherapy, this striving to find a meaning in one's life is the primary motivational force in man.
This meaning is unique and specific in that is must and can be fulfilled by him alone; (skip) Man, however, is able to live and even to die for the sake of his ideals and values!
Through an analysis lasting five years, the patient had been prompted more and more to accept his analyst's interpretations until he finally was unable to see the forest of reality for the trees of symbols and images. (skip) I would strictly deny that one's search for a meaning to his existence, or even his doubt of it, in every case is derived from, or results in , any disease. (skip) A man's concern, even his despair, over the worthwhileness of life is an existential distress but by no means a mental disease.
What man actually needs is not a tensionless state but rather the striving and struggling for worthwhile goal, a freely chosen task.
that feeling of which so many patients complain today, namely, the feeling of the total and ultimate meaninglessness of their lives. They lack awareness of a meaning worth living for. They are haunted by the experience of their inner emptiness, a void withing themselves; they are caught in that situation which I have called the "existential vacuum."
No instinct tells him what he has to do, and no tradition tells him what he ought to do; sometimes he does not even know what he wishes to do.
Sometimes the frustrated will to meaning is vicariously compensated for by a will to power, including the most primitive form of the will to power, the will to money. In other cases, the place of frustrated will to meaning is taken by the will to pleasure.
One should not search for an abstract meaning of life. Everyone has his own specific vocation or mission in life to carry out a concrete assignment which demands fulfillment. Therein he cannot replaced, nor can his life be repeated. (skip)
Ultimately, man should not ask what the meaning of his life is, but rather he must recognize that it is he who is asked. In a word, each man is questioned by life; and he can only answer to life by answering for his own life;
One should not search for an abstract meaning of life. Everyone has his own specific vocation or mission in life to carry out a concrete assignment which demands fulfillment. Therein he cannot be replaced, nor can his life be repeated. (skip)
but rather he must recognize that it is he who is asked. In a word, each man is questioned by life; and he can only answer to life by answering for his own life;
"Live as if you were living already for the second time and as if you had acted the first time as wrongly as you are about to act now!"
"the self-transcendence of human existence." It denotes the fact that being human always points, and is directed, to something, or someone, other than oneself - be it a meaning to fulfill or another human being to encounter.
When we are no longer able to change a situation, (skip) we are challenged to change ourselves.
To suffer unnecessarily is masochistic rather than heroic.
I have made a better human being out of my son."
But man is more than psyche.
things determine each other, but man is ultimately self-determining What he becomes - within the limits of endowment and environment - he has made out of himself. (skip) behave like swine while others behave like saints. Man has both potentialities within himself; which one is actualized depends on decisions but not on conditions.
POSTSCRIPT 1984
that optimism is not anything to be commanded or ordered.
But happiness cannot be pursued; it must ensue. One must have a reason to "be happy." Once the reason is found, however, one becomes happy automatically.
As for causation of the feeling of meaninglessness, (skip) that people have enough to live by but nothing to live for; they have the means but no meaning. To be sure, some do not even have means. (skip) being jobless was equated with being useless, and being useless was equated with having a meaningless life. (skip) The truth is that man does not live by welfare alone.
but he did decide not to let himself be broken by what had happened to him.
young people should envy them. It is true that the old have no opportunities, no possibilities in the future. But they have more than that. Instead of possibilities in the future, they have realities in the past - the potentialities they have actualized, the meanings they have fulfilled, the value they have realized - and nothing and nobody can ever remove these assets from the past.
(but everything great is just as difficult to realize as it is rare to find) (skip) decent people? It is true that they form a minority. More than that, they always will remain minority. And yet I see therein the very challenge to join the minority. For the world is in a bad state, but everything will become still worse unless each of us does his best.
- Nazi 의 집단수용소에서 살아남은 심리학자이자 의사인 Frankl 박사의 tragic optimism에 대한 의문은 인간의 자신의 삶에 대한 의미로 귀결된다고 이 책은 말하고 있다. 사람이 생각할 수 있는 극단의 상황에서, 동료의 대부분이 가스실의 연기로 사라지는 상황에서, 가족이 죽어가는 상황에서, 그래도 살아낼 수 있었던 힘의 근원은 무엇인가? 그는 인간이 자신의 생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면 아니면 혹은 의미를 찾거나 의심하는 과정에서 그 모든 역경의 과정에 의미가 부여된다고 말한다.
극단적인 고통의 상황뿐만 아니라, 인생이라는 여정에 포함된 모든 고난의 과정에서 자신에게만 독특한 의미를 찾아나가는 것이 인생을 제대로 살아가는 과정이라고. 그 절대적 긍정의 힘은 어디서 비롯되는가? 그것은 한 개인이 자신의 삶의 의미를 찾아나가는 데서 (혹은 심지어 의미를 의심하는 데에서부터도) 시작한다고 그는 역설한다. 이 존재의 의미를 찾지 못하면 존재의 진공상태에 빠지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힘에의 의지, 돈에의 의지, 즐거움에의 안착 등) 에너지를 쏟게 된다고 한다. 인간은 조건의 산물이 아니라 스스로 결정의 산물이며, 자신은 자기자신으로부터 만들어진다고 한다.
그의 tragic optimism에 절대적으로 긍정할 수 있는가? 아마도 그렇다고 말하기에는 나의 경험의 폭이 너무도 작다. 그러나 그의 주체적 인간으로서의 삶을 의미를 찾는 과정으로의 관점을 그의 경험으로서 증명해보인 것에 대해서는 가슴깊은 동의 밖에 할 수 없는 것 같다. 또한 'logotherapy'라는 영역으로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결국 자신의 삶의 의미라는 것을 깨닫는 과정, Jaspers 가 말한대로 '인간은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이다'라는 말과도 상통한다. 집단 수용소에서 Frankl박사가 수없이 자신에게 되내인 것처럼, 니체가 말한대로 'why'를 발견하면 'how'는 어떻게든 되는 것인지도.
<Harold S. Kushner in 'Forward' Chapter>
I. EXPERIENCES IN A CONCENTRATION CAMP
Sensitive people who were used to a rich intellectual life may have suffered much pain (the were often of a delicate constitution), but the damage to their inner selves was less. They were able to retreat from their terrible surroundings to a life of inner riches and spiritual freedom.
As inner life of the prisoner tended to become more intense, he also experienced the beuaty of art and nature as never before. (skip) If someone had seen our faces on the journey from Auschwitz to a Bavarian camp as we beheld the mountains of Salzburg with their summits glowing in the sunset, through the little barred windows of the prison carriage, he would never have believed that those were the faces of men who had given up all hope of life and liberty. Despite that factor-or maybe because of it - we were carried away by nature's beauty, which we had missed for so long.
The violin wept and a part of me wept with it.
Dostoevski said once, "There is only one thing that I dread: not to be worthy of sufferings."
What does Spinoza say in his Ethics? - "Affectus, qui passio est, desinit esse passio simulatque eius claram et distinctam formamus ideam." Emotion, which is suffering, ceases to be suffering as we form clear and precise picture of it.
Nietzsche's words, "He who has a why to live for can bear with almost any how,"
And I quoted Nietzsche: "Was mich nicht umbringt, macht mich starker." (That which does not kill me, makes me stronger.)
Life in a concentration camp tore open the human soul and exposed its depths. Is it surprising that in those depths we again found only human qualities which in their very nature were a mixture of good and evil? The rift dividing good from evil, which goes through all human beings, reaches into the lowest depths and becomes apparent even on the bottom of the abyss which is laid open by the concentration camp.
Here it was not one's fellow man (whose superficiality and lack of feeling was so disgusting that one finally felt like creeping into a hole and neither hearing nor seeing human beings any more) but fate itself which seemed so cruel. A man who for years had thought he had reached the absolute limit of all possible suffering now found that suffering has no limits, and that he could suffer still more, and still more intensely.
II. LOGOTHERAPY IN A NUTSHELL
Logotherapy focuses rather on the future, that is to say, on the meanings to be fulfilled by patient in his future.
Logos is a Greek word which denotes "meaning." (skip) focuses on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as well as on man's search for such a meaning. According to logotherapy, this striving to find a meaning in one's life is the primary motivational force in man.
This meaning is unique and specific in that is must and can be fulfilled by him alone; (skip) Man, however, is able to live and even to die for the sake of his ideals and values!
Through an analysis lasting five years, the patient had been prompted more and more to accept his analyst's interpretations until he finally was unable to see the forest of reality for the trees of symbols and images. (skip) I would strictly deny that one's search for a meaning to his existence, or even his doubt of it, in every case is derived from, or results in , any disease. (skip) A man's concern, even his despair, over the worthwhileness of life is an existential distress but by no means a mental disease.
What man actually needs is not a tensionless state but rather the striving and struggling for worthwhile goal, a freely chosen task.
that feeling of which so many patients complain today, namely, the feeling of the total and ultimate meaninglessness of their lives. They lack awareness of a meaning worth living for. They are haunted by the experience of their inner emptiness, a void withing themselves; they are caught in that situation which I have called the "existential vacuum."
No instinct tells him what he has to do, and no tradition tells him what he ought to do; sometimes he does not even know what he wishes to do.
Sometimes the frustrated will to meaning is vicariously compensated for by a will to power, including the most primitive form of the will to power, the will to money. In other cases, the place of frustrated will to meaning is taken by the will to pleasure.
One should not search for an abstract meaning of life. Everyone has his own specific vocation or mission in life to carry out a concrete assignment which demands fulfillment. Therein he cannot replaced, nor can his life be repeated. (skip)
Ultimately, man should not ask what the meaning of his life is, but rather he must recognize that it is he who is asked. In a word, each man is questioned by life; and he can only answer to life by answering for his own life;
One should not search for an abstract meaning of life. Everyone has his own specific vocation or mission in life to carry out a concrete assignment which demands fulfillment. Therein he cannot be replaced, nor can his life be repeated. (skip)
but rather he must recognize that it is he who is asked. In a word, each man is questioned by life; and he can only answer to life by answering for his own life;
"Live as if you were living already for the second time and as if you had acted the first time as wrongly as you are about to act now!"
"the self-transcendence of human existence." It denotes the fact that being human always points, and is directed, to something, or someone, other than oneself - be it a meaning to fulfill or another human being to encounter.
When we are no longer able to change a situation, (skip) we are challenged to change ourselves.
To suffer unnecessarily is masochistic rather than heroic.
I have made a better human being out of my son."
But man is more than psyche.
things determine each other, but man is ultimately self-determining What he becomes - within the limits of endowment and environment - he has made out of himself. (skip) behave like swine while others behave like saints. Man has both potentialities within himself; which one is actualized depends on decisions but not on conditions.
POSTSCRIPT 1984
that optimism is not anything to be commanded or ordered.
But happiness cannot be pursued; it must ensue. One must have a reason to "be happy." Once the reason is found, however, one becomes happy automatically.
As for causation of the feeling of meaninglessness, (skip) that people have enough to live by but nothing to live for; they have the means but no meaning. To be sure, some do not even have means. (skip) being jobless was equated with being useless, and being useless was equated with having a meaningless life. (skip) The truth is that man does not live by welfare alone.
but he did decide not to let himself be broken by what had happened to him.
young people should envy them. It is true that the old have no opportunities, no possibilities in the future. But they have more than that. Instead of possibilities in the future, they have realities in the past - the potentialities they have actualized, the meanings they have fulfilled, the value they have realized - and nothing and nobody can ever remove these assets from the past.
(but everything great is just as difficult to realize as it is rare to find) (skip) decent people? It is true that they form a minority. More than that, they always will remain minority. And yet I see therein the very challenge to join the minority. For the world is in a bad state, but everything will become still worse unless each of us does his best.
- Nazi 의 집단수용소에서 살아남은 심리학자이자 의사인 Frankl 박사의 tragic optimism에 대한 의문은 인간의 자신의 삶에 대한 의미로 귀결된다고 이 책은 말하고 있다. 사람이 생각할 수 있는 극단의 상황에서, 동료의 대부분이 가스실의 연기로 사라지는 상황에서, 가족이 죽어가는 상황에서, 그래도 살아낼 수 있었던 힘의 근원은 무엇인가? 그는 인간이 자신의 생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면 아니면 혹은 의미를 찾거나 의심하는 과정에서 그 모든 역경의 과정에 의미가 부여된다고 말한다.
극단적인 고통의 상황뿐만 아니라, 인생이라는 여정에 포함된 모든 고난의 과정에서 자신에게만 독특한 의미를 찾아나가는 것이 인생을 제대로 살아가는 과정이라고. 그 절대적 긍정의 힘은 어디서 비롯되는가? 그것은 한 개인이 자신의 삶의 의미를 찾아나가는 데서 (혹은 심지어 의미를 의심하는 데에서부터도) 시작한다고 그는 역설한다. 이 존재의 의미를 찾지 못하면 존재의 진공상태에 빠지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힘에의 의지, 돈에의 의지, 즐거움에의 안착 등) 에너지를 쏟게 된다고 한다. 인간은 조건의 산물이 아니라 스스로 결정의 산물이며, 자신은 자기자신으로부터 만들어진다고 한다.
그의 tragic optimism에 절대적으로 긍정할 수 있는가? 아마도 그렇다고 말하기에는 나의 경험의 폭이 너무도 작다. 그러나 그의 주체적 인간으로서의 삶을 의미를 찾는 과정으로의 관점을 그의 경험으로서 증명해보인 것에 대해서는 가슴깊은 동의 밖에 할 수 없는 것 같다. 또한 'logotherapy'라는 영역으로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결국 자신의 삶의 의미라는 것을 깨닫는 과정, Jaspers 가 말한대로 '인간은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이다'라는 말과도 상통한다. 집단 수용소에서 Frankl박사가 수없이 자신에게 되내인 것처럼, 니체가 말한대로 'why'를 발견하면 'how'는 어떻게든 되는 것인지도.
2014년 8월 3일 일요일
Elisabeth Kubler-Ross의 'On Life after Death' 중
If you have a clear conscience and are doing your work with love, others will spit on you and try to make your life miserable. Then, ten years later, you are honored with eighteen doctorates for the same work.
If you do not push this statement aside, but continue to sit and listen, then the dying one will tell you all he wants to share. After the patient dies you will have a good feeling because you may have been the only person who took his words seriously.
You, too, have to know when apporoaching the bed of your dying mother and father, who may be in a deep coma, that this woman or man can hear everything you say. At those moments it is not too late to say: "Sorry," or "I love you," or whatever else you want to say. For these words, it si never too late to say them, even to the dead ones, because they can still hear you. .Even then you can finish "unfinished business" which you might have carried with you for ten or twenty years.
When they die, they will know anyway.
There is proof that every human being, from his birth until his death, is guided by a spirit entity. Everyone has such a spirit guide, whether you believe it or not.
you are simply received by those who meant the most to you.
After you have passed this tunnel, bridge, or mountain pass, you are at its end embraced by light. This light is whiter that white.
During this review of your earthly life you will not blame God for your fate, but you will know that you yourself were your own worst enemy since you are now accusing yourself of having neglected so many opportunities to grow.
Think about the fact that those people for whom you select the most costly Christmas presents are often those people you fear the most, and for whom your feelings are the most negative ones.
If you live well, you will never have to worry about dying. You can do that even if you have only one day to live.
becuase to go to a place that you love is easy. To go to a place where you have every bit of it, is a test.
I identified myself with their misery and their lonelines and their desperation, and suddenly my patients started to talk, even people who didn't talk for twenty years.
but knowledge alone is not going to help anybody. If you do not use your head and your heart and your soul, you are not going to help a single human being. (skip) each one has a purpose.
You will not grow if you sit in a beautiful flower garden and somebody brings you gorgeous food on a silver platter. But you will grow if you are sick, if you are in pain, if you experience losses, and if you do not put your head in the sand but take the pain and learn to accept it not as a curse, or a punishment, but as a gift to you with a very, very specific purpose.
You can finally do the things that you really want to do. How many of you truly do the kind of work that you really want to do from the bottom of your heart? If you don't, you should go home and change your work.
Almost all of my patients are children now. I take them home to die.
The work with death and dying was simply a testing ground for me, to see if I can take hardship, abuse, and resistance. And I passed the test. The second test was to see if I could handle fame. And that didn't affect me, so I passed that too.
But my real job is, and this is why I need your help, to tell people that death does not exist. (skip) Get rid of all your negativity and begin to view life as a challenge, a testing ground of your own inner resources and strength.
You make your own hell or your own heaven by the way you have lived.
Spirituality is an awareness that there is something far greater than we are, something that created this universe, created life, and that we are an authentic, important, significant part of it, and can contribute to its evolution.
why no one can die alone.
"Honey, don't die on me, I can't live without you." So, what we are doing to those patients, is to make them, in a sense, guilty of dying on us.
Shanti Nilaya, mean the final home of peace,
Trying to keep a lid on their emotions in the presence of other family members makes them awfully shor tempered and vulnerable to outbursts of tears for the smallest reason. (skip)
It takes time to heal. It takes time to mourn. (skip) Never judge or criticize anyone who tried to cope with the loss of a parent in his own way. There are coping mechanisms which may work for them that are inconceivable for you.
- '어떻게 죽을 것인가'라는 문제에 대해서 문득 문득 생각하기 시작할 무렵, 슬픔의 위안이라는 책을 읽게 되었고 그 책은 이 책으로 이어졌다. '어떻게 죽을 것인가'하는 문제가 결론적으로는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문제로 귀결된다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Kubler-Ross박사는 죽음을 '끝' 혹은 '종말'로 보지 않고 '변환'의 과정으로 보고 있다. 수많은 death beds의 곁을 지키면서 그녀는 죽음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역설하고 있다. 죽음은 단지 애벌레가 나비로 탈바꿈하는 과정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녀는 오히려 이 죽음이 올 때까지 우리 인생을 어떻게 성장시켜 나갈 것이냐에 오히려 촛점을 두고 있다.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것이 있다면, 모든 공포 영화의 결말처럼, 바로 '죽음'일 것이다. 아마도 그것은 그에 대한 철저한 무지로부터 생겨나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녀의 죽음에 대한 부인에 대해서도 100% 동의하지는 않지만 그녀의 삶에 대한 생각은 100% 동의하는 바이다. 그리고 삶을 떠나가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그리고 남겨진 사람들에게 어떻게 위로가 되어야 하는지 조금은 더 알 수 있을 것 같다.
죽음을 아는 것은 삶을 더욱 소중하고 아끼도록 만들어 주는 듯.
If you do not push this statement aside, but continue to sit and listen, then the dying one will tell you all he wants to share. After the patient dies you will have a good feeling because you may have been the only person who took his words seriously.
You, too, have to know when apporoaching the bed of your dying mother and father, who may be in a deep coma, that this woman or man can hear everything you say. At those moments it is not too late to say: "Sorry," or "I love you," or whatever else you want to say. For these words, it si never too late to say them, even to the dead ones, because they can still hear you. .Even then you can finish "unfinished business" which you might have carried with you for ten or twenty years.
When they die, they will know anyway.
There is proof that every human being, from his birth until his death, is guided by a spirit entity. Everyone has such a spirit guide, whether you believe it or not.
you are simply received by those who meant the most to you.
After you have passed this tunnel, bridge, or mountain pass, you are at its end embraced by light. This light is whiter that white.
During this review of your earthly life you will not blame God for your fate, but you will know that you yourself were your own worst enemy since you are now accusing yourself of having neglected so many opportunities to grow.
Think about the fact that those people for whom you select the most costly Christmas presents are often those people you fear the most, and for whom your feelings are the most negative ones.
If you live well, you will never have to worry about dying. You can do that even if you have only one day to live.
becuase to go to a place that you love is easy. To go to a place where you have every bit of it, is a test.
I identified myself with their misery and their lonelines and their desperation, and suddenly my patients started to talk, even people who didn't talk for twenty years.
but knowledge alone is not going to help anybody. If you do not use your head and your heart and your soul, you are not going to help a single human being. (skip) each one has a purpose.
You will not grow if you sit in a beautiful flower garden and somebody brings you gorgeous food on a silver platter. But you will grow if you are sick, if you are in pain, if you experience losses, and if you do not put your head in the sand but take the pain and learn to accept it not as a curse, or a punishment, but as a gift to you with a very, very specific purpose.
You can finally do the things that you really want to do. How many of you truly do the kind of work that you really want to do from the bottom of your heart? If you don't, you should go home and change your work.
Almost all of my patients are children now. I take them home to die.
The work with death and dying was simply a testing ground for me, to see if I can take hardship, abuse, and resistance. And I passed the test. The second test was to see if I could handle fame. And that didn't affect me, so I passed that too.
But my real job is, and this is why I need your help, to tell people that death does not exist. (skip) Get rid of all your negativity and begin to view life as a challenge, a testing ground of your own inner resources and strength.
You make your own hell or your own heaven by the way you have lived.
Spirituality is an awareness that there is something far greater than we are, something that created this universe, created life, and that we are an authentic, important, significant part of it, and can contribute to its evolution.
why no one can die alone.
"Honey, don't die on me, I can't live without you." So, what we are doing to those patients, is to make them, in a sense, guilty of dying on us.
Shanti Nilaya, mean the final home of peace,
Trying to keep a lid on their emotions in the presence of other family members makes them awfully shor tempered and vulnerable to outbursts of tears for the smallest reason. (skip)
It takes time to heal. It takes time to mourn. (skip) Never judge or criticize anyone who tried to cope with the loss of a parent in his own way. There are coping mechanisms which may work for them that are inconceivable for you.
- '어떻게 죽을 것인가'라는 문제에 대해서 문득 문득 생각하기 시작할 무렵, 슬픔의 위안이라는 책을 읽게 되었고 그 책은 이 책으로 이어졌다. '어떻게 죽을 것인가'하는 문제가 결론적으로는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문제로 귀결된다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Kubler-Ross박사는 죽음을 '끝' 혹은 '종말'로 보지 않고 '변환'의 과정으로 보고 있다. 수많은 death beds의 곁을 지키면서 그녀는 죽음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역설하고 있다. 죽음은 단지 애벌레가 나비로 탈바꿈하는 과정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녀는 오히려 이 죽음이 올 때까지 우리 인생을 어떻게 성장시켜 나갈 것이냐에 오히려 촛점을 두고 있다.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것이 있다면, 모든 공포 영화의 결말처럼, 바로 '죽음'일 것이다. 아마도 그것은 그에 대한 철저한 무지로부터 생겨나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녀의 죽음에 대한 부인에 대해서도 100% 동의하지는 않지만 그녀의 삶에 대한 생각은 100% 동의하는 바이다. 그리고 삶을 떠나가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그리고 남겨진 사람들에게 어떻게 위로가 되어야 하는지 조금은 더 알 수 있을 것 같다.
죽음을 아는 것은 삶을 더욱 소중하고 아끼도록 만들어 주는 듯.
2014년 7월 6일 일요일
정호승의 '내 인생에 용기가 되어준 한마디' 중
'한 일 (一) 자를 10년 쓰면 붓끝에서 강물이 흐른다'
사진을 찍으려면 천 번을 찍어라.
'마음속에 푸른 가지를 품고 있으면 새가 날아와 그곳에 앉는다'는 중국 속담
척박한 땅에 뿌리를 내리는 아카시아는 살아남으려고 가시를 먼저 틔웁니다. 그러다가 오랜 세월 동안 둥치가 굵어지면서 가시 없이도 생존할 수 있게 되면 그때서야 꽃을 피우고 꿀을 생산합니다.
가지와 줄기가 뒤틀렸다고 해서 꽃마저 아름답지 않은 나무는 없습니다. 절망과 고통을 지나며 홀로 베개에 눈물을 적셔본 자만이 별빛이 아름답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인생은 자기가 생각한 대로 된다.
'서둘러 걸으면 라싸에 도착할 수 없다'는 티베트 속담
분노는 열려 있는 모든 문을 닫고 인내는 닫혀 있는 모든 문을 엽니다.
마라톤 선수에게 가장 요구되는 것은 레이스 끝까지 최고의 스피드를 유지하는 지구력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기 페이스를 마지막까지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런 용무늬는 용목이라는 나무에 있는데 그런 이름의 나무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저 느티나무에서 간혹 발견될 뿐입니다.
용목은 사실 심하게 상처받은 나무입니다. 병이 깊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몸의 한 부분이 옹이 지고 뒤틀린 나무입니다. 오랜 세월 가슴에 병을 품고 상처를 안으로만 다독이고 견디느라 다른 부분보다 더 단단해진 부분을 지닌 나무입니다. 말하자면 나무 안에서 자란 암 덩어리가 용무늬로 나타난 것입니다.
친구를 일컬어 '내 뼈를 묻어줄 사람, 내 관머리를 잡아줄 사람'으로 표현합니다.
하버드대 졸업장보다 독서하는 습관이 더 중요하다.
마이크로소프트사 창업주 빌 게이츠의 이 말은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에 부족함이 없습니다. (중략)
"컴퓨터가 책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다. 내가 살던 마을의 작은 도서관이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라고 말합니다.
밤하늘은 별을 사랑해도 자신을 온통 별로 채우지 않는다.
종이 한 장 자르는 데 도끼질하지 마라
과잉된 행위는 과잉된 삶을 불러오고, 헛된 노력은 헛된 삶을 불러옵니다. 본질 앞에 장식적 과잉과 헛된 노력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피천득 선생은 "내 마음의 허공은 그대로 둘지언정 아무것으로나 채우지는 아니한다"고 하셨습니다. 이는 "공백은 비어 있는 곳이고, 여백은 바늘 하나 찌를 곳 없는 충만을 뜻한다"고 한 화가 이종상 선생의 말씀과 일맥상통합니다.
걱정은 돌 하나도 옮길 수 없다.
"걱정하지 마라, 어떻게든 된다."
'불가능이란 노력하지 않는 자의 변명이다'
부모는 활이고 자식은 화살이라고 했습니다. (중략) 부모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활이 되어야 합니다. 부모의 삶의 태도는 곧 자신의 삶의 태도를 결정짓습니다.
천국을 맛보기 위해서는 네 가지 양념이 꼭 필요하다고 합니다. '단순함, 절제, 소박함, 작은 것에 만족함'
- 그의 산문집을 읽으면서 그의 질박한 솔직함이 글에 묻어나는 것을 느꼈다. 삶에 대한 그의 생각들을 여러 인용과 이야기들을 통해 쉽게 풀어나가면서도 삶에 용기를 주는 글들이 마음에 와 닿았다. 한국에서 한 번, 미국에 와서 다시 한 번 읽으면서, 사람이란 얼마나 그 때 그 때 이러한 정신적 양분이 필요한가를 새삼 느낀다. 조그만 머리 속에 들은 생각이라는 것이 시기, 비난, 경쟁, 욕심 등으로 뛰쳐나가지 않도록 좋은 말과 글로서 울타리를 쳐 주는 것이 언제나 필요한 듯 느껴진다. 그러기에 너무도 적합한 연초록의 울타리 같은 책.
사진을 찍으려면 천 번을 찍어라.
'마음속에 푸른 가지를 품고 있으면 새가 날아와 그곳에 앉는다'는 중국 속담
척박한 땅에 뿌리를 내리는 아카시아는 살아남으려고 가시를 먼저 틔웁니다. 그러다가 오랜 세월 동안 둥치가 굵어지면서 가시 없이도 생존할 수 있게 되면 그때서야 꽃을 피우고 꿀을 생산합니다.
가지와 줄기가 뒤틀렸다고 해서 꽃마저 아름답지 않은 나무는 없습니다. 절망과 고통을 지나며 홀로 베개에 눈물을 적셔본 자만이 별빛이 아름답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인생은 자기가 생각한 대로 된다.
'서둘러 걸으면 라싸에 도착할 수 없다'는 티베트 속담
분노는 열려 있는 모든 문을 닫고 인내는 닫혀 있는 모든 문을 엽니다.
마라톤 선수에게 가장 요구되는 것은 레이스 끝까지 최고의 스피드를 유지하는 지구력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기 페이스를 마지막까지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런 용무늬는 용목이라는 나무에 있는데 그런 이름의 나무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저 느티나무에서 간혹 발견될 뿐입니다.
용목은 사실 심하게 상처받은 나무입니다. 병이 깊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몸의 한 부분이 옹이 지고 뒤틀린 나무입니다. 오랜 세월 가슴에 병을 품고 상처를 안으로만 다독이고 견디느라 다른 부분보다 더 단단해진 부분을 지닌 나무입니다. 말하자면 나무 안에서 자란 암 덩어리가 용무늬로 나타난 것입니다.
친구를 일컬어 '내 뼈를 묻어줄 사람, 내 관머리를 잡아줄 사람'으로 표현합니다.
하버드대 졸업장보다 독서하는 습관이 더 중요하다.
마이크로소프트사 창업주 빌 게이츠의 이 말은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에 부족함이 없습니다. (중략)
"컴퓨터가 책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다. 내가 살던 마을의 작은 도서관이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라고 말합니다.
밤하늘은 별을 사랑해도 자신을 온통 별로 채우지 않는다.
종이 한 장 자르는 데 도끼질하지 마라
과잉된 행위는 과잉된 삶을 불러오고, 헛된 노력은 헛된 삶을 불러옵니다. 본질 앞에 장식적 과잉과 헛된 노력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피천득 선생은 "내 마음의 허공은 그대로 둘지언정 아무것으로나 채우지는 아니한다"고 하셨습니다. 이는 "공백은 비어 있는 곳이고, 여백은 바늘 하나 찌를 곳 없는 충만을 뜻한다"고 한 화가 이종상 선생의 말씀과 일맥상통합니다.
걱정은 돌 하나도 옮길 수 없다.
"걱정하지 마라, 어떻게든 된다."
'불가능이란 노력하지 않는 자의 변명이다'
부모는 활이고 자식은 화살이라고 했습니다. (중략) 부모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활이 되어야 합니다. 부모의 삶의 태도는 곧 자신의 삶의 태도를 결정짓습니다.
천국을 맛보기 위해서는 네 가지 양념이 꼭 필요하다고 합니다. '단순함, 절제, 소박함, 작은 것에 만족함'
- 그의 산문집을 읽으면서 그의 질박한 솔직함이 글에 묻어나는 것을 느꼈다. 삶에 대한 그의 생각들을 여러 인용과 이야기들을 통해 쉽게 풀어나가면서도 삶에 용기를 주는 글들이 마음에 와 닿았다. 한국에서 한 번, 미국에 와서 다시 한 번 읽으면서, 사람이란 얼마나 그 때 그 때 이러한 정신적 양분이 필요한가를 새삼 느낀다. 조그만 머리 속에 들은 생각이라는 것이 시기, 비난, 경쟁, 욕심 등으로 뛰쳐나가지 않도록 좋은 말과 글로서 울타리를 쳐 주는 것이 언제나 필요한 듯 느껴진다. 그러기에 너무도 적합한 연초록의 울타리 같은 책.
2014년 6월 20일 금요일
Arianna Huffington의 'Thrive' 중
we need Third Metric, a third measure of success that goes beyond the two metrics of money and power, and consists of four pillars: well-being, wisdom, wonder, and giving.
the same dilemmas we are all facing - the stress of overbusyness, overworking, overconnecting on social media, and underconnecting with ourselves and with one another.
Dr. Seuss summed it up beautifully; "How did it get so late so soon?"
For a long time it had seemed to me that life was about to begin - real life. But there was always some obstacle in the way. Something to be got through first, some unfinished business, time still to be served, a debt to be paid. Then life would begin. At last it dawned on me that these obstacles were my life.
-Fr. Alfred D'Souza-
"Often, the very first things we give up are those that nourish us the most but seem 'optional'," wirte Mark Williams and Danny Penman in Mindfulness:
The greatest weapon against stress is our ability to choose one thought over another.
-William James -
the ease which the big crises can wipe out the small ones that seemed so critical just a moment before.
And every day, the world will drag you by the hand, yelling. "This is important! And this is important! And this is important! You need to worry about this! And this! And this!"
And each day, it's up to you to yank your hand back, put it on your heart and say, "No. This is what's important."
what's good for us as individuals is also good for businesses and for countries.
"Health is Wealth,"
"Ideas are like fish," wrote director and longtime meditator David Lynch in his book Catching the Big Fish. "If you want to catch little fish, you can stay in the shallow water. But if you want to catch the big fish, you've got to go deeper. Down deep, the fish are more powerful and more pure. They're huge and abstract. And they're beautiful."
"The brain's alarm signals start to be triggered not only by the current scare, but by past threats and future worries...
"continuous partial attention" to describe the state of always being partly tuned into everything while never being completely tuned in to anything.
Given that we multitask now for most of our days, if now our lives,
So any tool that can increase our self-awareness and ability to listen and be in the moment is invaluable.
the better people are at taking care of themselves, the more effective they'll be in taking care of others, including their families, their coworkers, their communities, and their fellow citizens. When you're on an airplane you're told to "secure your own mask first before helping others," even your own child.
success is (skip) the quality of time we put in.
poor sleepers are seven times more likely to feel helpless and five times more likely to feel alone.
solvitur ambulando - "It is solved by walking." It refers to the fourth-century-BC greek philosopher Diogenes's response to the question of whether motion is real. To answer, he got up and walked. (skip)
In our culture of overwork, burnout, and exhaustion, how do we tap into our creativity, our wisdom, our capacity for wonder? Solvitur ambulando.
When I was growing up in Greece, my favorite poem was "Ithaka" by the Greek poet Constantine Cavafy.
Thomas Jefferson claimed the purpose of walking was to clear the mind of thoughts. (skip) For Henry David Thoreau, walking wasn't just a mean to an end; it was the end itself: "The walking of which I speak has nothing in it akin to taking exercise. . . but is itself the enterprise and adventure of the day."
(skip)
"Methinks that the moment my legs being to move, my thoughts begin to flow,"
the children are usually the biggest casualties of a bad divorce.
Resentment is like drinking poison and waiting for the other person to die.
- Carrie Fisher -
The seventeenth-century French mathematician and philosopher Blaise Pascal said that "all of humanity's problems stem from man's inability to sit quietly in a room alone."
The third-centry philosopher Plotinus wrote that there are three kinds of knowledge: "opinion, science, illumination. (skip) The Internet has made that first two types of knowledge very easy to come by. But it has taken us further away from that illumination, or wisdom, that is essential to living a life that matters.
that inner center in us that Marcus Aurelius called our "inner citadel."
But nobody can run fast enough to escape their own worries.
(- Mark Williams -)
writes David Brooks. "When making decisions about social relationships, it's foolish to swap the amazing machine in your skull for the crude machine on your desk," (skip) ours is a generation bloated with information and starved for wisdom.
Call it an iParadox: Our smartphones are actually blocking our path to wisdom.
Italians have other great traditions to draw from in preventing burnout: the riposo, the period of rest in the afternoon; and the evening stroll, the passeggiata, a time to disconnect from the pressures of the day.
An old Cherokee is teaching his grandson about life. "A fight is going on inside me," he said to the boy. "It is a terrible fight and it is between two wolves. One is evil - he is anger, envy, sorrow, regret, greed, arrogance, self-pity, guilt, resentment, inferiority, lies, false pride, superiority, and ego."
He continued, "The other is good - he is joy, peace, love, hope, serenity, humility, kindness, benevolence, empathy, generosity, truth, compassion, and faith. The same fight is going on inside you - and inside every other person, too."
The grandson thought about it for a minute and then asked his grandfather, "Which wolf will win?" The old Cherokee simply replied, "The one you feed."
- Cherokee Legend
spend two hours in a museum in front of a painting (skip) I was finally seeing one.
But when museums forget their DNA and get their heads turned by every new tech hottie that shimmies by, they undercut the point of their existence. Too much of the wrong kind of connection can actually disconnect us from an aesthetic experience.
No matter where you go, there you are.
- Buckaroo Banzai -
the serendipity of coincidence.
Where are our culture's preparations for leaving life with gratitude and grace?
"memento mori" - remember death, MM for short
Facing death means facing the ultimate question of the meaning of life. If we really want to live we must have the courage to recognize that life is ultimately very short, and that everything we do counts."
a "good death" is more likely if you have had a good life.
Here I was thinking that I had this wonderful gift that was not being recognized by the world. And then it dawned on me how many conditions I had put on my gift.
Our devices might seem like they're connecting us, and they do to a degree, but they're also disconnecting us from the world around us. And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people we encounter, it's hard to activate our hardwired instinct for empathy.
When you become involved in the lives of children for whom drive-by shootings are a regular occurrence, where on out of three fathers is in jail, and where there isn't enough to eat, it's much harder to worry about how you look, whether you're wearing the right clothes, whether you're pretty enough, and how thing you are.
- Huffington Post의 창립자이자 대표, 편집장인 Arianna Huffington 의 생각을 담은 책. 그녀 자신의 삶과 생각이라기 보다는 그녀의 삶에 대한 생각을 중심으로 자신의 경험의 일부와 다른 많은 글들을 체계적으로 엮어 현대에 간과하고 있는 핵심적인 삶의 가치를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는 책이다.
성공의 가치를 돈과 권력 (money and power) 라는 단순한 외형적인 부분에서 진정한 성공을 위해 필요한 세번째 요건을 Well-Being, Wisdom, Wonder, Giving이라는 주제로 제시하고 있다. 이 4개의 주제를 떠나서 점점 불행해지는 현대인을 보면서 어떠한 부분이 이 불행의 원인이 되는지를 파헤쳐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과학의 발전이 가져온 생활의 편의라는 부분이 동시간대에 지구 반대편의 사람과 얼굴을 보면서 대화하는 것, 그 전에 고칠 수 없었던 병을 고치는 신약 개발, 집안을 청소해주는 로봇의 개발, 인터넷의 발전으로 인한 정보의 공유 혹은 전달 등을 의미한다면, 그에 따른 부작용들, 즉, 인구 과잉,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른 경제적 부담, 게임에 중독된 아이들, 더 힘들어진 죽음, 가정된 재해나 잔인한 영상 등으로 익숙해진 학습된 미래 공포 혹은 무감각, 미디어의 막강해진 권력에 의한 폐해 등을 꺼내어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이것이 과연 발전인가? 그리스 시대의 사람들이 누렸던 사색과 평안과 비교한다면 어느 쪽이 더 우월한 문명인가?
종교와 이념이 희박해진 현대에 와서 '과학의 발전'과 '이윤 창출'이라는 거대한 두 개의 명목아래 왜 인간의 삶은 더 복잡해지고, 더 감시받으며, 더 경쟁적이고, 더 고립되어지며, 더 피폐해지는 것일까? Huffington이 제시하고 있는 몇 개의 해답, 잘 자고, 잘 먹고, 현명하게 제한적으로 필요에 의해 과학 기술을 이용하고, 죽음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 삶을 더 소중하게 살고, 다른 이를 생각하며 사는 것. 이들이 궁극적 해답이라고 볼 수는 없으나 현대 사회에서 자신을 지켜나가는 좋은 방법 중에 하나라는 생각이 든다. 또한 그녀가 미디어를 통해 끊임없이 이러한 부분의 중요성을 사람들에게 제시하는 것, 비극적/자극적 뉴스만 난무하는 미디어의 세상에서 생각과 마음을 쉬어가고 충전할 수 있는 조그마한 미디어의 숲을 만들어 준 것 같아 감사한 마음이다.
the same dilemmas we are all facing - the stress of overbusyness, overworking, overconnecting on social media, and underconnecting with ourselves and with one another.
Dr. Seuss summed it up beautifully; "How did it get so late so soon?"
For a long time it had seemed to me that life was about to begin - real life. But there was always some obstacle in the way. Something to be got through first, some unfinished business, time still to be served, a debt to be paid. Then life would begin. At last it dawned on me that these obstacles were my life.
-Fr. Alfred D'Souza-
"Often, the very first things we give up are those that nourish us the most but seem 'optional'," wirte Mark Williams and Danny Penman in Mindfulness:
The greatest weapon against stress is our ability to choose one thought over another.
-William James -
the ease which the big crises can wipe out the small ones that seemed so critical just a moment before.
And every day, the world will drag you by the hand, yelling. "This is important! And this is important! And this is important! You need to worry about this! And this! And this!"
And each day, it's up to you to yank your hand back, put it on your heart and say, "No. This is what's important."
what's good for us as individuals is also good for businesses and for countries.
"Health is Wealth,"
"Ideas are like fish," wrote director and longtime meditator David Lynch in his book Catching the Big Fish. "If you want to catch little fish, you can stay in the shallow water. But if you want to catch the big fish, you've got to go deeper. Down deep, the fish are more powerful and more pure. They're huge and abstract. And they're beautiful."
"The brain's alarm signals start to be triggered not only by the current scare, but by past threats and future worries...
"continuous partial attention" to describe the state of always being partly tuned into everything while never being completely tuned in to anything.
Given that we multitask now for most of our days, if now our lives,
So any tool that can increase our self-awareness and ability to listen and be in the moment is invaluable.
the better people are at taking care of themselves, the more effective they'll be in taking care of others, including their families, their coworkers, their communities, and their fellow citizens. When you're on an airplane you're told to "secure your own mask first before helping others," even your own child.
success is (skip) the quality of time we put in.
poor sleepers are seven times more likely to feel helpless and five times more likely to feel alone.
solvitur ambulando - "It is solved by walking." It refers to the fourth-century-BC greek philosopher Diogenes's response to the question of whether motion is real. To answer, he got up and walked. (skip)
In our culture of overwork, burnout, and exhaustion, how do we tap into our creativity, our wisdom, our capacity for wonder? Solvitur ambulando.
When I was growing up in Greece, my favorite poem was "Ithaka" by the Greek poet Constantine Cavafy.
Thomas Jefferson claimed the purpose of walking was to clear the mind of thoughts. (skip) For Henry David Thoreau, walking wasn't just a mean to an end; it was the end itself: "The walking of which I speak has nothing in it akin to taking exercise. . . but is itself the enterprise and adventure of the day."
(skip)
"Methinks that the moment my legs being to move, my thoughts begin to flow,"
the children are usually the biggest casualties of a bad divorce.
Resentment is like drinking poison and waiting for the other person to die.
- Carrie Fisher -
The seventeenth-century French mathematician and philosopher Blaise Pascal said that "all of humanity's problems stem from man's inability to sit quietly in a room alone."
The third-centry philosopher Plotinus wrote that there are three kinds of knowledge: "opinion, science, illumination. (skip) The Internet has made that first two types of knowledge very easy to come by. But it has taken us further away from that illumination, or wisdom, that is essential to living a life that matters.
that inner center in us that Marcus Aurelius called our "inner citadel."
But nobody can run fast enough to escape their own worries.
(- Mark Williams -)
writes David Brooks. "When making decisions about social relationships, it's foolish to swap the amazing machine in your skull for the crude machine on your desk," (skip) ours is a generation bloated with information and starved for wisdom.
Call it an iParadox: Our smartphones are actually blocking our path to wisdom.
Italians have other great traditions to draw from in preventing burnout: the riposo, the period of rest in the afternoon; and the evening stroll, the passeggiata, a time to disconnect from the pressures of the day.
An old Cherokee is teaching his grandson about life. "A fight is going on inside me," he said to the boy. "It is a terrible fight and it is between two wolves. One is evil - he is anger, envy, sorrow, regret, greed, arrogance, self-pity, guilt, resentment, inferiority, lies, false pride, superiority, and ego."
He continued, "The other is good - he is joy, peace, love, hope, serenity, humility, kindness, benevolence, empathy, generosity, truth, compassion, and faith. The same fight is going on inside you - and inside every other person, too."
The grandson thought about it for a minute and then asked his grandfather, "Which wolf will win?" The old Cherokee simply replied, "The one you feed."
- Cherokee Legend
spend two hours in a museum in front of a painting (skip) I was finally seeing one.
But when museums forget their DNA and get their heads turned by every new tech hottie that shimmies by, they undercut the point of their existence. Too much of the wrong kind of connection can actually disconnect us from an aesthetic experience.
No matter where you go, there you are.
- Buckaroo Banzai -
the serendipity of coincidence.
Where are our culture's preparations for leaving life with gratitude and grace?
"memento mori" - remember death, MM for short
Facing death means facing the ultimate question of the meaning of life. If we really want to live we must have the courage to recognize that life is ultimately very short, and that everything we do counts."
a "good death" is more likely if you have had a good life.
Here I was thinking that I had this wonderful gift that was not being recognized by the world. And then it dawned on me how many conditions I had put on my gift.
Our devices might seem like they're connecting us, and they do to a degree, but they're also disconnecting us from the world around us. And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people we encounter, it's hard to activate our hardwired instinct for empathy.
When you become involved in the lives of children for whom drive-by shootings are a regular occurrence, where on out of three fathers is in jail, and where there isn't enough to eat, it's much harder to worry about how you look, whether you're wearing the right clothes, whether you're pretty enough, and how thing you are.
- Huffington Post의 창립자이자 대표, 편집장인 Arianna Huffington 의 생각을 담은 책. 그녀 자신의 삶과 생각이라기 보다는 그녀의 삶에 대한 생각을 중심으로 자신의 경험의 일부와 다른 많은 글들을 체계적으로 엮어 현대에 간과하고 있는 핵심적인 삶의 가치를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는 책이다.
성공의 가치를 돈과 권력 (money and power) 라는 단순한 외형적인 부분에서 진정한 성공을 위해 필요한 세번째 요건을 Well-Being, Wisdom, Wonder, Giving이라는 주제로 제시하고 있다. 이 4개의 주제를 떠나서 점점 불행해지는 현대인을 보면서 어떠한 부분이 이 불행의 원인이 되는지를 파헤쳐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과학의 발전이 가져온 생활의 편의라는 부분이 동시간대에 지구 반대편의 사람과 얼굴을 보면서 대화하는 것, 그 전에 고칠 수 없었던 병을 고치는 신약 개발, 집안을 청소해주는 로봇의 개발, 인터넷의 발전으로 인한 정보의 공유 혹은 전달 등을 의미한다면, 그에 따른 부작용들, 즉, 인구 과잉,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른 경제적 부담, 게임에 중독된 아이들, 더 힘들어진 죽음, 가정된 재해나 잔인한 영상 등으로 익숙해진 학습된 미래 공포 혹은 무감각, 미디어의 막강해진 권력에 의한 폐해 등을 꺼내어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이것이 과연 발전인가? 그리스 시대의 사람들이 누렸던 사색과 평안과 비교한다면 어느 쪽이 더 우월한 문명인가?
종교와 이념이 희박해진 현대에 와서 '과학의 발전'과 '이윤 창출'이라는 거대한 두 개의 명목아래 왜 인간의 삶은 더 복잡해지고, 더 감시받으며, 더 경쟁적이고, 더 고립되어지며, 더 피폐해지는 것일까? Huffington이 제시하고 있는 몇 개의 해답, 잘 자고, 잘 먹고, 현명하게 제한적으로 필요에 의해 과학 기술을 이용하고, 죽음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 삶을 더 소중하게 살고, 다른 이를 생각하며 사는 것. 이들이 궁극적 해답이라고 볼 수는 없으나 현대 사회에서 자신을 지켜나가는 좋은 방법 중에 하나라는 생각이 든다. 또한 그녀가 미디어를 통해 끊임없이 이러한 부분의 중요성을 사람들에게 제시하는 것, 비극적/자극적 뉴스만 난무하는 미디어의 세상에서 생각과 마음을 쉬어가고 충전할 수 있는 조그마한 미디어의 숲을 만들어 준 것 같아 감사한 마음이다.
2014년 5월 19일 월요일
에머슨 (Ralph Waldo Emerson)의 'Self-Reliance' 중
인간은 자기 자신의 별이다.
-보몬트.플레처 'Honest Man's Fortune' 중-
"당신 자신의 생각을 믿는 것, 당신 자신의 마음속에서 진실이라고 믿는 것은 곧, 다른 모든 사람에게도 진실이 된다. 이것이 재능이다."
마음속에 숨겨진 확신을 드러내서 세상을 향해 이야기하라. 그러면 내 안에서만 머물던 그 확신은 머지않은 날에 세상의 보편적인 견해가 될 것이다.
오직 자기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시인과 철학자들이 제시하는 참된 지침을 따르기 전에 우리 자신의 마음에 번개처럼 스치는 섬광을 발견하고 관찰하는 법을 먼저 배워야 한다.
"반대편에서 어떤 시끄러운 외침이 들리더라도 따사롭고도 과감하게 자신의 자발적인 신념과 직관을 따르라. 그렇지 않으면 내일은 어떤 낯선 이가 다가와 따져 물을 것이다. 그대는 항상 무엇을 생각해 왔고, 무엇을 느껴 왔는가?"
'질투는 어리석음이고 모방은 멸망'
(중략)
그리고 드넓은 우주는 좋은 것들로 가득하지만
자기 몫으로 주어진 땅에서
직접 밭을 가는 수고를 하지 않고는
옥수수 낱알 하나도 절대 얻을 수 없다는 확신에 이를 때가 바로 그때이다.
그러나 신은 겁쟁이를 통해서는 결코 그 어떤 일도 시도하지 않는다.
자신을 믿어라, 우리의 마음은 강철과 같은 진리에 진동한다. (중략) 당신에게 마련해 준 자리를, 당신과 그 시대 사회를, 모든 일의 연결 고리를 받아들여라.
모든 약속에서 자유롭고, 감정의 치우침 없이 공평하며, 매수되지 않고, 두려움 없는 순수함으로 관찰해 왔고 또 앞으로도 그렇게 관찰할 수 있는 사람! 자신을 스치는 모든 일에 대해 사사롭지 않은 필요한 의견을 말할 수 있는 사람!
그런 사람은 언제나 강하다.
사회는 구성원 하나하나의 인간성에 어긋나는 음모의 굴레이다. 사회는 하나의 주식회사와 같다. 그 안에서 구성원들은 저마다의 몫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자유와 문화를 포기하는 데 동의한다. 여기에서 가장 요구되는 덕목은 순응이며, 독립은 반목일 뿐이다. 사회는 현실과 창조자들을 싫어하지 않으며, 이름과 관습을 사랑한다.
그러나 인간이고자 한다면, 순응하지 않는 자가 되어야 한다. 불멸의 야자 열매 (승리)를 얻고자 하는 사람은 선의 이름 앞에 흔들려서는 안 되며, 우선 그것이 참된 선인지 따져보아야 한다.
나에게 어떤 아이디어가 번득일 때, 섬광과 같은 영감이 떠오를 때, 나는 아버지와 어머니, 아내와 형제도 멀리할 것이다. 나는 문설주에 '생각 중'이라고 써 붙여 놓을 것이다. 그리고 그 섬광 같은 영감이 일시적인 생각으로 끝나지 않도록, 좀 더 나은 무엇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온 힘을 기울일 것이다.
많은 사람에게 훌륭하다고 평가받는 행동들을 하든 안 하든 나에게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나 스스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중략) 나의 능력이 비록 작고 평범할지라도, 그에 대한 나 자신의 보증이나 제삼자의 증언이 필요하지는 않다.
세상 속에서 세상의 의견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것은 쉬운 일이다. 또한 홀로 존재한다면 자신의 의견을 따라 사는 것도 쉬운 일이 될 것이다. 그러나 위대한 사람은 군중 속에서도 완벽한 따사로움을 유지하며 고독하게 홀로 서는 사람이 아니겠는가!
자신의 일을 하라! 그러면 나는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있다.
자신의 일을 하라! 그러면 당신 자신을 더욱 강화하게 될 것이다.
'바보 같은 칭찬의 얼굴'이란,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별로 관심 없는 대화에 대꾸를 하려니 불편해서 짓게 되는 억지 미소 같은 것이다.
세상을 안다고 자부하는 당당한 사람들의 나약한 분노에 군중이 일으키는 분노가 더해지면, 어리석은 자와 가난한 자들이 들고일어난다면, 사회 밑바닥에 깔려 있는 비이성적이고 잔인한 힘이 으르렁거리며 들썩이기 시작한다면, 이를 마치 아무 일도 아닌 듯 당당하게 다루기 위해서는 진실과 믿음의 힘이 필요할 것이다.
자신의 어리석은 일관성, 다시 말해서 평소에 자신이 한결같이 굳게 믿고 있는 '자기만의 논리'를 버리고 달아나라.
위대한 것은 오해받게 되어 있다.
그 누구도 자신의 본성을 거스를 수 없다.
훌륭한 배는 바람에 따라 이리저리 뱃길을 바꾸며 나아간다. 그러나 충분히 거리를 두고 보면, 그 중간으로 뱃길이 일직선을 이루는 것을 보게 된다. 이처럼 당신의 진실한 행동은 그 자체로 설명될 것이며, 다른 진실한 행동들까지 더불어 설명해 줄 것이다. 반대로 당신의 순응은 아무것도 설명해 주지 않는다.
오늘 내가 남들의 눈길을 무시하고 과감하게 올바른 행동을 할 수 있는 것은, 지금의 나를 지키기 위해 이미 오래전부터 옳은 일들을 많이 행한 덕분이다.
우리의 마음은 현재에 살고, 과거와 미래도 현재의 시간으로 흡수된다.
그러나 인간은 무언가를 미루거나 기억한다. 그런 인간은 현재에 살지 않으며, 회상에 젖은 눈길로 과거를 떠올리며 애석해 한다. 또는 그를 둘러싼 풍요로움에는 무심한 채 발끝을 세워 미래를 내다보려 한다. 장미처럼 시간을 초월해 지금 이 순간 자연과 더불어 살지 않는 한 그는 행복하거나 강해질 수 없다.
두려움과 희망은 그 속을 들여다보면 서로 닮아 있다. 심지어 희망에도 어떤 저열함이 숨어 있다.
지금 우리는 하나의 어리석은 군중에 지나지 않는다. 사람은 사람을 경외하지 않는다. 또한 그의 본성이 집에 머물러 있으라고 충고하지 않으며, 자신 안의 별은 바다와 소통하라고 타이르지도 않는 대신 다른 사람의 물병에 든 물 한 컵을 구걸하기 위해 바다를 건넌다.
왜 우리는 친구, 아내, 아버지, 또는 아이의 잘못을 떠맡아야 하는가? 그들이 우리의 난롯가에 같이 둘러앉는 사이라서? 또는 흔히 말하듯이 같은 피를 나눴기 때문에? 모든 인간은 나와 피를 나눴으며, 나 역시 그들과 피를 나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그들의 불쾌하고 어리석은 행위까지 떠맡아야 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마음은 고귀해야 하고, 의지는 충실해야 하며, 시야는 밝아야 한다.
우리는 마치 근육과 마음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 버린 듯, 겁 많고 소심한 투정쟁이가 되어 버렸다. 우리는 진실과 행운을 두려워하고 죽음을 두려워하고 서로를 두려워한다. 우리 시대에는 위대하거나 완벽한 인간이 나올 것 같지 않다.
특별한 편의를, 즉 어떤 것이든지 전체선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을 간원하는 기도는 사악하다.
여행은 어리석은 사람의 낙원이다. (중략) 내가 어디로 가거나 나를 동반한다.
자기 자신을 고집하라. 결코 모방치 말라. (중략) 그것이 무엇인가는 그 본인이 그것을 발휘할 때까지에는 아는 이도 없고 알 길도 없는 것이다.
셰익스피어를 가르칠 수 있는 교사가 어디 있는가. (중략) 모든 위인은 독특한 개인이다.
사회는 결코 진보하지 않는다.
(중략) 훌륭한 제네바제 시계를 가지고 있지만, 태양으로 시간을 알아보는 재간은 없는 것이다.
힘이란 내부에서 생기는 것, 자기가 약한 것은 자기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도움을 구하기 때문임을 아는 사람, 이것을 깨닫고는 주저없이 자기의 생각에 투신몰두하여, 즉시 몸을 바르게 하고 곧은 위치에 서서, 당당히 수족을 움직이는 사람이야말로 기적을 성취한다. 그것은 마치 제 발을 디디고 서는 사람이 머리를 따에 대고 서는 사람보다 힘센 이치와 같다.
당신 자신 이외에는 그 어느 것도 당신에게 평화를 가져다주지는 않는다.
- Ralph Waldo Emerson, 성직자의 집안에서 태어나 하버드를 졸업하고 목사의 길을 가던 중 신앙과 직업에 대해 회의에 빠져 사상가이자 시인, 수필가로 살았던 사람. 에머슨의 삶을 보면 자기자신에게 누구보다도 솔직한 사람이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자신의 신념에 따라 명예와 안정된 삶을 버리고 진실을 이야기한 사람. 그는 본인의 글과 삶에서 우리에게 자신의 삶을 온전히 살아나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사람이다.
그의 다른 글보다 'Self-Reliance'라는 글이 가슴에 와 닿은 것은, 모든 그럼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길을 가라는, 자신 안에 있는 어떠한 섬광을 발견하는데 힘을 기울이고 그것을 키워나가라는 메세지이다. 그는 힘의 근원을 인간에게 돌려놓고, 그것도 한 개개인에게 돌려놓고, 그 힘을 역설한다. 관습과 제도에 얽매인 인간을 직시하고 본질적인 인간의 삶의 의미를 찾도록 독려하는 그는 다른 실존주의 철학자와도 매우 닮아 있다. 그는 보다 쉽고 설득력 있는 언어로 실의와 좌절에 빠진 개인에게 '현재'와 '자기자신'이라는 힘의 원천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에머슨 자신의 사상이 동시대에 비판/냉대를 받았으나 시간을 거쳐 결국 그 생명을 회복한 것이 그가 역설한 '개인의 올바른 생각의 힘'의 승리가 아닌가 한다.
-보몬트.플레처 'Honest Man's Fortune' 중-
"당신 자신의 생각을 믿는 것, 당신 자신의 마음속에서 진실이라고 믿는 것은 곧, 다른 모든 사람에게도 진실이 된다. 이것이 재능이다."
마음속에 숨겨진 확신을 드러내서 세상을 향해 이야기하라. 그러면 내 안에서만 머물던 그 확신은 머지않은 날에 세상의 보편적인 견해가 될 것이다.
오직 자기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시인과 철학자들이 제시하는 참된 지침을 따르기 전에 우리 자신의 마음에 번개처럼 스치는 섬광을 발견하고 관찰하는 법을 먼저 배워야 한다.
"반대편에서 어떤 시끄러운 외침이 들리더라도 따사롭고도 과감하게 자신의 자발적인 신념과 직관을 따르라. 그렇지 않으면 내일은 어떤 낯선 이가 다가와 따져 물을 것이다. 그대는 항상 무엇을 생각해 왔고, 무엇을 느껴 왔는가?"
'질투는 어리석음이고 모방은 멸망'
(중략)
그리고 드넓은 우주는 좋은 것들로 가득하지만
자기 몫으로 주어진 땅에서
직접 밭을 가는 수고를 하지 않고는
옥수수 낱알 하나도 절대 얻을 수 없다는 확신에 이를 때가 바로 그때이다.
그러나 신은 겁쟁이를 통해서는 결코 그 어떤 일도 시도하지 않는다.
자신을 믿어라, 우리의 마음은 강철과 같은 진리에 진동한다. (중략) 당신에게 마련해 준 자리를, 당신과 그 시대 사회를, 모든 일의 연결 고리를 받아들여라.
모든 약속에서 자유롭고, 감정의 치우침 없이 공평하며, 매수되지 않고, 두려움 없는 순수함으로 관찰해 왔고 또 앞으로도 그렇게 관찰할 수 있는 사람! 자신을 스치는 모든 일에 대해 사사롭지 않은 필요한 의견을 말할 수 있는 사람!
그런 사람은 언제나 강하다.
사회는 구성원 하나하나의 인간성에 어긋나는 음모의 굴레이다. 사회는 하나의 주식회사와 같다. 그 안에서 구성원들은 저마다의 몫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자유와 문화를 포기하는 데 동의한다. 여기에서 가장 요구되는 덕목은 순응이며, 독립은 반목일 뿐이다. 사회는 현실과 창조자들을 싫어하지 않으며, 이름과 관습을 사랑한다.
그러나 인간이고자 한다면, 순응하지 않는 자가 되어야 한다. 불멸의 야자 열매 (승리)를 얻고자 하는 사람은 선의 이름 앞에 흔들려서는 안 되며, 우선 그것이 참된 선인지 따져보아야 한다.
나에게 어떤 아이디어가 번득일 때, 섬광과 같은 영감이 떠오를 때, 나는 아버지와 어머니, 아내와 형제도 멀리할 것이다. 나는 문설주에 '생각 중'이라고 써 붙여 놓을 것이다. 그리고 그 섬광 같은 영감이 일시적인 생각으로 끝나지 않도록, 좀 더 나은 무엇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온 힘을 기울일 것이다.
많은 사람에게 훌륭하다고 평가받는 행동들을 하든 안 하든 나에게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나 스스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중략) 나의 능력이 비록 작고 평범할지라도, 그에 대한 나 자신의 보증이나 제삼자의 증언이 필요하지는 않다.
세상 속에서 세상의 의견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것은 쉬운 일이다. 또한 홀로 존재한다면 자신의 의견을 따라 사는 것도 쉬운 일이 될 것이다. 그러나 위대한 사람은 군중 속에서도 완벽한 따사로움을 유지하며 고독하게 홀로 서는 사람이 아니겠는가!
자신의 일을 하라! 그러면 나는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있다.
자신의 일을 하라! 그러면 당신 자신을 더욱 강화하게 될 것이다.
'바보 같은 칭찬의 얼굴'이란,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별로 관심 없는 대화에 대꾸를 하려니 불편해서 짓게 되는 억지 미소 같은 것이다.
세상을 안다고 자부하는 당당한 사람들의 나약한 분노에 군중이 일으키는 분노가 더해지면, 어리석은 자와 가난한 자들이 들고일어난다면, 사회 밑바닥에 깔려 있는 비이성적이고 잔인한 힘이 으르렁거리며 들썩이기 시작한다면, 이를 마치 아무 일도 아닌 듯 당당하게 다루기 위해서는 진실과 믿음의 힘이 필요할 것이다.
자신의 어리석은 일관성, 다시 말해서 평소에 자신이 한결같이 굳게 믿고 있는 '자기만의 논리'를 버리고 달아나라.
위대한 것은 오해받게 되어 있다.
그 누구도 자신의 본성을 거스를 수 없다.
훌륭한 배는 바람에 따라 이리저리 뱃길을 바꾸며 나아간다. 그러나 충분히 거리를 두고 보면, 그 중간으로 뱃길이 일직선을 이루는 것을 보게 된다. 이처럼 당신의 진실한 행동은 그 자체로 설명될 것이며, 다른 진실한 행동들까지 더불어 설명해 줄 것이다. 반대로 당신의 순응은 아무것도 설명해 주지 않는다.
오늘 내가 남들의 눈길을 무시하고 과감하게 올바른 행동을 할 수 있는 것은, 지금의 나를 지키기 위해 이미 오래전부터 옳은 일들을 많이 행한 덕분이다.
우리의 마음은 현재에 살고, 과거와 미래도 현재의 시간으로 흡수된다.
그러나 인간은 무언가를 미루거나 기억한다. 그런 인간은 현재에 살지 않으며, 회상에 젖은 눈길로 과거를 떠올리며 애석해 한다. 또는 그를 둘러싼 풍요로움에는 무심한 채 발끝을 세워 미래를 내다보려 한다. 장미처럼 시간을 초월해 지금 이 순간 자연과 더불어 살지 않는 한 그는 행복하거나 강해질 수 없다.
두려움과 희망은 그 속을 들여다보면 서로 닮아 있다. 심지어 희망에도 어떤 저열함이 숨어 있다.
지금 우리는 하나의 어리석은 군중에 지나지 않는다. 사람은 사람을 경외하지 않는다. 또한 그의 본성이 집에 머물러 있으라고 충고하지 않으며, 자신 안의 별은 바다와 소통하라고 타이르지도 않는 대신 다른 사람의 물병에 든 물 한 컵을 구걸하기 위해 바다를 건넌다.
왜 우리는 친구, 아내, 아버지, 또는 아이의 잘못을 떠맡아야 하는가? 그들이 우리의 난롯가에 같이 둘러앉는 사이라서? 또는 흔히 말하듯이 같은 피를 나눴기 때문에? 모든 인간은 나와 피를 나눴으며, 나 역시 그들과 피를 나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그들의 불쾌하고 어리석은 행위까지 떠맡아야 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마음은 고귀해야 하고, 의지는 충실해야 하며, 시야는 밝아야 한다.
우리는 마치 근육과 마음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 버린 듯, 겁 많고 소심한 투정쟁이가 되어 버렸다. 우리는 진실과 행운을 두려워하고 죽음을 두려워하고 서로를 두려워한다. 우리 시대에는 위대하거나 완벽한 인간이 나올 것 같지 않다.
특별한 편의를, 즉 어떤 것이든지 전체선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을 간원하는 기도는 사악하다.
여행은 어리석은 사람의 낙원이다. (중략) 내가 어디로 가거나 나를 동반한다.
자기 자신을 고집하라. 결코 모방치 말라. (중략) 그것이 무엇인가는 그 본인이 그것을 발휘할 때까지에는 아는 이도 없고 알 길도 없는 것이다.
셰익스피어를 가르칠 수 있는 교사가 어디 있는가. (중략) 모든 위인은 독특한 개인이다.
사회는 결코 진보하지 않는다.
(중략) 훌륭한 제네바제 시계를 가지고 있지만, 태양으로 시간을 알아보는 재간은 없는 것이다.
힘이란 내부에서 생기는 것, 자기가 약한 것은 자기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도움을 구하기 때문임을 아는 사람, 이것을 깨닫고는 주저없이 자기의 생각에 투신몰두하여, 즉시 몸을 바르게 하고 곧은 위치에 서서, 당당히 수족을 움직이는 사람이야말로 기적을 성취한다. 그것은 마치 제 발을 디디고 서는 사람이 머리를 따에 대고 서는 사람보다 힘센 이치와 같다.
당신 자신 이외에는 그 어느 것도 당신에게 평화를 가져다주지는 않는다.
- Ralph Waldo Emerson, 성직자의 집안에서 태어나 하버드를 졸업하고 목사의 길을 가던 중 신앙과 직업에 대해 회의에 빠져 사상가이자 시인, 수필가로 살았던 사람. 에머슨의 삶을 보면 자기자신에게 누구보다도 솔직한 사람이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자신의 신념에 따라 명예와 안정된 삶을 버리고 진실을 이야기한 사람. 그는 본인의 글과 삶에서 우리에게 자신의 삶을 온전히 살아나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사람이다.
그의 다른 글보다 'Self-Reliance'라는 글이 가슴에 와 닿은 것은, 모든 그럼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길을 가라는, 자신 안에 있는 어떠한 섬광을 발견하는데 힘을 기울이고 그것을 키워나가라는 메세지이다. 그는 힘의 근원을 인간에게 돌려놓고, 그것도 한 개개인에게 돌려놓고, 그 힘을 역설한다. 관습과 제도에 얽매인 인간을 직시하고 본질적인 인간의 삶의 의미를 찾도록 독려하는 그는 다른 실존주의 철학자와도 매우 닮아 있다. 그는 보다 쉽고 설득력 있는 언어로 실의와 좌절에 빠진 개인에게 '현재'와 '자기자신'이라는 힘의 원천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에머슨 자신의 사상이 동시대에 비판/냉대를 받았으나 시간을 거쳐 결국 그 생명을 회복한 것이 그가 역설한 '개인의 올바른 생각의 힘'의 승리가 아닌가 한다.
2014년 5월 1일 목요일
야스퍼스 (Karl Theodor Jaspers)의 '철학입문' 중
철학적 사유에는 과학과는 달리, 진보의 과정이라는 성격이 없다. 우리는 분명 고대 그리스의 의사 히포크라테스보다 훨씬 많은 '의학적' 지식을 갖추고 있지만, 우리가 플라톤보다 뛰어나다고 말할 수 없다. (중략)
철학적 확신이란 그것이 성취될 때 인간의 본질 전체가 동시에 표현되는 확신이다. 과학적 인식은 각각의 대상에 관련되면 모든 사람이 그것을 꼭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 반면 철학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인간 그 자체에 관련된 존재 전체의 문제이며, 그것이 환히 밝혀질 때에는 그 어떤 과학적 인식보다도 더 우리를 감동시킬 진리의 문제이다.
그리스어로 철학자(필로소포스) 라는 말은 지자(知者)라는 단어와 대립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 단어는 지식을 소유하고 스스로 지자임을 자처하는 사람이 아니라, 인식을 사랑하는 사람을 뜻한다. (중략) 진리의 소유가 아니라 진리의 탐구에 바로 철학적 본질이 있다. (중략) 철학이란 도상(道上)에 있는 것이다. 철학의 질문은 그에 대한 해답보다 중요하며, 철학에서는 온갖 해답이 새로운 질문으로 변한다.
무엇이 철학인가 하는 정의는 사람들 각자가 시도해야 할 일이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경이에서 출발하여 존재의 본질을 추구했다.
데카르트는 제한 없는 불확실성 속에서 이론의 여지가 없는 확실함을 추구했다.
스토아 학파의 사람들은 실생활의 고뇌 속에서 영혼의 안정을 추구했다.
인간이라는 것은 인간이 되는 것이다.
우리의 인생은 산만한 생활 속에서 무너져서는 안 되므로, 어떠한 질서 속에서 영위되어야 한다.
(중략)
하지만 자기를 망가가하고 싶어하는 경향은 이미 인간 자신 속에 내재해 있다. 세상일이나 인습, 무분별하게 파헤쳐진 일, 고정된 궤도에 몰두하여 우리 자신을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서는 그런 것에서 탈출해야 한다.
철학한다는 것은, 근원을 깨닫고 우리 자신으로 되돌아가 내적 행위로써 있는 힘껏 우리 자신을 구하려는 결단을 내리는 일이다.
물론 현살생활에서 먼저 해야 할 일은 실제 직무인 매일의 요청에 따르는 일이다. 그러나 그것만으로 만족할 수 없다는 것, 오히려 단순하게 노동을 하고 여러 가지 목적에 몰두하는 것이 이미 자기망각에 이르는 길이고 따라서 태만이고 죄책임을 깨닫는 것, 바로 여기에 철학적 생활에 이르고자 하는 의지가 있다. 나아가 행복과 고민, 성취와 단념, 암흑과 혼란이라는 인간에 관현 경험을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이런 것들을 망각하는 것이 아니라 내면에서 자기 것으로 만들고, 이런 것들에게서 눈길을 돌리는 것이 아니라 내면적으로 그것을 극복하며, 결말이 난 것으로 치부해버리지 않고 끝까지 밝히는 것, 이런 삶의 방식이 철학적 생활이다.
철학적 생활에는 두 가지 길이 있다. 하나는 고독한 길, 모든 종류의 반성을 통해 명상하는 길이고, 다른 하나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걸어가는 길, 함께 행동하고, 말하고, 침묵하면서 모든 종류의 상호이해를 통해 교제해 나가는 길이다.
(중략)
이런 명상 속에서 나 혼자서 얻는 것은 - 만약 그것이 전부라면 - 얻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이다.
(중략) 진리는 두 사람 사이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그래서 철학은 끊임없이 교제를 철저하게 추진하기를, 항상 다른 옷을 걸치고 자신의 생각을 강요하려는 우리의 오만한 자기주장을 포기하기를, 또 이 자기 포기를 바탕으로 내가 나에게 셀 수 없을 만큼 되풀이하여 증여될 것이라고 희망하며 살기를 요청한다.
그러므로 나는 자신을 끊임없이 의심하며, 안심해서는 안 된다. 또한 자신을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조명하고 진실이라고 평가하는, 내 안의 억측 위에 움직이지 않는 지점에 의지해서도 안 된다. 그런 자기 확신은 성실함이 결여된 자기주장의 유혹으로 가득찬 모습이다.
(중략) 단호하게 인생에 밀고들어가는 것, 최악의 사태에서도 우리 자신을 드러내고 자신을 호도하지 않는 것, 무엇을 보거나 묻거나 대답할 때는 제한 없이 성실함을 지배하는 것, 이런 태도가 중요하다. (중략)
철학하는 것이 죽음을 배우는 것이라면 이 경우, 죽을 수 있는 능력은 바르게 살기 위한 조건임이 틀림없다. 사는 것을 배우는 것과 죽을 수 있다는 것은 같은 것이다.
명상은 사고의 힘을 가르친다.
사유하는 것은 인간이라는 증거이다.
(중략)
우리의 여러 가지 상태는 자신의 실존이 끊임없이 노력하거나 힘을 잃는 것의 현상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 인간의 본질은 과정에 있다는 말이다.
(중략)
철학적 생활의 이러한 비상은 각각 이 인간의 비상이다. 이러한 비상은 타자에게 책임을 전가하지 않는 교제 속에서 개인의 비상으로서 성취되어야 한다.
(중략)
하지만 우리는 그 대지에 머무르는 것만으로는 만족할 수 없다. 그래서 두둥실 날아다니는 우리의 움직임은 매우 불안정하고, 고정된 대지에 안전하게 자리잡아 만족하고 있는 사람의 입작에서는 아주 가소롭게 보일 것이다. 그것으 불안에 사로잡혀 본 적이 있는 사람만이 이해할 수 있다.
철학은 항상 새롭게 획득되어야 하며, 자기 자신의 근원에서 철학을 깨닫는 사람만이 철학을 붙잡을 수 있다. 아직 어슴푸레하기는 해도 철학을 깨닫는 최초의 시선이 있다면 개인의 마음에 철학의 불씨를 당길 수 있다.
- 왜 철학이 필요한가? 아마도 이 시대만큼 철학이 무시되고 장막에 가리워져 있는 시대도 드문 듯 하다. 중세에는 철학이 종교의 베일을 쓰고 있었다면 현재는 마치 존재하지 않는 고시대의 학문처럼 멀고도 어려운 것으로 인지되는 것 같다. 그러나 철학은 야스퍼스에 의해서 다시 강조되는 것과 같이 인간을 위한, 그것도 한 인간을 위한 문제이다. 그 한 인간과 다른 인간과의 관계이며, 그 인간들이 모여있는 세계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 시대의 가치의 부재에 대해서 사유의 부재에 대해서 안타까움을 금치 못하는 사람으로서 철학적 사유로부터 인간이 얼마나 자신에 대한 정신의 힘을 끄집어 낼 수 있는지 환경에 흔들리지 않는 튼튼한 자아를 형성해 나갈 수 있는지 인생의 가치를 찾아내어 가꾸어 나갈 수 있는지 알려주고 싶다. 그러한 의미에서 야스퍼스가 역설하고 있는 '철학적 태도'는 인간의 삶을 허무와 좌절에서부터 건져내어 삶의 길 위에 선 인간에게 돌려줄 것이다. 그가 이야기한 '인간이라는 것은 인간이 되는 것'이라는 것의 의미는 이러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끊임없이 묻고 대답하고 비상하는 과정에서의 인간은 죽음을 앞에 놓고도 아쉬움은 있지만 후회는 없는 정말로 잘 살아온 인간이 아닐까?
철학적 확신이란 그것이 성취될 때 인간의 본질 전체가 동시에 표현되는 확신이다. 과학적 인식은 각각의 대상에 관련되면 모든 사람이 그것을 꼭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 반면 철학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인간 그 자체에 관련된 존재 전체의 문제이며, 그것이 환히 밝혀질 때에는 그 어떤 과학적 인식보다도 더 우리를 감동시킬 진리의 문제이다.
그리스어로 철학자(필로소포스) 라는 말은 지자(知者)라는 단어와 대립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 단어는 지식을 소유하고 스스로 지자임을 자처하는 사람이 아니라, 인식을 사랑하는 사람을 뜻한다. (중략) 진리의 소유가 아니라 진리의 탐구에 바로 철학적 본질이 있다. (중략) 철학이란 도상(道上)에 있는 것이다. 철학의 질문은 그에 대한 해답보다 중요하며, 철학에서는 온갖 해답이 새로운 질문으로 변한다.
무엇이 철학인가 하는 정의는 사람들 각자가 시도해야 할 일이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경이에서 출발하여 존재의 본질을 추구했다.
데카르트는 제한 없는 불확실성 속에서 이론의 여지가 없는 확실함을 추구했다.
스토아 학파의 사람들은 실생활의 고뇌 속에서 영혼의 안정을 추구했다.
인간이라는 것은 인간이 되는 것이다.
우리의 인생은 산만한 생활 속에서 무너져서는 안 되므로, 어떠한 질서 속에서 영위되어야 한다.
(중략)
하지만 자기를 망가가하고 싶어하는 경향은 이미 인간 자신 속에 내재해 있다. 세상일이나 인습, 무분별하게 파헤쳐진 일, 고정된 궤도에 몰두하여 우리 자신을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서는 그런 것에서 탈출해야 한다.
철학한다는 것은, 근원을 깨닫고 우리 자신으로 되돌아가 내적 행위로써 있는 힘껏 우리 자신을 구하려는 결단을 내리는 일이다.
물론 현살생활에서 먼저 해야 할 일은 실제 직무인 매일의 요청에 따르는 일이다. 그러나 그것만으로 만족할 수 없다는 것, 오히려 단순하게 노동을 하고 여러 가지 목적에 몰두하는 것이 이미 자기망각에 이르는 길이고 따라서 태만이고 죄책임을 깨닫는 것, 바로 여기에 철학적 생활에 이르고자 하는 의지가 있다. 나아가 행복과 고민, 성취와 단념, 암흑과 혼란이라는 인간에 관현 경험을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이런 것들을 망각하는 것이 아니라 내면에서 자기 것으로 만들고, 이런 것들에게서 눈길을 돌리는 것이 아니라 내면적으로 그것을 극복하며, 결말이 난 것으로 치부해버리지 않고 끝까지 밝히는 것, 이런 삶의 방식이 철학적 생활이다.
철학적 생활에는 두 가지 길이 있다. 하나는 고독한 길, 모든 종류의 반성을 통해 명상하는 길이고, 다른 하나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걸어가는 길, 함께 행동하고, 말하고, 침묵하면서 모든 종류의 상호이해를 통해 교제해 나가는 길이다.
(중략)
이런 명상 속에서 나 혼자서 얻는 것은 - 만약 그것이 전부라면 - 얻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이다.
(중략) 진리는 두 사람 사이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그래서 철학은 끊임없이 교제를 철저하게 추진하기를, 항상 다른 옷을 걸치고 자신의 생각을 강요하려는 우리의 오만한 자기주장을 포기하기를, 또 이 자기 포기를 바탕으로 내가 나에게 셀 수 없을 만큼 되풀이하여 증여될 것이라고 희망하며 살기를 요청한다.
그러므로 나는 자신을 끊임없이 의심하며, 안심해서는 안 된다. 또한 자신을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조명하고 진실이라고 평가하는, 내 안의 억측 위에 움직이지 않는 지점에 의지해서도 안 된다. 그런 자기 확신은 성실함이 결여된 자기주장의 유혹으로 가득찬 모습이다.
(중략) 단호하게 인생에 밀고들어가는 것, 최악의 사태에서도 우리 자신을 드러내고 자신을 호도하지 않는 것, 무엇을 보거나 묻거나 대답할 때는 제한 없이 성실함을 지배하는 것, 이런 태도가 중요하다. (중략)
철학하는 것이 죽음을 배우는 것이라면 이 경우, 죽을 수 있는 능력은 바르게 살기 위한 조건임이 틀림없다. 사는 것을 배우는 것과 죽을 수 있다는 것은 같은 것이다.
명상은 사고의 힘을 가르친다.
사유하는 것은 인간이라는 증거이다.
(중략)
우리의 여러 가지 상태는 자신의 실존이 끊임없이 노력하거나 힘을 잃는 것의 현상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 인간의 본질은 과정에 있다는 말이다.
(중략)
철학적 생활의 이러한 비상은 각각 이 인간의 비상이다. 이러한 비상은 타자에게 책임을 전가하지 않는 교제 속에서 개인의 비상으로서 성취되어야 한다.
(중략)
하지만 우리는 그 대지에 머무르는 것만으로는 만족할 수 없다. 그래서 두둥실 날아다니는 우리의 움직임은 매우 불안정하고, 고정된 대지에 안전하게 자리잡아 만족하고 있는 사람의 입작에서는 아주 가소롭게 보일 것이다. 그것으 불안에 사로잡혀 본 적이 있는 사람만이 이해할 수 있다.
철학은 항상 새롭게 획득되어야 하며, 자기 자신의 근원에서 철학을 깨닫는 사람만이 철학을 붙잡을 수 있다. 아직 어슴푸레하기는 해도 철학을 깨닫는 최초의 시선이 있다면 개인의 마음에 철학의 불씨를 당길 수 있다.
- 왜 철학이 필요한가? 아마도 이 시대만큼 철학이 무시되고 장막에 가리워져 있는 시대도 드문 듯 하다. 중세에는 철학이 종교의 베일을 쓰고 있었다면 현재는 마치 존재하지 않는 고시대의 학문처럼 멀고도 어려운 것으로 인지되는 것 같다. 그러나 철학은 야스퍼스에 의해서 다시 강조되는 것과 같이 인간을 위한, 그것도 한 인간을 위한 문제이다. 그 한 인간과 다른 인간과의 관계이며, 그 인간들이 모여있는 세계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 시대의 가치의 부재에 대해서 사유의 부재에 대해서 안타까움을 금치 못하는 사람으로서 철학적 사유로부터 인간이 얼마나 자신에 대한 정신의 힘을 끄집어 낼 수 있는지 환경에 흔들리지 않는 튼튼한 자아를 형성해 나갈 수 있는지 인생의 가치를 찾아내어 가꾸어 나갈 수 있는지 알려주고 싶다. 그러한 의미에서 야스퍼스가 역설하고 있는 '철학적 태도'는 인간의 삶을 허무와 좌절에서부터 건져내어 삶의 길 위에 선 인간에게 돌려줄 것이다. 그가 이야기한 '인간이라는 것은 인간이 되는 것'이라는 것의 의미는 이러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끊임없이 묻고 대답하고 비상하는 과정에서의 인간은 죽음을 앞에 놓고도 아쉬움은 있지만 후회는 없는 정말로 잘 살아온 인간이 아닐까?
2014년 4월 15일 화요일
야스퍼스 (Karl Theodor Jaspers)의 '철학학교' 중
철학은 인간다운 인간을 만들기 위한 것이며,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을 위해 존재하는 것입니다.
철학은 보편적입니다. (중략) 지식은 끝이 없고 저마다 흩어져 있습니다. 반면에 철학적 사유는 지식의 도움을 빌려 유일한 중심에 도달하고자 합니다. 단순한 지식은 하나의 퇴적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철학은 그때마다 하나의 전체가 됩니다. 지식은 합리적인 것이며, 누구의 오성도 이를 똑같이 손에 넣을 수 있습니다. 철학은 전체를 이해함으로써 한 인간의 본질을 이루는 사유방식입니다.
철학적 사유에 관해서 말하더라도, 우리는 철학적 대기권의 무한한 공간에서 불과 한두 번의 공기를 호흡할 뿐입니다.
(중략) 그리고 철학적 사유의 순수한 공기도, 그 속에서 호흡하며 사는 실존의 작용이 있어야만 힘이 될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어떠한 해답도 궁극적인 것은 아닙니다. 모든 해답은 새로운 물음들을 낳습니다. 결국 궁극적 물음은 해답 없이 남게 되지만, 그렇다고 공허한 물음으로 남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궁극적 물음은 충실한 고요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 고요 속에는 아무것도 없는 것이 아닙니다.
세계는 갈기갈기 찢겨 버렸습니다.
인간의 실존적 재앙은, 과학적으로 얻어진 지식이 존재 그 자체로 생각될 때와 과학적으로 알 수 없는 모든 것이 비존재로 인식될 때에 시작됩니다.
철학은 이러한 걸림돌을 헤치고 나가 인간을 자기 자신에게로 되돌려 주는 일을 과제로 삼는 것입니다.
우주는 우리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중략) 우주는 우리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결과적으로 점점 더 신속한 상품 교환을 낳는 생산과 소비의 과정 속으로 현존재가 변해 들어가고 있습니다. 모든 것이 견실함을 잃어 가고 있습니다. (중략) 우리는 싫든 좋든 변해 가는 순간을 위하여 살 수 밖에 없습니다. (중략)
어느새 싹튼 이 공공연한 기만 상태를 숨긴다 해서, 그것에 따르는 결과마저 피할 수는 없습니다. 물질세계에서의 항구성의 소멸은 인간적인 환경을 파괴하고, 인간 존재 자체마저 엄습합니다. 결혼.우정.일에서의 성실함은 의심을 받습니다. 어디에서나 똑같습니다. 항구성이 자취를 감추고 무엇 하나 믿을 만한 것이 없어집니다.
(중략)
정신을 공허해지고, 세계는 삭막하고 재미없는 유흥의 무대가 되고 있습니다.
'신은 죽었다'라고들 말합니다. 그런데도 교회는 번창하고 있습니다. (중략) 낡아서 썩어 버린 장엄한 무대 장치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 생명은 그 사실을 의식하는 순간, 자신이 닫힌 문 앞에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현대를 비방하지 마십시오. 오늘도 인간은 저마다 온갖 거짓 위안을 물리치고, 최악의 사태와 마주하고도 고유한 성실성을 잃지 않으며, 무지의 신앙에 근거해서 꾸밈없이 하루하루의 일과를 다하며 태연하게 죽어 갑니다. 이들 인간에게는 얼마나 많은 자유와 소박한 존엄이 존재합니까! 자기 자신이 되는 것, 이것이야말로 얼마나 빛나는 인간됨이겠습니까!
만일 역사가 본디부터 그 속에서 계획되고 있는 인류의 자기 붕괴 과정으로 파악된다면 이러한 것은 잊혀집니다. 사랑, 진지성, 인간의 위대성, 인간이 창조한 작품의 우수성, 이 모든 가치는 그 상징적 존재에 의하여, 어떠한 몰락의 과정에서도 그것을 버려 두지 않는 그 무엇이 있음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역사와 현대를 바라다본다는 것, (중략) 그것의 본질은 바로 책임을 불러일으키는 것입니다.
그러나 세계 너머 바깥쪽을 내다보지는 못합니다. 철학적 통찰이 비로소 이 세계 속에 감금당한 우리를 놓아줍니다.
해답은 결국 결단에 의해서만 주어질 수 있습니다.
나는 실재 세계가 나와 무관한 것이 되도록 버려두고 싶은가? 나는 실재 세계에 전혀 관여하지 않고 그저 이 세계를 수동적으로 견디어 나가고만 싶은가? 나는 어떠한 일에도 책임을 지고 싶지 않은가? 나는 마치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살아가고 싶은가? (중략)
이러한 일들이 싫다면, 그럼 나는 나의 생활 현실과 나의 책임과 인식을 통하여, 이 현상 세계 안에서 명백성에 도달하고 싶은가? 현상 세계의 이 명백성을 넘어선, 어는 다른 곳으로부터 유래하는 모든 가능한 명백성에 도달할 절대적인 길이 우리에게 있다고 기대하고 싶은가? 그렇다면 현상은 결코 허상이 아니며 인생은 절대 꿈이 아닙니다.
우리는 현존재로서 태어났지만 현존재로서 자기를 창조한 것은 아닙니다.
자기가 이러이러한 민족.성.시대.문화권.사회적 및 경제적 상황에 묶여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자기를 해방시킬 수 있는 인간, 즉 이러한 모든 것의 외부에다, 이러한 모든 것의 저편에다 자신을 세워 놓고, 이러한 모든 것 속에 역사적으로 파고 들어갈 수 있는 인간, 이런 인간은 대체 어떤 사람이겠습니까?
(중략) 인간이 자기 자신이 될 때, 이제껏 귀를 기울이고 있다고 믿으면서도 사실은 전혀 이해하지 못했던 그 무엇인가에 의하여 존재 의식은 충만해집니다.
인간은 세계로부터도, 역사로부터도, 자기 자신으로부터도 자신을 파악하지 못합니다.
인간은 자기의 현존재에 묶여 있으면서도 자신을 초월하려 합니다.
인간은 우주로 나아가려 하지만 결코 우주에 도달하지는 못합니다. (중략) 이것은 결코 좌절이 아니라, 한계입니다.
(중략) 오늘날에는 위험하기 짝이 없는 등산가의 모험이 우주비행사의 모험보다도 훨씬 내용이 풍성합니다. (중략) 우주비행이 자랑하는 것은 겨우 기술의 완벽성뿐입니다. 이 완벽성은 공허함 위신을 낳으므로, 기술적인 스포츠의 최고 기록과 비교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테의 환상의 원리 - 교만한 지식욕과 재능에서 생기는 몰락 - 는 오늘날 새로운 형태를 띠고 현실적인 것이 되어 있습니다. 왜냐하면 기술적 실현은 인류의 자멸을 실제로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지점까지 이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자각이 이루어지면 인간은 자기가 불확실하고 내던져진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식합니다. 사실을 숨기지 않고 사유하려면, 우리에겐 용기가 필요합니다. 눈을 또렷이 뜨고 분별심을 잃지 않으면서 어둠 속을 헤쳐 나가야 합니다.
그가 하나의 인간이라는 의식 속에서 사람들에 대한 의무를 지고 끝까지 성실하게 남고자 한다면, 그는 타인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인간이 인간인 것은 그가 자기 속에 이러한 존엄을 지니고 있고, 또 모든 타인 속에서 이 존엄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위대한 정치가는 (중략) 자유의 기회가 주어질 때마다 그들의 행위 전체로써 그것을 위해 싸웁니다. (중략)
정략가는 이와 다릅니다. 그들은 편의주의적인 현실주의자로 기업 경영자이며, 교활한 인간이고 협잡꾼입니다. 그들은 자유의 이름 아래 거리낌없이 자유의 여러 조건에 어긋나는 행위를 합니다. 그들은 가면이 벗겨지면 거짓말과 기지를 써서 피합니다. (중략) 그들은 자유의 파괴자들입니다.
이러한 정략가는 아무런 사명감도 없으면서, 자기의 임무를 하나의 직업으로 삼습니다.
경제적인 번영 가운데에는, 그대로 적당히 살아가는 데에는, 단순한 흥분 가운데에는 아무런 자유도 없습니다. (중략) 책임의 분담은 책임의 상실을 가져왔습니다.
신의 이름으로, 또는 절대적 진리의 이름으로 권위를 요구하는 것은 언제나 인간뿐이며, 신이나 진리 자체는 아닙니다.
비록 인간이 폭력의 입에 삼켜질지 모른다 해도, 인간의 진리는 역시 이러한 자유에 이르는 인간의 길이었습니다. 좌절은 자유를 부정할 수 없습니다. 그것은 마치 지구의 영광이, 그의 몰락으로 인해 부정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비록 지구가 그 어느 날 우주의 바다에서 마치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다는 듯이, 스스로 몰락해 사라져 버린다 해도 말입니다.
실천하는 과정에서 갈등이 일어날 때, 비로소 무엇이 인간에게 중요한가 하는 것이 수면 위에 떠오릅니다.
진리의지는 개방성을 촉구하고, 권력의지는 폐쇄성으로 몰아갑니다. (중략)
권력의지는 가면으로 자기를 꾸밉니다. (중략) 진리 자체가 하나의 권력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폐쇄성과 거짓이 최후의 결정적인 것이 아니기를 바랍니다.
침묵할 때 우리는 자신에 대해 거짓되게 됩니다. (중략)
공적으로 중요한 일에 대하여 침묵함으로써 모든 사태의 경과는 거짓이 됩니다. 공공의 허위는 개인적인 허위의 거울입니다.
칸트의 정언적 명령에서 양심에 대한 요구의 핵심을 찔렀습니다. 즉 너는 너의 행위로써 하나의 세계를 창조하고, 그 세계에서는 너의 행동 원칙이 모든 사람에게 언제나 타당하도록 행위하라는 것입니다.
인간적 사건은 우주적 사건입니다.
자유의 길이 불가능한 듯 생각될 때에도, 막다른 골목같아 보이는 길이 우리의 과제이며 우리 인간 존재 자체라고 하는 확신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신이라는 이름은 우리가 단순하게 이해할 수 없는 것에 붙여지는 이름입니다. (중략)
신이라는 암호를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닌 말로서 듣는 수밖에 없습니다. 암호가 들리지 않게 되면, 우리 주위는 어둡고 황량해집니다. 그러나 우리가 암호를 들었다고 해서 평안에 다다를 수 있는 것 또한 아닙니다.
영원한 것은 훗날 오는 것이 아니라 현재적인 것입니다.
죽음은 모든 사람 앞에 놓여 있습니다. 우리는 죽음이 언제 찾아올지 모르므로 마치 죽음이 결코 오지 않을 것처럼 살아갑니다.
부활의 약속은 그것을 믿지 않는 사람에게는 쓸데없는 교의입니다. (중략) 시체의 부패입니다. 아무것도 남지 않습니다. (중략) 그러나 영원에의 충동은 무의미한 것이 아닙니다. 우리 중에는 멸망한다는 것을 믿지 못하는 무엇이 있습니다.
시간성이란 실재의 생성을 뜻합니다. 생성은 처음도 끝도, 근원도 목적도, 그리도 바닥도 없습니다. 시간성의 경험은 우리가 현존재로서 움직이고 있는, 이 감정적인 현재에서 완성합니다.
반면 무시간성은 모든 시간으로부터의 자유로운 존재를 의미합니다. (중략)
마지막으로 영원성이란 시간적으로 현존하는 것과 무시간적인 존재, 즉 시간 속에서 시간을 거스르며 시간적인 동시에 무시간적인 것과의 통일을 말합니다. 영원성은 무시간적인 비현실에도, 시간적인 실재에도 대립한다는 뜻에서의 영원한 현실입니다. 이 영원성의 경험은 오직 실존에만 귀속됩니다. 경험적으로도 논리적으로도 영원성은 하나의 부조리입니다.
이 부조리 - 시간 안에서의 영원성 경험
순간은 시간적이지만 그것이 실존적으로 채워질 때, 이 순간을 모든 시간을 덮는 영원에 관여합니다.
그러나 만일 철학이라는 것이 전연 존재하지 않는다면, 무도한 정치 운영은 많은 정치가들에게 한결 쉬워집니다. 대중과 공무원이 만일 사유하지 않고 다만 주입된 지성만을 지닐 때, 그들을 다루기는 한결 쉬워집니다. 인간이 진지해지는 것을 사람들은 막아야 합니다. (중략)
이리하여 철학은 적들에게 포위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그러한 적들 대부분은 실정도 제대로 모르는 자들입니다. 부르주아적인 자기 만족, 인습적 생활, 경제적 번영에 대한 만족, 오직 기술적 유용성 하나만을 따지는 과학의 평가, 무제약적인 권력의지, 정치가들의 당파 근성, 이데올로기의 광신, 유능한 저술가들의 문학적 명성을 향한 의지, 이들 모든 것은 비철학 속에서 자신을 내세웁니다. 그들은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므로 그렇다는 사실을 깨닫지도 못합니다. 그들의 비철학은 그런 대로 철학이기는 하지만 전도된 철학이라는 것, 그리고 이 비철학은 일단 밝음 속에 내놓으면 저절로 분리되고 말리라는 것, 이러한 일을 그들은 의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진리로부터 눈길을 떼지 않는 것은 인간의 품위입니다.
그는 망상속에서 행복을 얻기보다는, 차라리 진리와 가까워져서 좌절하기를 바랍니다.
존재하는 것은 마땅히 드러나야 합니다.
철학은 심연 앞에 서 있습니다. 철학은 이 심연으로부터 눈을 가려도 안 되고, 그렇다고 이 심연을 치워 버릴 수도 없습니다.
철학은 만인을 위한 것입니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그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이제까지도 그랬고, 오늘에 와서도 그렇다. 하지만 이대로 두어서는 안 되고, 결코 이대로 둘 것도 아니다."
하지만 철학이 하나하나의 인간에게 어떤 것일 수 있는가 하는 점에서 볼 때, 철학은 결코 무력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철학이야말로 인간이 자유 속에서 자기의 길을 찾는 크고도 유일한 힘인 것입니다. 이 힘만이 내적인 독립성을 가능케 해줍니다.
- 이 철학학교 (Kleine Schule des Philosophischen Denkens), 즉 사유하는 작은 철학 학교라는 의미의 책은 야스퍼스가 83세에 강연한 철학강의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적 적은 양의 원고에 비해 여러 분야에 대한, 우주, 생명, 역사, 현대, 지식, 인간, 정치, 인식, 가치, 심리학, 사회학, 공개성, 암호/신, 사랑, 죽음, 철학에 대한, 그의 철학이 집대성되어 있는 책이다.
실존적 가치관을 가진 야스퍼스의 세계관과 인간관, 정치/사회/개인의 철학으로의 요구, 영원과 시간성에 관한 논의는 너무도 동의하지 않을 수 없는 부분이다. 니체나 키에르 케고르, 하이데거와 그 기본적 실존적 가치를 같이하고 있으나 좀 더 논리적이고 명확한 시각과 언어로서 철학을 제시하는 야스퍼스의 통찰과 노력에 깊이 감사한다. 아직 읽을 수 있는 그의 저작이 많이 남아있음에 기쁨을 느끼는 현시대의 한 사람으로서 '시간을 초월한 위대함과 영원성'을 야스퍼스 스스로가 증명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공감의 바다에서 한참은 즐겁게 유영할 듯 하다.
철학은 보편적입니다. (중략) 지식은 끝이 없고 저마다 흩어져 있습니다. 반면에 철학적 사유는 지식의 도움을 빌려 유일한 중심에 도달하고자 합니다. 단순한 지식은 하나의 퇴적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철학은 그때마다 하나의 전체가 됩니다. 지식은 합리적인 것이며, 누구의 오성도 이를 똑같이 손에 넣을 수 있습니다. 철학은 전체를 이해함으로써 한 인간의 본질을 이루는 사유방식입니다.
철학적 사유에 관해서 말하더라도, 우리는 철학적 대기권의 무한한 공간에서 불과 한두 번의 공기를 호흡할 뿐입니다.
(중략) 그리고 철학적 사유의 순수한 공기도, 그 속에서 호흡하며 사는 실존의 작용이 있어야만 힘이 될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어떠한 해답도 궁극적인 것은 아닙니다. 모든 해답은 새로운 물음들을 낳습니다. 결국 궁극적 물음은 해답 없이 남게 되지만, 그렇다고 공허한 물음으로 남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궁극적 물음은 충실한 고요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 고요 속에는 아무것도 없는 것이 아닙니다.
세계는 갈기갈기 찢겨 버렸습니다.
인간의 실존적 재앙은, 과학적으로 얻어진 지식이 존재 그 자체로 생각될 때와 과학적으로 알 수 없는 모든 것이 비존재로 인식될 때에 시작됩니다.
철학은 이러한 걸림돌을 헤치고 나가 인간을 자기 자신에게로 되돌려 주는 일을 과제로 삼는 것입니다.
우주는 우리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중략) 우주는 우리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결과적으로 점점 더 신속한 상품 교환을 낳는 생산과 소비의 과정 속으로 현존재가 변해 들어가고 있습니다. 모든 것이 견실함을 잃어 가고 있습니다. (중략) 우리는 싫든 좋든 변해 가는 순간을 위하여 살 수 밖에 없습니다. (중략)
어느새 싹튼 이 공공연한 기만 상태를 숨긴다 해서, 그것에 따르는 결과마저 피할 수는 없습니다. 물질세계에서의 항구성의 소멸은 인간적인 환경을 파괴하고, 인간 존재 자체마저 엄습합니다. 결혼.우정.일에서의 성실함은 의심을 받습니다. 어디에서나 똑같습니다. 항구성이 자취를 감추고 무엇 하나 믿을 만한 것이 없어집니다.
(중략)
정신을 공허해지고, 세계는 삭막하고 재미없는 유흥의 무대가 되고 있습니다.
'신은 죽었다'라고들 말합니다. 그런데도 교회는 번창하고 있습니다. (중략) 낡아서 썩어 버린 장엄한 무대 장치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 생명은 그 사실을 의식하는 순간, 자신이 닫힌 문 앞에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현대를 비방하지 마십시오. 오늘도 인간은 저마다 온갖 거짓 위안을 물리치고, 최악의 사태와 마주하고도 고유한 성실성을 잃지 않으며, 무지의 신앙에 근거해서 꾸밈없이 하루하루의 일과를 다하며 태연하게 죽어 갑니다. 이들 인간에게는 얼마나 많은 자유와 소박한 존엄이 존재합니까! 자기 자신이 되는 것, 이것이야말로 얼마나 빛나는 인간됨이겠습니까!
만일 역사가 본디부터 그 속에서 계획되고 있는 인류의 자기 붕괴 과정으로 파악된다면 이러한 것은 잊혀집니다. 사랑, 진지성, 인간의 위대성, 인간이 창조한 작품의 우수성, 이 모든 가치는 그 상징적 존재에 의하여, 어떠한 몰락의 과정에서도 그것을 버려 두지 않는 그 무엇이 있음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역사와 현대를 바라다본다는 것, (중략) 그것의 본질은 바로 책임을 불러일으키는 것입니다.
그러나 세계 너머 바깥쪽을 내다보지는 못합니다. 철학적 통찰이 비로소 이 세계 속에 감금당한 우리를 놓아줍니다.
해답은 결국 결단에 의해서만 주어질 수 있습니다.
나는 실재 세계가 나와 무관한 것이 되도록 버려두고 싶은가? 나는 실재 세계에 전혀 관여하지 않고 그저 이 세계를 수동적으로 견디어 나가고만 싶은가? 나는 어떠한 일에도 책임을 지고 싶지 않은가? 나는 마치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살아가고 싶은가? (중략)
이러한 일들이 싫다면, 그럼 나는 나의 생활 현실과 나의 책임과 인식을 통하여, 이 현상 세계 안에서 명백성에 도달하고 싶은가? 현상 세계의 이 명백성을 넘어선, 어는 다른 곳으로부터 유래하는 모든 가능한 명백성에 도달할 절대적인 길이 우리에게 있다고 기대하고 싶은가? 그렇다면 현상은 결코 허상이 아니며 인생은 절대 꿈이 아닙니다.
우리는 현존재로서 태어났지만 현존재로서 자기를 창조한 것은 아닙니다.
자기가 이러이러한 민족.성.시대.문화권.사회적 및 경제적 상황에 묶여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자기를 해방시킬 수 있는 인간, 즉 이러한 모든 것의 외부에다, 이러한 모든 것의 저편에다 자신을 세워 놓고, 이러한 모든 것 속에 역사적으로 파고 들어갈 수 있는 인간, 이런 인간은 대체 어떤 사람이겠습니까?
(중략) 인간이 자기 자신이 될 때, 이제껏 귀를 기울이고 있다고 믿으면서도 사실은 전혀 이해하지 못했던 그 무엇인가에 의하여 존재 의식은 충만해집니다.
인간은 세계로부터도, 역사로부터도, 자기 자신으로부터도 자신을 파악하지 못합니다.
인간은 자기의 현존재에 묶여 있으면서도 자신을 초월하려 합니다.
인간은 우주로 나아가려 하지만 결코 우주에 도달하지는 못합니다. (중략) 이것은 결코 좌절이 아니라, 한계입니다.
(중략) 오늘날에는 위험하기 짝이 없는 등산가의 모험이 우주비행사의 모험보다도 훨씬 내용이 풍성합니다. (중략) 우주비행이 자랑하는 것은 겨우 기술의 완벽성뿐입니다. 이 완벽성은 공허함 위신을 낳으므로, 기술적인 스포츠의 최고 기록과 비교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테의 환상의 원리 - 교만한 지식욕과 재능에서 생기는 몰락 - 는 오늘날 새로운 형태를 띠고 현실적인 것이 되어 있습니다. 왜냐하면 기술적 실현은 인류의 자멸을 실제로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지점까지 이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자각이 이루어지면 인간은 자기가 불확실하고 내던져진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식합니다. 사실을 숨기지 않고 사유하려면, 우리에겐 용기가 필요합니다. 눈을 또렷이 뜨고 분별심을 잃지 않으면서 어둠 속을 헤쳐 나가야 합니다.
그가 하나의 인간이라는 의식 속에서 사람들에 대한 의무를 지고 끝까지 성실하게 남고자 한다면, 그는 타인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인간이 인간인 것은 그가 자기 속에 이러한 존엄을 지니고 있고, 또 모든 타인 속에서 이 존엄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위대한 정치가는 (중략) 자유의 기회가 주어질 때마다 그들의 행위 전체로써 그것을 위해 싸웁니다. (중략)
정략가는 이와 다릅니다. 그들은 편의주의적인 현실주의자로 기업 경영자이며, 교활한 인간이고 협잡꾼입니다. 그들은 자유의 이름 아래 거리낌없이 자유의 여러 조건에 어긋나는 행위를 합니다. 그들은 가면이 벗겨지면 거짓말과 기지를 써서 피합니다. (중략) 그들은 자유의 파괴자들입니다.
이러한 정략가는 아무런 사명감도 없으면서, 자기의 임무를 하나의 직업으로 삼습니다.
경제적인 번영 가운데에는, 그대로 적당히 살아가는 데에는, 단순한 흥분 가운데에는 아무런 자유도 없습니다. (중략) 책임의 분담은 책임의 상실을 가져왔습니다.
신의 이름으로, 또는 절대적 진리의 이름으로 권위를 요구하는 것은 언제나 인간뿐이며, 신이나 진리 자체는 아닙니다.
비록 인간이 폭력의 입에 삼켜질지 모른다 해도, 인간의 진리는 역시 이러한 자유에 이르는 인간의 길이었습니다. 좌절은 자유를 부정할 수 없습니다. 그것은 마치 지구의 영광이, 그의 몰락으로 인해 부정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비록 지구가 그 어느 날 우주의 바다에서 마치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다는 듯이, 스스로 몰락해 사라져 버린다 해도 말입니다.
실천하는 과정에서 갈등이 일어날 때, 비로소 무엇이 인간에게 중요한가 하는 것이 수면 위에 떠오릅니다.
진리의지는 개방성을 촉구하고, 권력의지는 폐쇄성으로 몰아갑니다. (중략)
권력의지는 가면으로 자기를 꾸밉니다. (중략) 진리 자체가 하나의 권력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폐쇄성과 거짓이 최후의 결정적인 것이 아니기를 바랍니다.
침묵할 때 우리는 자신에 대해 거짓되게 됩니다. (중략)
공적으로 중요한 일에 대하여 침묵함으로써 모든 사태의 경과는 거짓이 됩니다. 공공의 허위는 개인적인 허위의 거울입니다.
칸트의 정언적 명령에서 양심에 대한 요구의 핵심을 찔렀습니다. 즉 너는 너의 행위로써 하나의 세계를 창조하고, 그 세계에서는 너의 행동 원칙이 모든 사람에게 언제나 타당하도록 행위하라는 것입니다.
인간적 사건은 우주적 사건입니다.
자유의 길이 불가능한 듯 생각될 때에도, 막다른 골목같아 보이는 길이 우리의 과제이며 우리 인간 존재 자체라고 하는 확신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신이라는 이름은 우리가 단순하게 이해할 수 없는 것에 붙여지는 이름입니다. (중략)
신이라는 암호를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닌 말로서 듣는 수밖에 없습니다. 암호가 들리지 않게 되면, 우리 주위는 어둡고 황량해집니다. 그러나 우리가 암호를 들었다고 해서 평안에 다다를 수 있는 것 또한 아닙니다.
영원한 것은 훗날 오는 것이 아니라 현재적인 것입니다.
죽음은 모든 사람 앞에 놓여 있습니다. 우리는 죽음이 언제 찾아올지 모르므로 마치 죽음이 결코 오지 않을 것처럼 살아갑니다.
부활의 약속은 그것을 믿지 않는 사람에게는 쓸데없는 교의입니다. (중략) 시체의 부패입니다. 아무것도 남지 않습니다. (중략) 그러나 영원에의 충동은 무의미한 것이 아닙니다. 우리 중에는 멸망한다는 것을 믿지 못하는 무엇이 있습니다.
시간성이란 실재의 생성을 뜻합니다. 생성은 처음도 끝도, 근원도 목적도, 그리도 바닥도 없습니다. 시간성의 경험은 우리가 현존재로서 움직이고 있는, 이 감정적인 현재에서 완성합니다.
반면 무시간성은 모든 시간으로부터의 자유로운 존재를 의미합니다. (중략)
마지막으로 영원성이란 시간적으로 현존하는 것과 무시간적인 존재, 즉 시간 속에서 시간을 거스르며 시간적인 동시에 무시간적인 것과의 통일을 말합니다. 영원성은 무시간적인 비현실에도, 시간적인 실재에도 대립한다는 뜻에서의 영원한 현실입니다. 이 영원성의 경험은 오직 실존에만 귀속됩니다. 경험적으로도 논리적으로도 영원성은 하나의 부조리입니다.
이 부조리 - 시간 안에서의 영원성 경험
순간은 시간적이지만 그것이 실존적으로 채워질 때, 이 순간을 모든 시간을 덮는 영원에 관여합니다.
그러나 만일 철학이라는 것이 전연 존재하지 않는다면, 무도한 정치 운영은 많은 정치가들에게 한결 쉬워집니다. 대중과 공무원이 만일 사유하지 않고 다만 주입된 지성만을 지닐 때, 그들을 다루기는 한결 쉬워집니다. 인간이 진지해지는 것을 사람들은 막아야 합니다. (중략)
이리하여 철학은 적들에게 포위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그러한 적들 대부분은 실정도 제대로 모르는 자들입니다. 부르주아적인 자기 만족, 인습적 생활, 경제적 번영에 대한 만족, 오직 기술적 유용성 하나만을 따지는 과학의 평가, 무제약적인 권력의지, 정치가들의 당파 근성, 이데올로기의 광신, 유능한 저술가들의 문학적 명성을 향한 의지, 이들 모든 것은 비철학 속에서 자신을 내세웁니다. 그들은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므로 그렇다는 사실을 깨닫지도 못합니다. 그들의 비철학은 그런 대로 철학이기는 하지만 전도된 철학이라는 것, 그리고 이 비철학은 일단 밝음 속에 내놓으면 저절로 분리되고 말리라는 것, 이러한 일을 그들은 의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진리로부터 눈길을 떼지 않는 것은 인간의 품위입니다.
그는 망상속에서 행복을 얻기보다는, 차라리 진리와 가까워져서 좌절하기를 바랍니다.
존재하는 것은 마땅히 드러나야 합니다.
철학은 심연 앞에 서 있습니다. 철학은 이 심연으로부터 눈을 가려도 안 되고, 그렇다고 이 심연을 치워 버릴 수도 없습니다.
철학은 만인을 위한 것입니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그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이제까지도 그랬고, 오늘에 와서도 그렇다. 하지만 이대로 두어서는 안 되고, 결코 이대로 둘 것도 아니다."
하지만 철학이 하나하나의 인간에게 어떤 것일 수 있는가 하는 점에서 볼 때, 철학은 결코 무력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철학이야말로 인간이 자유 속에서 자기의 길을 찾는 크고도 유일한 힘인 것입니다. 이 힘만이 내적인 독립성을 가능케 해줍니다.
- 이 철학학교 (Kleine Schule des Philosophischen Denkens), 즉 사유하는 작은 철학 학교라는 의미의 책은 야스퍼스가 83세에 강연한 철학강의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적 적은 양의 원고에 비해 여러 분야에 대한, 우주, 생명, 역사, 현대, 지식, 인간, 정치, 인식, 가치, 심리학, 사회학, 공개성, 암호/신, 사랑, 죽음, 철학에 대한, 그의 철학이 집대성되어 있는 책이다.
실존적 가치관을 가진 야스퍼스의 세계관과 인간관, 정치/사회/개인의 철학으로의 요구, 영원과 시간성에 관한 논의는 너무도 동의하지 않을 수 없는 부분이다. 니체나 키에르 케고르, 하이데거와 그 기본적 실존적 가치를 같이하고 있으나 좀 더 논리적이고 명확한 시각과 언어로서 철학을 제시하는 야스퍼스의 통찰과 노력에 깊이 감사한다. 아직 읽을 수 있는 그의 저작이 많이 남아있음에 기쁨을 느끼는 현시대의 한 사람으로서 '시간을 초월한 위대함과 영원성'을 야스퍼스 스스로가 증명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공감의 바다에서 한참은 즐겁게 유영할 듯 하다.
2014년 4월 8일 화요일
Carol Rifka Brunt의 "Tell the Wolves I'm Home"중
A hot tear ran down my cheek.
Then, into the silence, over the top of everything, came a long, sad howl. For a second it felt like the sound had come from inside me. Like the world had taken everything I was feeling and turned it into the sound.
I put everything in the back of my closet with teapot and the first note from Toby, and then I fell asleep. The bed was warm and ordinary and perfect, and it had been such a long, long day. Probably the longest day of my life. I felt like I had proof that not all days are the same length, not all time has the same weight. Proof that there are worlds and world and worlds on top of worlds, if you want them to be there.
Toby was loose. Attached to nothing. Except maybe to Finn. That's what I started to figure out. Without Finn, Toby was like a kite with nobody holding the string.
I meant it seriously. I really wondered why people were always doing what they didn't like doing. It seemed like life was a sort of narrowing tunnel. Right when you were born, the tunnel was huge. You could be anything. Then, like, the absolute second after you were born, the tunnel narrowed down to about half that size. (skip) On and on through the years until you were stuck.
you can still see the five black buttons. NOt the way that were, not clumsy and thick, but more like shadows. Like small eclipsed moons, floating over my heart.
- 천천히 문장을 곰곰히 새기면서 읽었다. 많지 않은 등장 인물과 연극세트와도 같은 배경에서 어떻게 그렇게 많은 것을 담아낼 수 있는지... 14살 소녀인 June을 통해서 서술되는 이 이야기는 그녀가 사랑하는 삼촌이자 대부인 Finn의 죽음에서 시작한다. 이 소설은 죽음, 사랑, 상처, 우애, 진실, 질투, 아집, 포용, 성장, 화해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마음이 아프면서도 읽을수록 사랑하게 되는 그런 진실되고 따뜻한 소설. 용기가 없어 누군가를 잃기 전 언제든 다시 읽어도 좋을 그런 소설. 아름다운 문장에 진실함이 소록소록 묻어나 오래도록 마음에 끈끈하게 묻어있을 그런 소설이다.
Then, into the silence, over the top of everything, came a long, sad howl. For a second it felt like the sound had come from inside me. Like the world had taken everything I was feeling and turned it into the sound.
I put everything in the back of my closet with teapot and the first note from Toby, and then I fell asleep. The bed was warm and ordinary and perfect, and it had been such a long, long day. Probably the longest day of my life. I felt like I had proof that not all days are the same length, not all time has the same weight. Proof that there are worlds and world and worlds on top of worlds, if you want them to be there.
Toby was loose. Attached to nothing. Except maybe to Finn. That's what I started to figure out. Without Finn, Toby was like a kite with nobody holding the string.
I meant it seriously. I really wondered why people were always doing what they didn't like doing. It seemed like life was a sort of narrowing tunnel. Right when you were born, the tunnel was huge. You could be anything. Then, like, the absolute second after you were born, the tunnel narrowed down to about half that size. (skip) On and on through the years until you were stuck.
you can still see the five black buttons. NOt the way that were, not clumsy and thick, but more like shadows. Like small eclipsed moons, floating over my heart.
- 천천히 문장을 곰곰히 새기면서 읽었다. 많지 않은 등장 인물과 연극세트와도 같은 배경에서 어떻게 그렇게 많은 것을 담아낼 수 있는지... 14살 소녀인 June을 통해서 서술되는 이 이야기는 그녀가 사랑하는 삼촌이자 대부인 Finn의 죽음에서 시작한다. 이 소설은 죽음, 사랑, 상처, 우애, 진실, 질투, 아집, 포용, 성장, 화해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마음이 아프면서도 읽을수록 사랑하게 되는 그런 진실되고 따뜻한 소설. 용기가 없어 누군가를 잃기 전 언제든 다시 읽어도 좋을 그런 소설. 아름다운 문장에 진실함이 소록소록 묻어나 오래도록 마음에 끈끈하게 묻어있을 그런 소설이다.
2014년 3월 24일 월요일
Jesmyn Ward의 'Salvage the Bones' 중
China. She will return, standing tall and straight, the milk burned out of her. She will look down on the circle of light we have made in the Pit, and she will know that I have kept watch, that I have fought. China will bark and call me sister. In the star-suffocated sky, there is a great waiting silence.
She will know that I am a mother.
-다른 인종이나 다른 문화의 사람들의 삶이 어떠한지, 특히 그들의 삶 자체가 살아가기조차 녹록치 않을 때, 어떠한지에 대해서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는가?
이 책에서 나오는 기이하게 보이는 가족은 아마도 그들의 그룹에서는 너무도 흔한 가족의 모습인지도 모른다. 일찍 어머니를 잃은 미시시피에 사는 빈민한 흑인 가족의 모습, Pit이라고 불리우는 그들의 집이라고 말하기도 힘든 삶의 터전, 아버지와 2명의 오빠들, 남동생의 틈에서 살아나가는 Esch, China라는 핏불 투견 암컷의 출산에서 시작되서 Hurricane Katrina가 쓸고 지나가기까지의 12일간의 이야기를 통해 엿본 그들의 삶은 너무도 무책임한 듯 망가져있지만 그 안에서의 가족과 사람의 휴머니즘이 녹아있다. 오빠의 친구들과 무절제한 관계를 가지다 좋아하는 한 명의 아이를 가지고 그에게 버림받는 Esch는 12일간의 여정을 통해 강인한 여성, 모성의 여성으로 거듭난다. China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가지고 돌보는 Skeeta라는 그녀의 오빠는 '사랑'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그에 따른 책임과 care가 무엇인지 누구보다도 더 절실히 보여준다. 그토록 소중했던 China의 강아지를 하나씩 잃어가고 결국 허리케인으로 죽을 고비를 넘기면서 China마저 잃게되는 Skeeta는 China를 포기하지 않고 기다린다. 무엇을 사랑한다는 것은 그런 것이다. 사랑이라는 단어조차 불합리하게 느껴질 것 같은 그런 상황의 삶의 조건에서 Esch의 가족은 무심한 듯 하나, 삶에 의해 매 순간 무자비하게 당하는 것 같지만, 그들의 가족애와 인간애가 끈끈하게 독자를 감싸는 가슴 뭉클한 소설.
She will know that I am a mother.
-다른 인종이나 다른 문화의 사람들의 삶이 어떠한지, 특히 그들의 삶 자체가 살아가기조차 녹록치 않을 때, 어떠한지에 대해서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는가?
이 책에서 나오는 기이하게 보이는 가족은 아마도 그들의 그룹에서는 너무도 흔한 가족의 모습인지도 모른다. 일찍 어머니를 잃은 미시시피에 사는 빈민한 흑인 가족의 모습, Pit이라고 불리우는 그들의 집이라고 말하기도 힘든 삶의 터전, 아버지와 2명의 오빠들, 남동생의 틈에서 살아나가는 Esch, China라는 핏불 투견 암컷의 출산에서 시작되서 Hurricane Katrina가 쓸고 지나가기까지의 12일간의 이야기를 통해 엿본 그들의 삶은 너무도 무책임한 듯 망가져있지만 그 안에서의 가족과 사람의 휴머니즘이 녹아있다. 오빠의 친구들과 무절제한 관계를 가지다 좋아하는 한 명의 아이를 가지고 그에게 버림받는 Esch는 12일간의 여정을 통해 강인한 여성, 모성의 여성으로 거듭난다. China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가지고 돌보는 Skeeta라는 그녀의 오빠는 '사랑'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그에 따른 책임과 care가 무엇인지 누구보다도 더 절실히 보여준다. 그토록 소중했던 China의 강아지를 하나씩 잃어가고 결국 허리케인으로 죽을 고비를 넘기면서 China마저 잃게되는 Skeeta는 China를 포기하지 않고 기다린다. 무엇을 사랑한다는 것은 그런 것이다. 사랑이라는 단어조차 불합리하게 느껴질 것 같은 그런 상황의 삶의 조건에서 Esch의 가족은 무심한 듯 하나, 삶에 의해 매 순간 무자비하게 당하는 것 같지만, 그들의 가족애와 인간애가 끈끈하게 독자를 감싸는 가슴 뭉클한 소설.
2014년 2월 21일 금요일
말라르메(Mallarme)의 시 중 -민음사 '목신의 오후'에서 발췌-
<창>
슬픈 병원에 비쳐서,
텅빈 벽, 권태로운 대십자가를 향해
일상의 백색 휘장처럼 피어오르는
역한 내음의 향연에 지쳐서,
빈사의 환자는 늙은 등을 추켜 세우고
몸을 이끌고 다가가
메마른 얼굴의 흰 수염과 뼈를,
곱고 맑은 광선이 잡아당기는 창에 댄다.
썩은 환부를 덥히려는 것이 아니라
돌 위에 내리는 햇빛을 보려 함이다.
젊었을 적 그의 보물, 그 옛날 동정의
피부를 빨아들이려 찾아가듯,
열에 뜬 입, 푸른 하늘에 굶주린 입으로
오래 오래 쓰디쓰게 입맞춤하며
황금빛으로 데운 유리창을 더럽힌다.
꿈에 취하여, 이제 그는 살고 있다.
죽음의 유약의 몸서리침도, 탕약도,
강요당한 침대도, 기침도 모두 잊는다.
저녁이 기와 지붕들 사이에 피를 흘릴 때,
빛이 넘치는 지평선에 눈을 보내고,
추억이 가득 차 오히려 무심하게
갈래 갈래 찢기는 야성의 번갯불을 얼러 잠재우며,
보는가, 백조같이 아름다운 황금 노예선들이
향기 젖은 분홍빛 강 위에 잠자는 것을.
이처럼, 행복의 의자에 깊이 파묻힌
모진 마음의 인간이 역겨워,
오직 살아 있는 것은 식욕,
젖 먹이는 아내에게 가져다 주려고 오물을 찾아 안간힘을 쓰는 인간이 역겨워.
나는 도망친다, 나는 모든 창에 매달려 삶에게 등을 돌리고 싶다, 하여,
순결한 <영원>의 아침이 금빛으로 물들이는
구원의 아침 이슬로 축복받고 씻겨서
그 창 유리 속에 내 얼굴을 비치면
나는 천사가 된다! 그리고 나는 죽어
--- 창 유리는 예술이어라, 신비여라 ---
<아름다움>이 꽃피는 태고적 하늘에
꿈의 왕관을 쓰고
나는 새로 태어나고 싶다!
그러나 오호라! 속세가 주인이라,
악몽은 때때로 이 확실한 피난처까지
찾아와 내 속을 뒤집고
어리석음의 더러운 구토가
푸른 하늘 앞에서도 코를 막게 한다.
오, 쓰디쓴 맛을 나는 나여,
모욕받은 괴수처럼 수정을 부시고 깃털 없는 내 두 날개로 도망칠 방법이 있는가
--- 영원 속에서 떨어지는 한이 있어도?
<바다의 미풍>
오! 육체는 슬퍼라, 그리고 나는 모든 책을 다 읽었노라.
떠나 버리자, 저 멀리 떠나 버리자.
새들은 낯선 거품과 하늘에 벌써 취하였다.
눈매에 비친 해묵은 정원도 그 무엇도
바닷물에 적신 내 마음을 잡아 두지 못하리,
오, 밤이여! 잡아 두지 못하리,
흰빛이 지켜 주는 백지, 그 위에 쏟아지는
황폐한 밝음도,
어린아이 젖 먹이는 젊은 아내도.
나는 떠나리! 선부여, 그대 돛를 흔들어 세우고 닻을 올려
이국의 자연으로 배를 띄워라.
잔혹한 희망에 시달린 어는 권태는
아직도 손수건의 그 거창한 작별을 믿고 있는지.
그런데, 돛들이 이제 폭풍을 부르니
우리는 어쩌면 바람에 밀려 길 잃고
돛도 없이 돛도 없이, 풍요한 섬도 없이 난파하는가
그러나, 오 나의 가슴아, 이제 뱃사람들의 노랫소리를 들어라.
<백조>
순수하고, 싱싱하고 아름다운 오늘은
취한 날개를 쳐서, 떠나 버리지 못한
비상의 투명한 빙하가
서릿발 아래로 위협하듯 찾아드는
이 모진 잊혀진 호수를 찢어 줄까!
흘러 간 시절의 백조는 이제 기억한다.
모습은 찬란하나, 불모의 겨울 근심이
서슬 푸르게 번쩍거리도록
찾아가 살아야 할 악사를 노래하지 못한 죄로, 헤어나려고 애쓰나 희망이 없는 저의 신세를.
벗어나고 싶은 공간이 저에게 내리는
이 백색의 죽음 같은 고뇌를,
새는 저의 목을 다 늘여 빼고 뒤흔든다.
그러나 저의 날개깃이 매여 있는
이 땅의 혐오를 어이 뒤흔들랴.
저의 순수한 빛이 이곳에 지정해 준 유령의 모습,
무용한 유형 속에서, 백조의 신세로 하여 얻어 입은 차디찬 모멸의 꿈에
가만히 멈추어 몸을 맡긴다.
- 비참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이상과 생명에 대한 강렬한 열망이 유려한 문장에 비수를 꽂듯 깃들어 있는 말라르메의 시를 대하면서, 원어로 읽을 수 없다는 것이 너무나 안타까웠다.
현실에 매여 있는 이상을 추구하는 정신은 항상 떠남과 비상을 갈망하나 벗어날 수 없다. <창>의 빈사의 환자가 갈망하는 아름다움과 비상, <바다의 미풍>에 드러난 떠남에 대한 열망, <백조>에 드러난 헤어나려고 애쓰는 날개짓에 매여 있는 그 몸부림에, 말라르메가 원했던 그 이상에 대한 갈구가 문장의 비참한 아름다움 속에서 울부짖는 것 같다. 위대한 시인의 글은 어떤 세월을 지나 읽히던 간에, 잠잠했던 가슴을 뒤흔들어 영혼에 소름을 돋게 한다.
슬픈 병원에 비쳐서,
텅빈 벽, 권태로운 대십자가를 향해
일상의 백색 휘장처럼 피어오르는
역한 내음의 향연에 지쳐서,
빈사의 환자는 늙은 등을 추켜 세우고
몸을 이끌고 다가가
메마른 얼굴의 흰 수염과 뼈를,
곱고 맑은 광선이 잡아당기는 창에 댄다.
썩은 환부를 덥히려는 것이 아니라
돌 위에 내리는 햇빛을 보려 함이다.
젊었을 적 그의 보물, 그 옛날 동정의
피부를 빨아들이려 찾아가듯,
열에 뜬 입, 푸른 하늘에 굶주린 입으로
오래 오래 쓰디쓰게 입맞춤하며
황금빛으로 데운 유리창을 더럽힌다.
꿈에 취하여, 이제 그는 살고 있다.
죽음의 유약의 몸서리침도, 탕약도,
강요당한 침대도, 기침도 모두 잊는다.
저녁이 기와 지붕들 사이에 피를 흘릴 때,
빛이 넘치는 지평선에 눈을 보내고,
추억이 가득 차 오히려 무심하게
갈래 갈래 찢기는 야성의 번갯불을 얼러 잠재우며,
보는가, 백조같이 아름다운 황금 노예선들이
향기 젖은 분홍빛 강 위에 잠자는 것을.
이처럼, 행복의 의자에 깊이 파묻힌
모진 마음의 인간이 역겨워,
오직 살아 있는 것은 식욕,
젖 먹이는 아내에게 가져다 주려고 오물을 찾아 안간힘을 쓰는 인간이 역겨워.
나는 도망친다, 나는 모든 창에 매달려 삶에게 등을 돌리고 싶다, 하여,
순결한 <영원>의 아침이 금빛으로 물들이는
구원의 아침 이슬로 축복받고 씻겨서
그 창 유리 속에 내 얼굴을 비치면
나는 천사가 된다! 그리고 나는 죽어
--- 창 유리는 예술이어라, 신비여라 ---
<아름다움>이 꽃피는 태고적 하늘에
꿈의 왕관을 쓰고
나는 새로 태어나고 싶다!
그러나 오호라! 속세가 주인이라,
악몽은 때때로 이 확실한 피난처까지
찾아와 내 속을 뒤집고
어리석음의 더러운 구토가
푸른 하늘 앞에서도 코를 막게 한다.
오, 쓰디쓴 맛을 나는 나여,
모욕받은 괴수처럼 수정을 부시고 깃털 없는 내 두 날개로 도망칠 방법이 있는가
--- 영원 속에서 떨어지는 한이 있어도?
<바다의 미풍>
오! 육체는 슬퍼라, 그리고 나는 모든 책을 다 읽었노라.
떠나 버리자, 저 멀리 떠나 버리자.
새들은 낯선 거품과 하늘에 벌써 취하였다.
눈매에 비친 해묵은 정원도 그 무엇도
바닷물에 적신 내 마음을 잡아 두지 못하리,
오, 밤이여! 잡아 두지 못하리,
흰빛이 지켜 주는 백지, 그 위에 쏟아지는
황폐한 밝음도,
어린아이 젖 먹이는 젊은 아내도.
나는 떠나리! 선부여, 그대 돛를 흔들어 세우고 닻을 올려
이국의 자연으로 배를 띄워라.
잔혹한 희망에 시달린 어는 권태는
아직도 손수건의 그 거창한 작별을 믿고 있는지.
그런데, 돛들이 이제 폭풍을 부르니
우리는 어쩌면 바람에 밀려 길 잃고
돛도 없이 돛도 없이, 풍요한 섬도 없이 난파하는가
그러나, 오 나의 가슴아, 이제 뱃사람들의 노랫소리를 들어라.
<백조>
순수하고, 싱싱하고 아름다운 오늘은
취한 날개를 쳐서, 떠나 버리지 못한
비상의 투명한 빙하가
서릿발 아래로 위협하듯 찾아드는
이 모진 잊혀진 호수를 찢어 줄까!
흘러 간 시절의 백조는 이제 기억한다.
모습은 찬란하나, 불모의 겨울 근심이
서슬 푸르게 번쩍거리도록
찾아가 살아야 할 악사를 노래하지 못한 죄로, 헤어나려고 애쓰나 희망이 없는 저의 신세를.
벗어나고 싶은 공간이 저에게 내리는
이 백색의 죽음 같은 고뇌를,
새는 저의 목을 다 늘여 빼고 뒤흔든다.
그러나 저의 날개깃이 매여 있는
이 땅의 혐오를 어이 뒤흔들랴.
저의 순수한 빛이 이곳에 지정해 준 유령의 모습,
무용한 유형 속에서, 백조의 신세로 하여 얻어 입은 차디찬 모멸의 꿈에
가만히 멈추어 몸을 맡긴다.
- 비참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이상과 생명에 대한 강렬한 열망이 유려한 문장에 비수를 꽂듯 깃들어 있는 말라르메의 시를 대하면서, 원어로 읽을 수 없다는 것이 너무나 안타까웠다.
현실에 매여 있는 이상을 추구하는 정신은 항상 떠남과 비상을 갈망하나 벗어날 수 없다. <창>의 빈사의 환자가 갈망하는 아름다움과 비상, <바다의 미풍>에 드러난 떠남에 대한 열망, <백조>에 드러난 헤어나려고 애쓰는 날개짓에 매여 있는 그 몸부림에, 말라르메가 원했던 그 이상에 대한 갈구가 문장의 비참한 아름다움 속에서 울부짖는 것 같다. 위대한 시인의 글은 어떤 세월을 지나 읽히던 간에, 잠잠했던 가슴을 뒤흔들어 영혼에 소름을 돋게 한다.
2014년 2월 17일 월요일
주제 사라미구의 '동굴' 중
그는 사소한 일들을 하며 시간을 느리게 흘러가는 시간을 채웠다. 그 중에는 불필요한 일도 있었다. 가마를 꼼꼼히 살펴보고 청소하는 일 같은 것, 그는 천정에서 바닥까지, 안에서 바깥까지, 이음매와 타일을 하나도 빼놓지 않고 가마를 청소했다. 마치 사상 최대 규모로 불을 지필 준비를 하는 사람처럼.
하루하루는 다 똑같아요. 다른 건 시간이지. 하루가 끝날 때면 항상 이십사 시간이 고스란히 느껴져요. 그 시간 속에 아무것도 없을 때도, 하지만 아버지의 하루나 아버지의 시간은 그렇지 않죠.
개들이 어떤지 알잖니, 주인이 못되게 굴어도 주인은 주인이지. (중략) 저 적당한 이름이 있어요. 그게 뭔데. 파운드(Found).
우리 개가 누군가한테 발견되려고 일부러 길을 잃은 거라면, 우리도 찰흙 속에서 잃어버린 감각을 찾을 수 있을지 누가 알겠어요. 그건 모험이야, 실패할지도 몰라. 하지만 위험하지 않은 일도 실패하는 경우를 봤잖아요.
권위주의적이고, 사람을 마비시키기도 하고, 모호하고, 때로는 많은 것이 생략되어 있기도 하는 흔해빠진 말, 농담처럼 지혜의 샘이라고 일컬어지기도 하는 그런 말들은 악성 전염병이다. 지금까지 지구를 강타한 것들 중에서 제일 악질인 전염병. 혼란에 빠진 사람에게 우리는 너 자신을 알라고 말한다. 마치 자신을 아는 것이 쉬운 일인 것처럼. 모든 것에 무심한 사람에게는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고 말한다. 매일 이 말을 뒤집어 버리며 즐거워하는 잔혹한 현실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우유부단한 사람에게 우리는 모든 것은 첫걸음부터라고 말한다. 마치 느슨하게 감겨 있는 실의 끄트머리가 분명하게 드러나 있어서 그 끝을 계속 잡아당기기만 하면 반대편 끝에 도달할 수 있는 것처럼, 실이 얽히지도 않고 헝클어지지도 않아서 매끄럽게 계속 풀려나오는 것처럼. 실이 이렇게 풀려나오는 것은 절대 불가능한 일이다. 아니, 여기서 흔해빠진 표현을 한 번 더 써도 된다면, 인생이라는 실타래에서는 절대 불가능한 일이다. (중략) 첫걸음이 실의 끝자락처럼 분명하고 정확하게 드러나는 경우는 결코 없다. 첫걸음은 길고 고통스럽고 느린 과정이며, 그 첫걸음이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 알아내려면, 시간과 인내심이 필요하다. 첫걸음은 마치 눈면 사람처럼 길을 더듬으며 앞으로 나아가는 과정이고, 첫걸음은 첫걸음일 뿐이다. 그 전에 있었던 일은 거의 가치가 없다.
전날은 우리가 지금 실제로 경험하고 있는 하루에 영향을 미쳐, 인생은 마치 돌멩이를 짊어지고 가듯이 모든 전날을 짊어지고 가는 것이지. 짐이 너무 무거워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순간이 오면 수고가 끝난 거야, 어느 날의 전날이 아닌 날은 마지막 날밖에 없다.
어떤 사람들은 평생동안 책을 읽으면서도 그냥 종이 위에 있는 단어들밖에 읽지 못해. 그 단어들이 빠르게 흐르는 강을 가로지르는 징검다리에 불과하다는 걸 결코 깨닫지 못하지. 징검다리는 우리가 반대편 강가로 건너갈 수 있게 해주려고 그 자리에 있는 거야. 중요한 건 바로 그 반대편 강가야. 다만. 다만 뭐요. 다만 그 강에 강변이 여러 개가 아니라 두 개만 있다면, 독자들이 각자 자기만의 강변을 갖고 있는 게 아니라면. 그렇겠죠, 그러면 우리가 꼭 가봐야 하는 강변은 하나밖에 없을 테니까요.
우리가 시간이 없다는 말을 아무리 많이 해도 항상 시간을 맞춰서 가거나 시간보다 뒤에 가지만 결코 시간을 벗어나지는 않는다.
시프리아노 알고르는 아무것도 아닌 바보취급을 받으면서 이런 모욕을 꼭 참아야 하는 건지, 저 사람들 말이 무조건 옳다고 받아들여야 하는 건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중략) 저들이 보기에는 우리가 바로 그렇지, 아무것도 아닌 존재.
개는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다. 개들은 원래 이렇다. 가끔 주인 대신 생각을 해준다.
가끔은 우리가 어떤 사람인지 모르는 편이 나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시프리아노 알고르가 말했다. 파운드처럼요. 그래, 개는 저보다 주인을 더 잘 알 걸. 거울에 비친 제 모습도 몰라보잖니. 어쩌면 개의 거울은 그 주인인지도 모르죠, 어쩌면 개가 제 모습을 알아볼 수 있는 거울은 주인뿐인지도 몰라요.
당장 내일 일도 잘 모르겠네, 그가 말했다. 꼭 어둠 속을 걷고 있는 것 같아, 한발짝 내디딜 때마다 언제라도 바닥에 넘어져버릴 수도 있지. (중략) 그래, 옛날에는 몇 년씩 걸리던 일이 지금은 몇 주나 며칠 만에 끝나버린다는 게 다를 뿐, 어느 날 미래가 아주 짧아질 거다,
그가 지극히 사악한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기회, 즉 자기에게 돌아오는 이득이 전혀 없는데도 무조건 남의 불행을 고소해하는 기쁨을 누릴 기회를 잃어버려서 화를 내고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중략) 기초 응용심리학을 다룬 책을 아무 거나 골라서 행동에 관한 장을 펼치면, 성질 고약한 인간들이 대개는 겁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무에게도 이 그릇들을 들키고 싶지 않다는 듯이, 그릇들이 다시 필요해지는 날까지 그곳에 계속 숨어 있기를 바라는 사람처럼. 아, 우리가 직접 만든 것으로부터 자신을 떼어내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그것이 현실이든 꿈이든 똑같다. 심지어 우리가 그것을 자기 손으로 직접 부숴버렸다 해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책을 선반에 꽂아두거나, 트렁크에 넣어두거나, 먼지가 쌓이고 좀이 슬도록 내버려두거나, 어두운 지하실에 처박아두기도 한다. 몇 년이 지나도록 눈길 한 번, 손길 한 번 주지 않을 때도 있다. 하지만 책은 전혀 개의치 않고 조용히 기다린다. 내용물이 조금도 사라지지 않도록 입을 꼭 닫은 채. (중략) 그러면 마침내 부름을 받은 책이 그 모습을 드러낸다.
멍청하게 굴지 마라. 내가 일을 끝내지 않는다고 해서 세상이 끝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종종 누군가가 어깨에 손만 올려놓아도 울음이 터질 때가 있듯이, 우리는 순수하게 우리를 반기는 개를 보며 잠깐 동안이나마 세상의 고통, 슬픔, 실망과 화해할 수 있다.
이번에 새로운 것이 있다면, 그가 뺨을 타고 흐르는 고통스러운 눈물 몇 방울을 그냥 내버려두었다는 점뿐이다. 그가 오랫동안 꾹꾹 누르고 있었기 때문에 항상 언제라도 터져나올 것 같았던 눈물. 알고 보니 그 눈물은 지금의 이 슬픈 순간을 위한 것이었다. 달도 없는 이 밤, 아직 체념을 하지 못해 고독을 받아들이지 못한 이 고독한 순간을 위한 것이었다. 그다지 신선하다고 할 수 없는 일은 파운드가 시프리아노 알고르에게 다가가 그의 눈물을 핥아준 것이었다. (중략) 주인과 개는 극소에 두 시간이 넘도록 머물렀다, 각자 자기만의 생각에 잠겨서. 이제는 주인이 눈물을 흘리지 않았으므로 개가 닦아줄 눈물도 없었다. 어쩌면 이 주인과 개는 세상이 뒤집어져서 모든 것이, 심지어 지금까지 제자리를 찾지 못한 것들까지도 제자리를 되찾기를 기다리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그녀는 눈이 빙빙 돌 것 같아서 감히 가까이 다가가 보지도 못한 창문 두 개와 창백한 가구가 갖춰진 삼십사 층 새 집의 문턱을 넘어서는 순간 그녀의 머릿속을 뚫고 지나가며 그곳에 뿌리르르 내린 생각은, 앞으로 평생 동안 이곳에 사는 것을 도저히 참을 수 없을 것이라는 깨달음이었다. 상주경비원 마르살 가초의 아내라는 것 외에는 다른 신분이 전혀 없고, 자기 몸속에서 자라고 있는 딸 또는 아들 외에는 아무런 미래가 없는 삶이라니. (중략) 인형을 마무리한다는 것은 인형에 색칠을 해야 한다는 뜻이었고, 색칠은 그녀가 해야 할 일었다. 그녀가 입을 크게 벌리고 히죽 웃으면서 혀를 쭉 내민 파운드를 옆에 눕힌 채 뽕나무 밑에서 사나흘 동안 색칠을 할 수 있는 시간이 있다면 가능한 말이지만. 그녀가 원하는 것은 그것뿐이었다.
시프리아노 알고르는 잠을 청하려고 눈을 감았지만, 눈은 계속 감겨 있으려고 하지 않았다. 노인이 우는 것만큼 슬픈 일은, 그렇게 말로 할 수 없을 만큼 슬픈 일은 없다.
공방, 가마, 건조대, 헛간, 옛날에는 있었지만 지금은 없는 것들이요, 이것보다 더 큰 공동묘지가 있을까요.
존재하면서도 존재하지 않는 것 같은 느낌, 뭔가를 갖고 있으면서도 갖고 있지 않은 것 같은 느낌, 하고 싶은 일이 있는데 그걸 실천에 옮길 수 없는 기분이 느껴져.
거기서 뭘 보셨는데요, 죽은 사람들은 누구고요. 그 사람들은 우리다, 시프리아노 알고르가 말했다. 무슨 말씀이세요. 그 사람들은 우리야, 나, 너, 마르살, 센터 전체, 어쩌면 이 세상 전체일 수도 있고.
살다 보면 자기 몸 하나만 가지고 다녀도 충분할 때가 있는 법이다.
난 돌 의자에 묶여서 벽만 바라보며 여생을 보내고 싶지는 않아.
오늘 아무리 행복하다 해도 내일의 고통이 줄어들지는 않는다는 것을. 이 샘의 물로 사막에서 느끼는 갈증을 해소할 길이 없다는 것을.
거기서 나온 다음에 뭘 먹고 살려고. 그건 우리도 마찬가지에요. (중략) 그냥 살다보면 세상의 흐름에 몸을 맡겨야 할 때가 있다고 생각할 뿐이죠. 마치 그 흐름에 반항할 힘이 없는 것처럼, 그러다 보면 어느 날 갑자기 강이 우리에게 이로운 방향으로 흐르고있다는 걸 깨닫는 순간이 와요, (중략) 그렇지만 적어도 한 가지만은 물어봐야 할 것 같았다.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질문이지만 우리는 도저히 그 질문을 무시하지는 못하는 것 같다. 이게 정말로 최선이라고 생각하나. 마르살은 이렇게 대답했다. 이게 최선의 선택인지 최악의 선택인지 저도 몰라요. 그냥 해야 하는 일을 했을 뿐이에요.
난 이미 모든 걸 버렸는걸요. 그 물병을 가슴에 안았을 때 이미 모든 것에 등을 돌렸어요.
비가 내리면 이 인형들은 진흙으로 변할 것이고, 햇빛에 그 진흙이 마르면 흙먼지가 될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우리 모두가 언젠가 맞게 될 운명이다.
- 사라미구의 책들 중, 가장 감명깊게 읽은 책이다. 그의 저작 중 제일 좋아했던 '돌뗏목'보다도 더 많은 것을 담고 있어 다시 책장을 돌아가 또 읽고 또 읽게 만든 책.
세상에서 필요 없어져가는 직업을 가진 도자기를 굽는 도공. 그의 생계는 그가 구운 도자기를 받아주는 센터라는 거대한 상업지구처럼 지칭되는 조직에 있다. 그러나 어느 순간 그 센터는 도자기를 반품하고 주문을 끊는다. 삼대를 걸쳐서 해오던 일이 아무짝에도 쓸모 없어지게 된 위기를 맞는 나이 든 주인공은, 앞으로 상주 경비원이 될 사위를 따라 센터라는 거대한 상업/주거 컴플렉스에 가서 얹혀 살거나 다른 일을 해야만 하는 입장에 처하게 된다. 주인공의 딸인 마르타는 아버지에게 도자기 인형을 만들 것을 제안하고 센터의 주문에 따라 많은 수의 인형을 모든 정열과 기술을 바쳐 제작하는데, 일부 완성품을 가지고 설문조사를 실시한 센터는 어느순간 주문을 취소한다. 헛된 희망에 몇 주를 보낸 나이든 도공이 모든 것을 체념하고 사위와 함께 센터에 들어가게 된는데, 어쩔 수 없는 생계와 자본의 덫에 걸린 인간의 모습이 너무도 안타깝다. 센터에 들어간 세 사람은 모두 다 삶의 터전을 잃은 듯한 박탈감에서 헤어나려고 노력하지만, 센터에서 플라톤의 동굴에 묘사된 것도 똑같은 동굴을 발견하고, 그 속에서 자신의 모습들을 본 세 사람은 각자의 결단으로 센터를 나온다. 그들은 앞으로의 생계는 막막하지만 나이 든 도공과 그의 새로운 연인, 임신한 딸과 사위, 개와 함께 여행을 떠난다. 무모해 보이지만 실제로 그림자만 바라보고 사는 '동굴'을 떠나 햇빛이 비치는 진정한 삶으로서 나아간다는 의미에서 그들의 삶은 그 의미를 회복하는 것이다.
단순한 줄거리를 벗어나 사라미구가 78세의 나이에 쓴 글에 들어있는 그의 철학과 삶을 꿰뚫어 보는 묘사는 가슴을 절절히 울린다. 이 세상에서 우리는 필요 없어져가는 일을 하는 도공 시프리아노 알고르거나 좀더 나은 생계를 보장하는 조직의 덫에 잡힌 경비원 마르샬일 수 있다. 알고르가 느끼는 상실감, 불안감, 박탈감, 늙어감에 대한 슬픔 등은 우리 모두 느끼는 공통적인 것일 것이다. 그러나 그것들은 사라미구가 얼마나 구체화해서 전달하는지, 현실과 발전이라는 덫에 스스로 치인 우리들을 얼마나 아프게 찔러대는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질그릇과 같은 투박하고 진솔한 삶에 들어있는 아름다움들을 어떻게 그렇게 표현해 내었는지... 파운드와 그 주인과의 교감은 완전히 서로가 이해되지 않아도 얼마나 감격스러운가?
발전이라는 명목의 현대화와 물질 만능주의 속에서 우리는 무엇을 얻었으며 무엇을 잃었는지, 우리가 잃은 것들이 과연 얻은 것에 대비 잃을 가치가 있는 것이었는지, 생계의 보장과 생활의 안위 외에 먼지로 돌아가 운명을 지닌 인간의 삶에 진정으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게끔 한다. 동굴의 그림자를 보는데 익숙해진 인간을 결코 햇빛을 받아들이지는 못하리라. 조금씩 빛을 향해 눈을 돌려야만 진정한 세계를 보고 죽으리라. 돌의자의 묶여 동굴벽을 바라보다 죽는 삶을 살 것인가? 아니면 고개를 돌려 동굴 밖을 바라보고 한 발 한 발 옮길 것인가?
사라미구는 현실의 장벽은 외면하지는 않는다. 다만 그는 우리에게 동굴 밖의 삶을 제시할 뿐이다. 선택은 아마도 각자의 몫이리라. 플라톤의 말대로 동굴의 그림자만 보고 있는 사람을 억지로 동굴밖으로 끌어내려 한다면 자신을 죽이려는 줄 알려 할 것이라는 것처럼. 스스로 깨닫고 걸어나가지 않으면 결코 나갈 수 없는 곳이 플라톤의 동굴이 아닐까?
하루하루는 다 똑같아요. 다른 건 시간이지. 하루가 끝날 때면 항상 이십사 시간이 고스란히 느껴져요. 그 시간 속에 아무것도 없을 때도, 하지만 아버지의 하루나 아버지의 시간은 그렇지 않죠.
개들이 어떤지 알잖니, 주인이 못되게 굴어도 주인은 주인이지. (중략) 저 적당한 이름이 있어요. 그게 뭔데. 파운드(Found).
우리 개가 누군가한테 발견되려고 일부러 길을 잃은 거라면, 우리도 찰흙 속에서 잃어버린 감각을 찾을 수 있을지 누가 알겠어요. 그건 모험이야, 실패할지도 몰라. 하지만 위험하지 않은 일도 실패하는 경우를 봤잖아요.
권위주의적이고, 사람을 마비시키기도 하고, 모호하고, 때로는 많은 것이 생략되어 있기도 하는 흔해빠진 말, 농담처럼 지혜의 샘이라고 일컬어지기도 하는 그런 말들은 악성 전염병이다. 지금까지 지구를 강타한 것들 중에서 제일 악질인 전염병. 혼란에 빠진 사람에게 우리는 너 자신을 알라고 말한다. 마치 자신을 아는 것이 쉬운 일인 것처럼. 모든 것에 무심한 사람에게는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고 말한다. 매일 이 말을 뒤집어 버리며 즐거워하는 잔혹한 현실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우유부단한 사람에게 우리는 모든 것은 첫걸음부터라고 말한다. 마치 느슨하게 감겨 있는 실의 끄트머리가 분명하게 드러나 있어서 그 끝을 계속 잡아당기기만 하면 반대편 끝에 도달할 수 있는 것처럼, 실이 얽히지도 않고 헝클어지지도 않아서 매끄럽게 계속 풀려나오는 것처럼. 실이 이렇게 풀려나오는 것은 절대 불가능한 일이다. 아니, 여기서 흔해빠진 표현을 한 번 더 써도 된다면, 인생이라는 실타래에서는 절대 불가능한 일이다. (중략) 첫걸음이 실의 끝자락처럼 분명하고 정확하게 드러나는 경우는 결코 없다. 첫걸음은 길고 고통스럽고 느린 과정이며, 그 첫걸음이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 알아내려면, 시간과 인내심이 필요하다. 첫걸음은 마치 눈면 사람처럼 길을 더듬으며 앞으로 나아가는 과정이고, 첫걸음은 첫걸음일 뿐이다. 그 전에 있었던 일은 거의 가치가 없다.
전날은 우리가 지금 실제로 경험하고 있는 하루에 영향을 미쳐, 인생은 마치 돌멩이를 짊어지고 가듯이 모든 전날을 짊어지고 가는 것이지. 짐이 너무 무거워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순간이 오면 수고가 끝난 거야, 어느 날의 전날이 아닌 날은 마지막 날밖에 없다.
어떤 사람들은 평생동안 책을 읽으면서도 그냥 종이 위에 있는 단어들밖에 읽지 못해. 그 단어들이 빠르게 흐르는 강을 가로지르는 징검다리에 불과하다는 걸 결코 깨닫지 못하지. 징검다리는 우리가 반대편 강가로 건너갈 수 있게 해주려고 그 자리에 있는 거야. 중요한 건 바로 그 반대편 강가야. 다만. 다만 뭐요. 다만 그 강에 강변이 여러 개가 아니라 두 개만 있다면, 독자들이 각자 자기만의 강변을 갖고 있는 게 아니라면. 그렇겠죠, 그러면 우리가 꼭 가봐야 하는 강변은 하나밖에 없을 테니까요.
우리가 시간이 없다는 말을 아무리 많이 해도 항상 시간을 맞춰서 가거나 시간보다 뒤에 가지만 결코 시간을 벗어나지는 않는다.
시프리아노 알고르는 아무것도 아닌 바보취급을 받으면서 이런 모욕을 꼭 참아야 하는 건지, 저 사람들 말이 무조건 옳다고 받아들여야 하는 건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중략) 저들이 보기에는 우리가 바로 그렇지, 아무것도 아닌 존재.
개는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다. 개들은 원래 이렇다. 가끔 주인 대신 생각을 해준다.
가끔은 우리가 어떤 사람인지 모르는 편이 나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시프리아노 알고르가 말했다. 파운드처럼요. 그래, 개는 저보다 주인을 더 잘 알 걸. 거울에 비친 제 모습도 몰라보잖니. 어쩌면 개의 거울은 그 주인인지도 모르죠, 어쩌면 개가 제 모습을 알아볼 수 있는 거울은 주인뿐인지도 몰라요.
당장 내일 일도 잘 모르겠네, 그가 말했다. 꼭 어둠 속을 걷고 있는 것 같아, 한발짝 내디딜 때마다 언제라도 바닥에 넘어져버릴 수도 있지. (중략) 그래, 옛날에는 몇 년씩 걸리던 일이 지금은 몇 주나 며칠 만에 끝나버린다는 게 다를 뿐, 어느 날 미래가 아주 짧아질 거다,
그가 지극히 사악한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기회, 즉 자기에게 돌아오는 이득이 전혀 없는데도 무조건 남의 불행을 고소해하는 기쁨을 누릴 기회를 잃어버려서 화를 내고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중략) 기초 응용심리학을 다룬 책을 아무 거나 골라서 행동에 관한 장을 펼치면, 성질 고약한 인간들이 대개는 겁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무에게도 이 그릇들을 들키고 싶지 않다는 듯이, 그릇들이 다시 필요해지는 날까지 그곳에 계속 숨어 있기를 바라는 사람처럼. 아, 우리가 직접 만든 것으로부터 자신을 떼어내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그것이 현실이든 꿈이든 똑같다. 심지어 우리가 그것을 자기 손으로 직접 부숴버렸다 해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책을 선반에 꽂아두거나, 트렁크에 넣어두거나, 먼지가 쌓이고 좀이 슬도록 내버려두거나, 어두운 지하실에 처박아두기도 한다. 몇 년이 지나도록 눈길 한 번, 손길 한 번 주지 않을 때도 있다. 하지만 책은 전혀 개의치 않고 조용히 기다린다. 내용물이 조금도 사라지지 않도록 입을 꼭 닫은 채. (중략) 그러면 마침내 부름을 받은 책이 그 모습을 드러낸다.
멍청하게 굴지 마라. 내가 일을 끝내지 않는다고 해서 세상이 끝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종종 누군가가 어깨에 손만 올려놓아도 울음이 터질 때가 있듯이, 우리는 순수하게 우리를 반기는 개를 보며 잠깐 동안이나마 세상의 고통, 슬픔, 실망과 화해할 수 있다.
이번에 새로운 것이 있다면, 그가 뺨을 타고 흐르는 고통스러운 눈물 몇 방울을 그냥 내버려두었다는 점뿐이다. 그가 오랫동안 꾹꾹 누르고 있었기 때문에 항상 언제라도 터져나올 것 같았던 눈물. 알고 보니 그 눈물은 지금의 이 슬픈 순간을 위한 것이었다. 달도 없는 이 밤, 아직 체념을 하지 못해 고독을 받아들이지 못한 이 고독한 순간을 위한 것이었다. 그다지 신선하다고 할 수 없는 일은 파운드가 시프리아노 알고르에게 다가가 그의 눈물을 핥아준 것이었다. (중략) 주인과 개는 극소에 두 시간이 넘도록 머물렀다, 각자 자기만의 생각에 잠겨서. 이제는 주인이 눈물을 흘리지 않았으므로 개가 닦아줄 눈물도 없었다. 어쩌면 이 주인과 개는 세상이 뒤집어져서 모든 것이, 심지어 지금까지 제자리를 찾지 못한 것들까지도 제자리를 되찾기를 기다리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그녀는 눈이 빙빙 돌 것 같아서 감히 가까이 다가가 보지도 못한 창문 두 개와 창백한 가구가 갖춰진 삼십사 층 새 집의 문턱을 넘어서는 순간 그녀의 머릿속을 뚫고 지나가며 그곳에 뿌리르르 내린 생각은, 앞으로 평생 동안 이곳에 사는 것을 도저히 참을 수 없을 것이라는 깨달음이었다. 상주경비원 마르살 가초의 아내라는 것 외에는 다른 신분이 전혀 없고, 자기 몸속에서 자라고 있는 딸 또는 아들 외에는 아무런 미래가 없는 삶이라니. (중략) 인형을 마무리한다는 것은 인형에 색칠을 해야 한다는 뜻이었고, 색칠은 그녀가 해야 할 일었다. 그녀가 입을 크게 벌리고 히죽 웃으면서 혀를 쭉 내민 파운드를 옆에 눕힌 채 뽕나무 밑에서 사나흘 동안 색칠을 할 수 있는 시간이 있다면 가능한 말이지만. 그녀가 원하는 것은 그것뿐이었다.
시프리아노 알고르는 잠을 청하려고 눈을 감았지만, 눈은 계속 감겨 있으려고 하지 않았다. 노인이 우는 것만큼 슬픈 일은, 그렇게 말로 할 수 없을 만큼 슬픈 일은 없다.
공방, 가마, 건조대, 헛간, 옛날에는 있었지만 지금은 없는 것들이요, 이것보다 더 큰 공동묘지가 있을까요.
존재하면서도 존재하지 않는 것 같은 느낌, 뭔가를 갖고 있으면서도 갖고 있지 않은 것 같은 느낌, 하고 싶은 일이 있는데 그걸 실천에 옮길 수 없는 기분이 느껴져.
거기서 뭘 보셨는데요, 죽은 사람들은 누구고요. 그 사람들은 우리다, 시프리아노 알고르가 말했다. 무슨 말씀이세요. 그 사람들은 우리야, 나, 너, 마르살, 센터 전체, 어쩌면 이 세상 전체일 수도 있고.
살다 보면 자기 몸 하나만 가지고 다녀도 충분할 때가 있는 법이다.
난 돌 의자에 묶여서 벽만 바라보며 여생을 보내고 싶지는 않아.
오늘 아무리 행복하다 해도 내일의 고통이 줄어들지는 않는다는 것을. 이 샘의 물로 사막에서 느끼는 갈증을 해소할 길이 없다는 것을.
거기서 나온 다음에 뭘 먹고 살려고. 그건 우리도 마찬가지에요. (중략) 그냥 살다보면 세상의 흐름에 몸을 맡겨야 할 때가 있다고 생각할 뿐이죠. 마치 그 흐름에 반항할 힘이 없는 것처럼, 그러다 보면 어느 날 갑자기 강이 우리에게 이로운 방향으로 흐르고있다는 걸 깨닫는 순간이 와요, (중략) 그렇지만 적어도 한 가지만은 물어봐야 할 것 같았다.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질문이지만 우리는 도저히 그 질문을 무시하지는 못하는 것 같다. 이게 정말로 최선이라고 생각하나. 마르살은 이렇게 대답했다. 이게 최선의 선택인지 최악의 선택인지 저도 몰라요. 그냥 해야 하는 일을 했을 뿐이에요.
난 이미 모든 걸 버렸는걸요. 그 물병을 가슴에 안았을 때 이미 모든 것에 등을 돌렸어요.
비가 내리면 이 인형들은 진흙으로 변할 것이고, 햇빛에 그 진흙이 마르면 흙먼지가 될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우리 모두가 언젠가 맞게 될 운명이다.
- 사라미구의 책들 중, 가장 감명깊게 읽은 책이다. 그의 저작 중 제일 좋아했던 '돌뗏목'보다도 더 많은 것을 담고 있어 다시 책장을 돌아가 또 읽고 또 읽게 만든 책.
세상에서 필요 없어져가는 직업을 가진 도자기를 굽는 도공. 그의 생계는 그가 구운 도자기를 받아주는 센터라는 거대한 상업지구처럼 지칭되는 조직에 있다. 그러나 어느 순간 그 센터는 도자기를 반품하고 주문을 끊는다. 삼대를 걸쳐서 해오던 일이 아무짝에도 쓸모 없어지게 된 위기를 맞는 나이 든 주인공은, 앞으로 상주 경비원이 될 사위를 따라 센터라는 거대한 상업/주거 컴플렉스에 가서 얹혀 살거나 다른 일을 해야만 하는 입장에 처하게 된다. 주인공의 딸인 마르타는 아버지에게 도자기 인형을 만들 것을 제안하고 센터의 주문에 따라 많은 수의 인형을 모든 정열과 기술을 바쳐 제작하는데, 일부 완성품을 가지고 설문조사를 실시한 센터는 어느순간 주문을 취소한다. 헛된 희망에 몇 주를 보낸 나이든 도공이 모든 것을 체념하고 사위와 함께 센터에 들어가게 된는데, 어쩔 수 없는 생계와 자본의 덫에 걸린 인간의 모습이 너무도 안타깝다. 센터에 들어간 세 사람은 모두 다 삶의 터전을 잃은 듯한 박탈감에서 헤어나려고 노력하지만, 센터에서 플라톤의 동굴에 묘사된 것도 똑같은 동굴을 발견하고, 그 속에서 자신의 모습들을 본 세 사람은 각자의 결단으로 센터를 나온다. 그들은 앞으로의 생계는 막막하지만 나이 든 도공과 그의 새로운 연인, 임신한 딸과 사위, 개와 함께 여행을 떠난다. 무모해 보이지만 실제로 그림자만 바라보고 사는 '동굴'을 떠나 햇빛이 비치는 진정한 삶으로서 나아간다는 의미에서 그들의 삶은 그 의미를 회복하는 것이다.
단순한 줄거리를 벗어나 사라미구가 78세의 나이에 쓴 글에 들어있는 그의 철학과 삶을 꿰뚫어 보는 묘사는 가슴을 절절히 울린다. 이 세상에서 우리는 필요 없어져가는 일을 하는 도공 시프리아노 알고르거나 좀더 나은 생계를 보장하는 조직의 덫에 잡힌 경비원 마르샬일 수 있다. 알고르가 느끼는 상실감, 불안감, 박탈감, 늙어감에 대한 슬픔 등은 우리 모두 느끼는 공통적인 것일 것이다. 그러나 그것들은 사라미구가 얼마나 구체화해서 전달하는지, 현실과 발전이라는 덫에 스스로 치인 우리들을 얼마나 아프게 찔러대는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질그릇과 같은 투박하고 진솔한 삶에 들어있는 아름다움들을 어떻게 그렇게 표현해 내었는지... 파운드와 그 주인과의 교감은 완전히 서로가 이해되지 않아도 얼마나 감격스러운가?
발전이라는 명목의 현대화와 물질 만능주의 속에서 우리는 무엇을 얻었으며 무엇을 잃었는지, 우리가 잃은 것들이 과연 얻은 것에 대비 잃을 가치가 있는 것이었는지, 생계의 보장과 생활의 안위 외에 먼지로 돌아가 운명을 지닌 인간의 삶에 진정으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게끔 한다. 동굴의 그림자를 보는데 익숙해진 인간을 결코 햇빛을 받아들이지는 못하리라. 조금씩 빛을 향해 눈을 돌려야만 진정한 세계를 보고 죽으리라. 돌의자의 묶여 동굴벽을 바라보다 죽는 삶을 살 것인가? 아니면 고개를 돌려 동굴 밖을 바라보고 한 발 한 발 옮길 것인가?
사라미구는 현실의 장벽은 외면하지는 않는다. 다만 그는 우리에게 동굴 밖의 삶을 제시할 뿐이다. 선택은 아마도 각자의 몫이리라. 플라톤의 말대로 동굴의 그림자만 보고 있는 사람을 억지로 동굴밖으로 끌어내려 한다면 자신을 죽이려는 줄 알려 할 것이라는 것처럼. 스스로 깨닫고 걸어나가지 않으면 결코 나갈 수 없는 곳이 플라톤의 동굴이 아닐까?
2014년 2월 9일 일요일
윤동주의 '정본 윤동주 전집', 홍장학 엮음, 문학과 지성사, 중
<황혼이 바다가 되어>
하루도 검푸른 물결에
흐느적 잠기고...... 잠기고......
저 ----- 웬 검은 고기 떼가
물든 바다를 날아 횡단할꼬.
낙엽이 된 해초
해초마다 슬프기도 하오.
서창에 걸린 해말간 풍경화,
옷고름 너어는 고아의 설움
이제 첫 항해하는 마음을 먹고
방바닥에 나뒹구오...... 뒹구오......
황혼이 바다가 되어
오늘도 수많은 배가
나와 함께 이 물결에 잠겼을 게오.
<팔복 -마태복음 5장 3~12>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영원히 슬플 것이오.
<무서운 시간>
거 나를 부르는 것이 누구요.
가랑잎 아파리 푸르러 나오는 그늘인데,
나 아직 여기 호흡이 남아 있소.
한번도 손들어보지 못한 나를
손들어 표할 하늘도 없는 나를
어디에 내 한 몸 둘 하늘이 있어
나를 부르는 것이오.
일이 마치고 내 죽는 날 아침에는
서럽지도 않은 가랑잎이 떨어질텐데......
나를 부르지 마오.
<길>
잃어버렸습니다.
무얼 어디다 잃었는지 몰라
두 손이 주머니를 더듬어
길에 나아갑니다.
돌과 돌과 돌이 끝없이 연달아
길은 돌담을 끼고 갑니다.
담은 쇠문을 굳게 닫아
길 위에 긴 그림자를 드리우고
길은 아침에서 저녁으로
저녁에서 아침으로 통했습니다.
돌담을 더듬어 눈물짓다
쳐다보면 하늘은 부끄럽게 푸릅니다.
풀 한 포기 없는 이 길을 걷는 것은
담 저쪽에 내가 남아 있는 까닭이고,
내가 사는 것은, 다만,
잃은 것을 찾는 까닭입니다.
<'별똥 떨어진 데' 중>
밤이다.
하늘은 푸르다 못해 농회색으로 캄캄하나 별들만은 또렷또렸 빛난다. 침침한 어둠뿐만 아니라 오삭오삭 춥다. 이 육중한 기류 가운데 자조하는 한 젊은이가 있다. 그를 나라고 불러 두자.
나는 이 어둠에서 배태되고 이 어둠에서 생장하여서 아직도 이 어둠 속에 그대로 생존하나 보다. 이제 내가 갈 곳이 어딘지 몰라 허우적거리는 것이다. 하기는 나는 세기의 초점인 듯 초췌하다. 얼핏 생각하기에는 내 바닥을 반듯이 받들어 주는 것도 없고 그렇다고 내 머리를 갑박이 내려 누르는 아무것도 없는 듯하다마는 내막은 그렇지도 않다. 나는 도무지 자유스럽지 못하다. 다만 나는 없는 듯 있는 하루살이처럼 허공에 부유하는 한 점에 지나지 않는다. 이것이 하루살이처럼 경쾌하다면 마침 다행할 것인데 그렇지를 못하구나!
(중략)
어디로 가야 하느냐. 동이 어디냐, 서가 어디냐, 남이 어디냐, 북이 어디냐. 아라! 저 별이 번쩍 흐른다. 별똥 떨어진 데가 내가 갈 곳인가 보다. 하면 별똥아! 꼭 떨어져야 할 곳에 떨어져야 한다.
<'화원에 꽃이 핀다' 중>
한 해 동안을 내 두뇌로써가 아니라 몸으로써 일일이 헤아려 세포 사이마다 간직해두어서야 겨우 몇 줄의 글이 이루어집니다. 그리하여 나에게 있어 글을 쓴다는 것이 그리 즐거운 일일 수는 없습니다. 봄바람의 고민에 짜들고, 녹음의 권태에 시들고, 가을 하늘 감상에 울고, 노변의 사색에 졸다가 이 몇줄의 글과 나의 화원과 함께 나의 일 년은 이루어집니다.
(중략)
봄이 가고, 여름이 가고, 가을, 코스모스가 홀홀히 떨어지는 날 우주의 마지막은 아닙니다. 단풍의 세계가 있고, - 이상이견빙지 - 서리를 밟거든 얼음이 굳어질 것을 각오하라 - 가 아니라 우리는 서릿발에 끼친 낙엽을 밟으면서 멀리 봄이 올 것을 믿습니다.
노변에서 많은 일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 윤동주의 정본 전집을 읽으면서, 그의 글을 시간들을 따라 읽으면서, 단편적으로 접했던 그의 시에서 느꼈던 감동과는 조금 다른, 깊은 애잔한 슬픔의 울림이 올곧은 가느다란 의지를 감싸고 도는 것처럼 느껴졌다.
젊은 나이의 순절이 아니었다면, 한국의 카뮈와 같은 인물이 아니었을까 생각해본다. 불행의 시대를 아름다운 슬픔의 문장으로 시간을 초월해 남아 있는 듯.
하루도 검푸른 물결에
흐느적 잠기고...... 잠기고......
저 ----- 웬 검은 고기 떼가
물든 바다를 날아 횡단할꼬.
낙엽이 된 해초
해초마다 슬프기도 하오.
서창에 걸린 해말간 풍경화,
옷고름 너어는 고아의 설움
이제 첫 항해하는 마음을 먹고
방바닥에 나뒹구오...... 뒹구오......
황혼이 바다가 되어
오늘도 수많은 배가
나와 함께 이 물결에 잠겼을 게오.
<팔복 -마태복음 5장 3~12>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영원히 슬플 것이오.
<무서운 시간>
거 나를 부르는 것이 누구요.
가랑잎 아파리 푸르러 나오는 그늘인데,
나 아직 여기 호흡이 남아 있소.
한번도 손들어보지 못한 나를
손들어 표할 하늘도 없는 나를
어디에 내 한 몸 둘 하늘이 있어
나를 부르는 것이오.
일이 마치고 내 죽는 날 아침에는
서럽지도 않은 가랑잎이 떨어질텐데......
나를 부르지 마오.
<길>
잃어버렸습니다.
무얼 어디다 잃었는지 몰라
두 손이 주머니를 더듬어
길에 나아갑니다.
돌과 돌과 돌이 끝없이 연달아
길은 돌담을 끼고 갑니다.
담은 쇠문을 굳게 닫아
길 위에 긴 그림자를 드리우고
길은 아침에서 저녁으로
저녁에서 아침으로 통했습니다.
돌담을 더듬어 눈물짓다
쳐다보면 하늘은 부끄럽게 푸릅니다.
풀 한 포기 없는 이 길을 걷는 것은
담 저쪽에 내가 남아 있는 까닭이고,
내가 사는 것은, 다만,
잃은 것을 찾는 까닭입니다.
<'별똥 떨어진 데' 중>
밤이다.
하늘은 푸르다 못해 농회색으로 캄캄하나 별들만은 또렷또렸 빛난다. 침침한 어둠뿐만 아니라 오삭오삭 춥다. 이 육중한 기류 가운데 자조하는 한 젊은이가 있다. 그를 나라고 불러 두자.
나는 이 어둠에서 배태되고 이 어둠에서 생장하여서 아직도 이 어둠 속에 그대로 생존하나 보다. 이제 내가 갈 곳이 어딘지 몰라 허우적거리는 것이다. 하기는 나는 세기의 초점인 듯 초췌하다. 얼핏 생각하기에는 내 바닥을 반듯이 받들어 주는 것도 없고 그렇다고 내 머리를 갑박이 내려 누르는 아무것도 없는 듯하다마는 내막은 그렇지도 않다. 나는 도무지 자유스럽지 못하다. 다만 나는 없는 듯 있는 하루살이처럼 허공에 부유하는 한 점에 지나지 않는다. 이것이 하루살이처럼 경쾌하다면 마침 다행할 것인데 그렇지를 못하구나!
(중략)
어디로 가야 하느냐. 동이 어디냐, 서가 어디냐, 남이 어디냐, 북이 어디냐. 아라! 저 별이 번쩍 흐른다. 별똥 떨어진 데가 내가 갈 곳인가 보다. 하면 별똥아! 꼭 떨어져야 할 곳에 떨어져야 한다.
<'화원에 꽃이 핀다' 중>
한 해 동안을 내 두뇌로써가 아니라 몸으로써 일일이 헤아려 세포 사이마다 간직해두어서야 겨우 몇 줄의 글이 이루어집니다. 그리하여 나에게 있어 글을 쓴다는 것이 그리 즐거운 일일 수는 없습니다. 봄바람의 고민에 짜들고, 녹음의 권태에 시들고, 가을 하늘 감상에 울고, 노변의 사색에 졸다가 이 몇줄의 글과 나의 화원과 함께 나의 일 년은 이루어집니다.
(중략)
봄이 가고, 여름이 가고, 가을, 코스모스가 홀홀히 떨어지는 날 우주의 마지막은 아닙니다. 단풍의 세계가 있고, - 이상이견빙지 - 서리를 밟거든 얼음이 굳어질 것을 각오하라 - 가 아니라 우리는 서릿발에 끼친 낙엽을 밟으면서 멀리 봄이 올 것을 믿습니다.
노변에서 많은 일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 윤동주의 정본 전집을 읽으면서, 그의 글을 시간들을 따라 읽으면서, 단편적으로 접했던 그의 시에서 느꼈던 감동과는 조금 다른, 깊은 애잔한 슬픔의 울림이 올곧은 가느다란 의지를 감싸고 도는 것처럼 느껴졌다.
젊은 나이의 순절이 아니었다면, 한국의 카뮈와 같은 인물이 아니었을까 생각해본다. 불행의 시대를 아름다운 슬픔의 문장으로 시간을 초월해 남아 있는 듯.
2014년 1월 29일 수요일
미하엘 엔데의 '자유의 감옥' 중
나갈 수가 없는데 어떻게 들어올 수 있었겠느냐는 것이다. 요컨대, 의미니 이유니 하는 것들을 생각하지 말고 현재의 상황에 만족하면서 사는 것이야말로 이 동굴 세계에서 교양 있고 깨인 그림자로 인정 받는 지름길이었다.
시간이 변화를 뜻한다면, 실제로 이곳엔 시간이라는 것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었다. 단지 일정한 형체 없이 끝없이 반복되는 현재만이 있을 뿐이다. 이곳의 시간은 흡사 걸쭉한 죽과도 같아서, 끊임없이 저어 줘야만 움직이는 것 같았다. 만약에 손을 떼면, 언제 움직였냐는 듯이 그 자리에서 그대로 굳어 버려 이전과 이후를 구별할 수 없게 된다.
그들에게는 순간만이 있을 뿐이야 .진짜 노예만도 못한 노예, 진짜 죄수만도 못한 죄수가 바로 그들이야. 자신의 처지에 만족하는 노예, 갇혀있다는 사실에 괴로워하지 않는 죄수......
이브리는 대답하고 있었다. 그리도 다른 그림자들에게 말하고 싶었다. 지금 베히모트가 하는 말은 진실이 아니라고...... 왜냐면 저 바깥에 우리들이 원래 살았던 세상이 있기 때문에...... 그러나 그는 잠시 망설였다. 스스로도 확신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미스라임의 동굴' 중>
나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나는 더 이상 알 수 없다. 아마도 끝없는 알파벳의 사슬 중간쯤에 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어차피 그 사슬이 끝이 없다면, 어디쯤 와 있는지를 아는 게 무슨 의미가 있단 말인가?
그렇다! 그 사이 나는 입구에서 한없이 멀어지기만 했다. (중략) 나는 이 여행 내내 뒷걸음질만 쳤다. (중략) 단지 한 과제의 자리에 그 이전의 과제가 맞물려 있을 뿐이다.
<'여행가 막스 무토의 비망록' 중>
우리는 갇혀 있다네, 스스로 선택하라는 선고가 내려졌네
우리를 고통스럽게 하는 수없이 많은 불확실성 중에
어떻게 인간은 모든 것을 아는 듯이 결정할 수 있는가
미래가 어떨지는 영원히 알 수 없는 것을
그것을 안다 해도 이미 한 발은 묶여 있는 것을
왜냐면 모든 것은 정햬져 있기 때문에
모든 불신은, 결정할 수 있는 힘도 없이 뭔가를 결정해야 한다는 고통 속에서 싹틉니다.
자유의 감옥에 맞선 끊임없고 황당한 싸움은 나를 이렇게 소진시켰습니다. 나는 더 이상 희망을 갖지도, 두려워하지도, 무엇을 위해 애쓰지도, 무엇에 대해 기뻐하지도 않게 되었습니다.
동시에 문들에 대한 나의 관심도 점점 줄어들었습니다.
(중략) 그러던 어느 날, 잠에서 깨어 보니 문의 수가 눈에 띄게 줄어든 것을 알았습니다.
다시 눈을 떴을 때, 문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았습니다.
<'자유의 감옥' 중>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현실이라는 게 그들에겐 혼란스럽고 때로는 고통스러운, 그래서 어서 깨어나고만 싶은 꿈이나 허상에 지나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들이 달갑지 않은 낯선 세계에 유배되어 그 안에 머물도록 단죄되었다고 느낀다. 그리고 주체할 수 없는 향수에 빠져, 지금의 현실과는 다른 '또 하나의 현실'만을 그리워한다.
"그러면 우리가 사는 건 어떤 의미가 있나요?"
(중략) "나는 그 의미가 없어도 사는 데 아무 지장이 없다. (중략) 삶에 대한 희망과 의식을 버리면 사는 게 얼마나 수월해지는가를 말이다. 그러므로, 그것들을 미련 없이 버려라! 알겠나!"
이 대화 이후, 마토에게는 변화가 생겼다. 세상에 태어난 이후로 언제나 그에게는 결코 지워지지 않을 것 같은 까닭 모를 슬픔이 드리워져 있었다. 간혹 그 슬픔은 잠시 뒤편으로 물러서기는 했어요, 그를 완전히 떠난 적은 한시도 없었다. 그러던 것이 이제는 그가 투토 에니엔테의 말을 곰곰이 되새기면 되새길수로, 그 그림자는 조금씩 거두어지고 있었다. 전혀 새로운 홀가분함과 자유로움이 느껴졌다. 지금까지 한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이 새로운 감정을 그는 자유의 가벼움이라 여겼다. 그러나 사실 그것은 공허의 가벼움이었다.
몸이 어느 정도 회복된 후, 그는 다시 한번 이름을 바꿨다. 옛이름은 과거의 인생과 함께 불태워 버렸기 때문이다. 그는 이제 자신을 '길잡이'라는 의미의 '인디카비아'라 칭했다.
사람들이 이 이름의 뜻을 물어 오면 그는 습관처럼 이렇게 설명하곤 했다. 길잡이 노릇을 하는 이정표는 비바람에 부서지고 썩기까지 해서, 그 자체론 아무 가치도 없는 나무 한 토막에 지나지 않는다. 이 나무 토막은 자신의 몸 위에 무엇이 씌여 있는지 스스로 읽을 수 없다. 설사 그것을 읽을 수 있다하더라도 그게 무슨 뜻인지 이해하지 못한다. 그리고 자신이 안내하는 그 목적지에는 결코 가볼 수도 없다. 하긴 자신이 세워져 있는 그곳에 머무르는 게 그의 존재 목적이기도 하다. 이정표는 자신이 가리키는, 바로 그 목적지만 빼곤 어느 곳에나 있을 수 있으며, 그곳이 어디든 그의 가치는 충분히 발휘될 수 있다. 목적지야말로 이정표가 아무 쓸모도, 아무런 의미도 없는 유일한 장소인 것이다. 그리고 인디카비아 자신은 지금 자신이 안내하려는 그 목적지에 있는 게 아니므로, 그 길을 찾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리라고 말이다.......
존재 자체가 더 큰 사기이며 허상인데 그 속에서 무얼 더 속이고 말고 한단 말인가?
<'길잡이의 전설' 중>
- '자유의 감옥'은 그의 다른 단편집 '거울 속의 거울'과 같은 철학적 물음들을 제시하고 있으나 공간적인 주제에 집중했다는 점에서 다르다. 엔데는 우리가 매일 당연하게 여기며 살아가고 있는 이 공간의 정형성과 당위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공간을 뛰어넘는 어떤 공간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현실 속의 공간은 아주 다양한 형태로 그 속성이 극대화되어 묘사되고 (모든 것이 반복되는 동굴, 선택의 문에 갇힌 자유의 죄수, 목적지를 지향하는 이정표 등), 이 공간을 극복하여 더 고차원적인 아직 밝혀지지 않은 어떤 미지의 공간 (현실적 굴레를 벗어낫 철학적 사유의 자유로서의 공간)으로의 도약을 종용한다. 그 공간에 대한 정의나 실마리는 없으나, 그는 마치 자신을 '길잡이'로 묘사한 그 이정표처럼 어떠한 목적지를 가리키고 있다. 그가 가리키는 초현실적 공간으로의 이동을 위해서는 고통스러운 현실에 대한 인식, 반복의 안락과 미지의 것에 대한 두려움을 깨는 용기, 선택한 것을 추구하는 집념과 의지를 필요로 한다. 그 이후에 그 공간에 도달해서는? 그는 아무것도 적지 않았다. 그것은 미지의 공간이며 그 스스로 말한 것처럼 목적지에 도달하지 않은 이정표가 무엇을 알 수 있겠는가? 그러나, 그는 진부한 현실에 안주하며 미스라임의 동굴의 그림자처럼 매일을 반복하며 존재의 흔적조차 없이 사라져가는 것에 대해 '한번은 꿈꾸라'고 말하고 있는 것 같다.
상상력의 대가가 철학적 질문을 던질 때, 안이한 삶을 불편하게 휘젓는다.
시간이 변화를 뜻한다면, 실제로 이곳엔 시간이라는 것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었다. 단지 일정한 형체 없이 끝없이 반복되는 현재만이 있을 뿐이다. 이곳의 시간은 흡사 걸쭉한 죽과도 같아서, 끊임없이 저어 줘야만 움직이는 것 같았다. 만약에 손을 떼면, 언제 움직였냐는 듯이 그 자리에서 그대로 굳어 버려 이전과 이후를 구별할 수 없게 된다.
그들에게는 순간만이 있을 뿐이야 .진짜 노예만도 못한 노예, 진짜 죄수만도 못한 죄수가 바로 그들이야. 자신의 처지에 만족하는 노예, 갇혀있다는 사실에 괴로워하지 않는 죄수......
이브리는 대답하고 있었다. 그리도 다른 그림자들에게 말하고 싶었다. 지금 베히모트가 하는 말은 진실이 아니라고...... 왜냐면 저 바깥에 우리들이 원래 살았던 세상이 있기 때문에...... 그러나 그는 잠시 망설였다. 스스로도 확신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미스라임의 동굴' 중>
나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나는 더 이상 알 수 없다. 아마도 끝없는 알파벳의 사슬 중간쯤에 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어차피 그 사슬이 끝이 없다면, 어디쯤 와 있는지를 아는 게 무슨 의미가 있단 말인가?
그렇다! 그 사이 나는 입구에서 한없이 멀어지기만 했다. (중략) 나는 이 여행 내내 뒷걸음질만 쳤다. (중략) 단지 한 과제의 자리에 그 이전의 과제가 맞물려 있을 뿐이다.
<'여행가 막스 무토의 비망록' 중>
우리는 갇혀 있다네, 스스로 선택하라는 선고가 내려졌네
우리를 고통스럽게 하는 수없이 많은 불확실성 중에
어떻게 인간은 모든 것을 아는 듯이 결정할 수 있는가
미래가 어떨지는 영원히 알 수 없는 것을
그것을 안다 해도 이미 한 발은 묶여 있는 것을
왜냐면 모든 것은 정햬져 있기 때문에
모든 불신은, 결정할 수 있는 힘도 없이 뭔가를 결정해야 한다는 고통 속에서 싹틉니다.
자유의 감옥에 맞선 끊임없고 황당한 싸움은 나를 이렇게 소진시켰습니다. 나는 더 이상 희망을 갖지도, 두려워하지도, 무엇을 위해 애쓰지도, 무엇에 대해 기뻐하지도 않게 되었습니다.
동시에 문들에 대한 나의 관심도 점점 줄어들었습니다.
(중략) 그러던 어느 날, 잠에서 깨어 보니 문의 수가 눈에 띄게 줄어든 것을 알았습니다.
다시 눈을 떴을 때, 문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았습니다.
<'자유의 감옥' 중>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현실이라는 게 그들에겐 혼란스럽고 때로는 고통스러운, 그래서 어서 깨어나고만 싶은 꿈이나 허상에 지나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들이 달갑지 않은 낯선 세계에 유배되어 그 안에 머물도록 단죄되었다고 느낀다. 그리고 주체할 수 없는 향수에 빠져, 지금의 현실과는 다른 '또 하나의 현실'만을 그리워한다.
"그러면 우리가 사는 건 어떤 의미가 있나요?"
(중략) "나는 그 의미가 없어도 사는 데 아무 지장이 없다. (중략) 삶에 대한 희망과 의식을 버리면 사는 게 얼마나 수월해지는가를 말이다. 그러므로, 그것들을 미련 없이 버려라! 알겠나!"
이 대화 이후, 마토에게는 변화가 생겼다. 세상에 태어난 이후로 언제나 그에게는 결코 지워지지 않을 것 같은 까닭 모를 슬픔이 드리워져 있었다. 간혹 그 슬픔은 잠시 뒤편으로 물러서기는 했어요, 그를 완전히 떠난 적은 한시도 없었다. 그러던 것이 이제는 그가 투토 에니엔테의 말을 곰곰이 되새기면 되새길수로, 그 그림자는 조금씩 거두어지고 있었다. 전혀 새로운 홀가분함과 자유로움이 느껴졌다. 지금까지 한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이 새로운 감정을 그는 자유의 가벼움이라 여겼다. 그러나 사실 그것은 공허의 가벼움이었다.
몸이 어느 정도 회복된 후, 그는 다시 한번 이름을 바꿨다. 옛이름은 과거의 인생과 함께 불태워 버렸기 때문이다. 그는 이제 자신을 '길잡이'라는 의미의 '인디카비아'라 칭했다.
사람들이 이 이름의 뜻을 물어 오면 그는 습관처럼 이렇게 설명하곤 했다. 길잡이 노릇을 하는 이정표는 비바람에 부서지고 썩기까지 해서, 그 자체론 아무 가치도 없는 나무 한 토막에 지나지 않는다. 이 나무 토막은 자신의 몸 위에 무엇이 씌여 있는지 스스로 읽을 수 없다. 설사 그것을 읽을 수 있다하더라도 그게 무슨 뜻인지 이해하지 못한다. 그리고 자신이 안내하는 그 목적지에는 결코 가볼 수도 없다. 하긴 자신이 세워져 있는 그곳에 머무르는 게 그의 존재 목적이기도 하다. 이정표는 자신이 가리키는, 바로 그 목적지만 빼곤 어느 곳에나 있을 수 있으며, 그곳이 어디든 그의 가치는 충분히 발휘될 수 있다. 목적지야말로 이정표가 아무 쓸모도, 아무런 의미도 없는 유일한 장소인 것이다. 그리고 인디카비아 자신은 지금 자신이 안내하려는 그 목적지에 있는 게 아니므로, 그 길을 찾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리라고 말이다.......
존재 자체가 더 큰 사기이며 허상인데 그 속에서 무얼 더 속이고 말고 한단 말인가?
<'길잡이의 전설' 중>
- '자유의 감옥'은 그의 다른 단편집 '거울 속의 거울'과 같은 철학적 물음들을 제시하고 있으나 공간적인 주제에 집중했다는 점에서 다르다. 엔데는 우리가 매일 당연하게 여기며 살아가고 있는 이 공간의 정형성과 당위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공간을 뛰어넘는 어떤 공간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현실 속의 공간은 아주 다양한 형태로 그 속성이 극대화되어 묘사되고 (모든 것이 반복되는 동굴, 선택의 문에 갇힌 자유의 죄수, 목적지를 지향하는 이정표 등), 이 공간을 극복하여 더 고차원적인 아직 밝혀지지 않은 어떤 미지의 공간 (현실적 굴레를 벗어낫 철학적 사유의 자유로서의 공간)으로의 도약을 종용한다. 그 공간에 대한 정의나 실마리는 없으나, 그는 마치 자신을 '길잡이'로 묘사한 그 이정표처럼 어떠한 목적지를 가리키고 있다. 그가 가리키는 초현실적 공간으로의 이동을 위해서는 고통스러운 현실에 대한 인식, 반복의 안락과 미지의 것에 대한 두려움을 깨는 용기, 선택한 것을 추구하는 집념과 의지를 필요로 한다. 그 이후에 그 공간에 도달해서는? 그는 아무것도 적지 않았다. 그것은 미지의 공간이며 그 스스로 말한 것처럼 목적지에 도달하지 않은 이정표가 무엇을 알 수 있겠는가? 그러나, 그는 진부한 현실에 안주하며 미스라임의 동굴의 그림자처럼 매일을 반복하며 존재의 흔적조차 없이 사라져가는 것에 대해 '한번은 꿈꾸라'고 말하고 있는 것 같다.
상상력의 대가가 철학적 질문을 던질 때, 안이한 삶을 불편하게 휘젓는다.
2014년 1월 27일 월요일
카뮈의 '작가 수첩 3' 중
어떤 날 저녁에는 그 감미로움이 끝나지 않은 채 오래 이어진다. 우리가 떠나고 난 뒤에도 땅 위에는 이런 저녁들이 다시 돌아오리라는 것을 알면 죽는 데 도움이 된다.
'세심하다고 해서 한 인간이 위대해지는 건 아니다. 위대함은 맑은 날처럼 하늘의 뜻에 따라 찾아오는 것.'
한 순간이 지나자 그 문장이 내 마음속에서 다시 진동했고, 나는 그만 울음을 터뜨려버렸다.
나는 심지어 최악의 도덕적 과오의 순간에도 명예에 대한 관심을 결코 버릴 수가 없었는데 금세기가 도달한 극도의 타락을 목도하면서도 나는 용기가 없었다.
나는 시민권이 없는 존재다.
이들이 바로 우리 시대의 챔피언들로서 저주의 안락한 진지 속에 파묻혀 있다가 밖으로 나왔다 하면 술책을 일삼는 저주받은 사람들이다.
장차 쓸 나의 책들은 시대의 문제를 외면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내 책들이 시대에 복종하기보다는 시대를 스스로에게 복종시키기를 바란다.
40세가 되면 사람은 자신의 한 부분이 소멸되는 것을 용납한다. 다만 다 쓰지 못한 이 모든 사랑이 지금 나로서는 감당할 힘이 없는 한 작품을 일으켜 세워 빛나게 해주기를 하늘에 빌 뿐.
끊임없이 자기들 몫을 내놓으라고만 한다. 그들은 나의 정력이 무진장이라고 여기는지 자기들에게 내 힘을 나누어 주고 그들을 살아가게 해달라는 것이다. 그러나 나는 이 기진맥진할 지경인 창조의 정열에 나의 모든 힘을 바쳐버렸기에 그 밖의 것을 위해서라면 그야말로 이 세상에서 가장 가난하고 헐벗은 자이다.
지칠 줄 모르는 개떼들 같은 어둠.
일본으로 가는 말로에 대하여 V.R. 부인이 하는 말. "그는 그곳으로부터 돌아오기 위하여 그곳으로 가는 것일 뿐입니다."
그렇지 않을 수가 없다. 그렇지 않을 수가 없다. 그리고 더 이상 어쩔 수가 없는 때가 오는 것이다.
보클뤼즈. 저녁의 빛은 술처럼 섬세하게 금빛을 띠며, 때로는 가슴에 상처를 입히기도 하는 저 고통스러운 수정들을 천천히 녹인다.
내겐 실질적인 시간이 없습니다. 특히 마음내키는 대로 친구들을 만나고 지낼 내면적 여유가 없습니다. (중략) 그러나 가장 심각한 것은 내 책들을 쓸 시간과 내면적 여유가 더 이상 없다는 사실입니다. (중략) 그 동안에도 삶은 여전히 계속해야 하고 작업도 있고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도 있고 또 나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삶은 계속되고, 나는 어떤 아침이면 소음에 지치고, 끝도 없이 계속되는 작업에 기가 꺾이고, 아침에 자고 깨면 신문 속에서 넘쳐나는 세상의 광기에 기진맥진한 나머지, 그리고 결국 나 한 몸으로는 충분하지 못할 것임을, 그리하여 모든 사람들을 다 실망시키고 말 것임을 확신하 나머지, 그만 자리에 주저앉아 저녁이 오기를 기다리고만 싶은 생각에 사로잡힙니다. 그런 생각에 사로잡혀 더러는 실제로 그렇게 하기도 합니다.
이타주의는 쾌락처럼 하나의 유혹이다.
그 모든 것에 대한 대가를 자연스럽게 지불할 것.
니체: <새벽>. '자기 자신의 생각들에 대하여 반대하는 생각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절대로 묵과하지도 말고 숨기지도 말라. 이는 그대가 그대의 생각에 대하여 지켜야 할 으뜸가는 신의이다.'
고독의 불가능에 대한 희곡. '그들은 항상 거기에 있는 것이다.'
나를 섬뜩하게 하는 것은 죽는 것이 아니라 죽음 속에서 사는 것이다.
나는 포석이 깔린 널찍널찍한 큰길들을 좋아한다. 벽들 못지않게 빈 공간으로 건설한 도시. 나는 니체가 일을 했고 나중에는 광기의 발작을 일으킨 비아 카를로 알베르토 6번지에 있는 집을 보러간다. 나는 오베르베크의 도착, 미쳐버린 니체가 광란하고 있는 방안으로 들어갈 때, 그리고 울면서 오베르베크의 품안으로 달려드는 니체의 행동을 전하는 이야기를 눈물 없이는 읽을 수 없었다.
의견들은 없고 당파심들만 있다. 자유주의자는 거의 없고 가난과 그것의 이용, 그리하여 조금씩 조금씩 어떤 무기력 속에 빠진다.
사람은 누구나 다 최초의 인간이며 아무도 최초의 인간이 아니다.
무슨 일이 있어도 건강을 되찾아야겠다. 나는 힘이 필요하다. 삶이 손쉬운 것이기를 바라지는 않지만 삶이 어려운 것이라면 나도 그것에 버금가는 힘을 갖고 싶다.
최초의 인간. '진정으로 원하지 않으면서도 다른 사람들이 원했기 때문에, 혹은 그저 상당히 비슷한 상황에서라면 다른 사람들은 그렇게 했던 것이기에 그 자신도 그렇게 했던 모든 일을 생각하노라면, 결국은 그것이 쌓여서 하나의 삶을 이루게 되는, 그가 다른 모든 사람들과 함께 나누었던 그 삶을 이루게 되는 그 모든 것을 - 자신이 실제로 원하는 것을 택하여 살 줄 몰랐기 때문에 결국은 죽고마는 모든 다른 사람들과 나누었던 그 삶을 이루게 되는 그 모든 것을 생각하노라면.'
내겐 직업이 없고 오로지 소명받은 천직이 있을 뿌니다. 그리하여 나의 일은 외로운 것이다. 나는 그것을 받아들이고 그것에 값하는 인물이 되려고 노력해야 한다. 그런데 지금의 나는 그렇지 못하다. 그러나 자기들이 하는 일에 만족하고 있는 이 사람들 앞에서 나는 쓸쓸한 기분에서 헤어날 수 없다. (심지어 그들이 자신의 일에 불평하고 있을 때조차 나는 카뮈가 느꼈던 그 쓸쓸한 기분과 소외감을 느낀다. 그러나 '그러나' 때문에 나는 그들의 삶과 같은 삶으로 들어갈 수 없음을.)
델로스와 신트가 리니아 뒤로 차츰 차츰 사라지는 것을 보면서 어떤 사람의 슬픔과 너무나도 흡사한 묘한 슬픔을 느낀다. 처음으로 나는 내가 죽기 전에 다시 보지 못하리라는 고통스러운 느낌과 함께 내가 사랑하는 땅이 사라지는 것을 바라본다. 가슴이 미어지는 것 같다. 바다와 섬들 위에는 다시 변화하는 색깔들. (중략)
이 군도를 떠나는 절망감. 그러나 절망감 그 자체도 좋다.
나는 내 삶이 끝날 때 산 세폴크로의 골짜기로 내려가는 길로 다시 돌아오고 싶다. 그 길을 천천히 따라 내려가고 싶고 여린 올리브 나무들과 키 큰 사이프러스나무들 사이로 걷고 싶고, 두꺼운 벽들과 서늘한 방들을 갖춘 어느 집에 저녁빛이 골짜기로 내려 덮이는 광경을 좁은 창문으로 내다볼 수 있는 아무 장식없는 방 하나를 얻고 싶다. 나는 아레조에 있는 프라토 공원으로 돌아가서 저녁에 요새 위의 소로를 산책하면서 이 비길 데 없는 땅 위에 밤이 덮여오는 모습을 다시 보고 싶다. 그리고 또...... 어디에 가나, 언제나 나 자신도 영문을 알 수가 없는 이 고독에의 욕구, 마음을 가다듬고자 하는 내밀한 심사와 더불어 일종의 죽음의 예고와도 같은 이 고독에의 욕구.
시대를 불행의 시대라고 비난하는 사람들. '그들이 원하는 것은 평탄한 시대라기보다는 그들의 악덕의 안전이다.'
햇빛이 사치인, 은행구좌가 없으면 나무도 없는 곳인 파리. 세계에 교훈을 주겠다는 파리.
때때로 나는 내 주변에서 나와 같은 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이 사람들에 대하여 엄청난 애정을 느끼곤 한다.
이 세상에는 죽음이나 강제의 힘과 나란히 작동하고 있는 거대한 설득의 힘이 한 가지 존재하고 있는데 사람들은 그것을 문화라고 부른다.
나는 이제 어떤 관계도 견디지 못한다. 어찌나 맹렬히 자유를 갈구하는지 점점 더 고독만을 찾게 되는데 고독은 위험한 것일 수도 있다. 나는 끊임없이 F. 생각을 한다. 걱정이다.
저녁. 나 자신 때문에, 황량한 사막 같은 내 천성 때문에 낙담한 채로.
불교란 종교로 변한 무신론이다. 허무주의로부터 '출발한' 거듭나기.
켈라Cayla를 방문하다 : 고독하고 조용한 그곳 주위로 세계가 와서 죽는다.
행복 자체 속에서도 나를 불행하게 만드는 이 끊임없는 노력을, 이 공허한 고행을, 알 수 없는 그 무엇을 향하여 나를 긴장하게 만드는 이 부름을 포기해버리고만 싶은 유혹은 강하다.
29일에서 30일로 가는 밤 : 끝도 없는 고뇌.
자신의 작업에 대해서는 절대로 말을 하지 말 것.
물 속에 몸을 던져버리고 싶은 억누르기 어려운 충동. 제 갈 길을 가고 있는 배의 뒤, 성난 물결 한가운데 버려진 인간의 고독.
지배하기 위하여가 아니라 주기 위하여 가장 큰 힘을 회복해야 한다.
진실 속에, 진실을 위하여 산다는 것. 우선 자신의 실제 됨됨이의 진실. 사람들을 대할 때 구성하는 것을 포기할 것. 존재하는 것의 진실. 현실을 가지고 꾀를 쓰지 말 것. 그러므로 독창성과 그 무력함을 받아들일 것. 무력함에까지 그 독창성에 따라 살 것. 그 중심에서는 마침내 존중받는 존재의 무한한 힘을 가지고 하는 창조.
나는 사람들과 오랫동안 같이 살지 못한다. 나는 약간의 고독이, 영원의 몫이 필요하다.
바람이 뿌리고 바람이 거두었지만 그래도 창조자인 것, 수세기에 걸쳐서 단 한 순간을 사는 것이 자랑스러운 인간은 그런 것이다.
- 많은 책 들 속에서 카뮈의 글만큼 '진실'을 울리는 것은 없는 듯하다. 그의 글은 한치의 오차도 없이 정신의 진실에 와서 박힌다.
그의 30대 후반에서 47세의 죽음까지 쓰여진 노트. 카뮈는 일찍 알려진 성공한 작가이고, 마흔 네살에 노벨상을 수상한 당시 최연소 노벨문학상 수상자이다. 작가로서 얼마나 그보다 성공할 수 있을까? 그러나 그의 작가 수첩은 많은 고뇌의 흔적들이 엿보인다. 특히 노벨상 수상 이후 그의 고뇌는 더 무거워진 듯 하다. 일반 사람들과 점점 멀어져가는 듯한 괴리감, 오해받는 그의 입지와 글들, 진실로 위대한 작품 창작에의 욕구 등이 그의 병약한 신체와 더불어 고스란히 묘사되어 있다. 이 노트가 없었다면 우리는 카뮈에 대한 많은 부분들을 놓치고 말았으리란 생각을 버릴 수가 없다.
그의 죽음에 대한 낭만적인 희망은 교통사고로 생을 마감함으로써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짧은 노트를 통해 그의 죽음이 어떠했으리라는 생각을 그려 볼 수 있다. 그가 니체의 광기어린 아파트의 생을 머릿속에 그려봄으로써 눈물을 억제할 수 없었듯이 카뮈의 어린 시절의 장소들, 티파샤, 지중해의 군도, 그리스, 이태리의 작은 마을 들을 들리게 된다면 분명 눈물이 솟구치리라.
그토록 집요하게 진실을 원했던 카뮈, '나의 직업은 책을 쓰는 일과 나의 가족, 나의 민족의 자유가 위협받을 때는 싸우는 일이다. 그것이 전부다.' 라고 말했듯이 글로써, 그가 이 세상을 얼마나 진실되게 사랑했는지 언제나 이방인으로서 느끼면서도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얼마나 큰 연대감과 연민을 가졌었는지 지금의 삶에 용기와 의미를 주는 위대한 사람이다. 현실과 타협하지 않고, 끝까지 자신의 돌을 굴려 올린 시시포스와 같은 사람.
'세심하다고 해서 한 인간이 위대해지는 건 아니다. 위대함은 맑은 날처럼 하늘의 뜻에 따라 찾아오는 것.'
한 순간이 지나자 그 문장이 내 마음속에서 다시 진동했고, 나는 그만 울음을 터뜨려버렸다.
나는 심지어 최악의 도덕적 과오의 순간에도 명예에 대한 관심을 결코 버릴 수가 없었는데 금세기가 도달한 극도의 타락을 목도하면서도 나는 용기가 없었다.
나는 시민권이 없는 존재다.
이들이 바로 우리 시대의 챔피언들로서 저주의 안락한 진지 속에 파묻혀 있다가 밖으로 나왔다 하면 술책을 일삼는 저주받은 사람들이다.
장차 쓸 나의 책들은 시대의 문제를 외면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내 책들이 시대에 복종하기보다는 시대를 스스로에게 복종시키기를 바란다.
40세가 되면 사람은 자신의 한 부분이 소멸되는 것을 용납한다. 다만 다 쓰지 못한 이 모든 사랑이 지금 나로서는 감당할 힘이 없는 한 작품을 일으켜 세워 빛나게 해주기를 하늘에 빌 뿐.
끊임없이 자기들 몫을 내놓으라고만 한다. 그들은 나의 정력이 무진장이라고 여기는지 자기들에게 내 힘을 나누어 주고 그들을 살아가게 해달라는 것이다. 그러나 나는 이 기진맥진할 지경인 창조의 정열에 나의 모든 힘을 바쳐버렸기에 그 밖의 것을 위해서라면 그야말로 이 세상에서 가장 가난하고 헐벗은 자이다.
지칠 줄 모르는 개떼들 같은 어둠.
일본으로 가는 말로에 대하여 V.R. 부인이 하는 말. "그는 그곳으로부터 돌아오기 위하여 그곳으로 가는 것일 뿐입니다."
그렇지 않을 수가 없다. 그렇지 않을 수가 없다. 그리고 더 이상 어쩔 수가 없는 때가 오는 것이다.
보클뤼즈. 저녁의 빛은 술처럼 섬세하게 금빛을 띠며, 때로는 가슴에 상처를 입히기도 하는 저 고통스러운 수정들을 천천히 녹인다.
내겐 실질적인 시간이 없습니다. 특히 마음내키는 대로 친구들을 만나고 지낼 내면적 여유가 없습니다. (중략) 그러나 가장 심각한 것은 내 책들을 쓸 시간과 내면적 여유가 더 이상 없다는 사실입니다. (중략) 그 동안에도 삶은 여전히 계속해야 하고 작업도 있고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도 있고 또 나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삶은 계속되고, 나는 어떤 아침이면 소음에 지치고, 끝도 없이 계속되는 작업에 기가 꺾이고, 아침에 자고 깨면 신문 속에서 넘쳐나는 세상의 광기에 기진맥진한 나머지, 그리고 결국 나 한 몸으로는 충분하지 못할 것임을, 그리하여 모든 사람들을 다 실망시키고 말 것임을 확신하 나머지, 그만 자리에 주저앉아 저녁이 오기를 기다리고만 싶은 생각에 사로잡힙니다. 그런 생각에 사로잡혀 더러는 실제로 그렇게 하기도 합니다.
이타주의는 쾌락처럼 하나의 유혹이다.
그 모든 것에 대한 대가를 자연스럽게 지불할 것.
니체: <새벽>. '자기 자신의 생각들에 대하여 반대하는 생각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절대로 묵과하지도 말고 숨기지도 말라. 이는 그대가 그대의 생각에 대하여 지켜야 할 으뜸가는 신의이다.'
고독의 불가능에 대한 희곡. '그들은 항상 거기에 있는 것이다.'
나를 섬뜩하게 하는 것은 죽는 것이 아니라 죽음 속에서 사는 것이다.
나는 포석이 깔린 널찍널찍한 큰길들을 좋아한다. 벽들 못지않게 빈 공간으로 건설한 도시. 나는 니체가 일을 했고 나중에는 광기의 발작을 일으킨 비아 카를로 알베르토 6번지에 있는 집을 보러간다. 나는 오베르베크의 도착, 미쳐버린 니체가 광란하고 있는 방안으로 들어갈 때, 그리고 울면서 오베르베크의 품안으로 달려드는 니체의 행동을 전하는 이야기를 눈물 없이는 읽을 수 없었다.
의견들은 없고 당파심들만 있다. 자유주의자는 거의 없고 가난과 그것의 이용, 그리하여 조금씩 조금씩 어떤 무기력 속에 빠진다.
사람은 누구나 다 최초의 인간이며 아무도 최초의 인간이 아니다.
무슨 일이 있어도 건강을 되찾아야겠다. 나는 힘이 필요하다. 삶이 손쉬운 것이기를 바라지는 않지만 삶이 어려운 것이라면 나도 그것에 버금가는 힘을 갖고 싶다.
최초의 인간. '진정으로 원하지 않으면서도 다른 사람들이 원했기 때문에, 혹은 그저 상당히 비슷한 상황에서라면 다른 사람들은 그렇게 했던 것이기에 그 자신도 그렇게 했던 모든 일을 생각하노라면, 결국은 그것이 쌓여서 하나의 삶을 이루게 되는, 그가 다른 모든 사람들과 함께 나누었던 그 삶을 이루게 되는 그 모든 것을 - 자신이 실제로 원하는 것을 택하여 살 줄 몰랐기 때문에 결국은 죽고마는 모든 다른 사람들과 나누었던 그 삶을 이루게 되는 그 모든 것을 생각하노라면.'
내겐 직업이 없고 오로지 소명받은 천직이 있을 뿌니다. 그리하여 나의 일은 외로운 것이다. 나는 그것을 받아들이고 그것에 값하는 인물이 되려고 노력해야 한다. 그런데 지금의 나는 그렇지 못하다. 그러나 자기들이 하는 일에 만족하고 있는 이 사람들 앞에서 나는 쓸쓸한 기분에서 헤어날 수 없다. (심지어 그들이 자신의 일에 불평하고 있을 때조차 나는 카뮈가 느꼈던 그 쓸쓸한 기분과 소외감을 느낀다. 그러나 '그러나' 때문에 나는 그들의 삶과 같은 삶으로 들어갈 수 없음을.)
델로스와 신트가 리니아 뒤로 차츰 차츰 사라지는 것을 보면서 어떤 사람의 슬픔과 너무나도 흡사한 묘한 슬픔을 느낀다. 처음으로 나는 내가 죽기 전에 다시 보지 못하리라는 고통스러운 느낌과 함께 내가 사랑하는 땅이 사라지는 것을 바라본다. 가슴이 미어지는 것 같다. 바다와 섬들 위에는 다시 변화하는 색깔들. (중략)
이 군도를 떠나는 절망감. 그러나 절망감 그 자체도 좋다.
나는 내 삶이 끝날 때 산 세폴크로의 골짜기로 내려가는 길로 다시 돌아오고 싶다. 그 길을 천천히 따라 내려가고 싶고 여린 올리브 나무들과 키 큰 사이프러스나무들 사이로 걷고 싶고, 두꺼운 벽들과 서늘한 방들을 갖춘 어느 집에 저녁빛이 골짜기로 내려 덮이는 광경을 좁은 창문으로 내다볼 수 있는 아무 장식없는 방 하나를 얻고 싶다. 나는 아레조에 있는 프라토 공원으로 돌아가서 저녁에 요새 위의 소로를 산책하면서 이 비길 데 없는 땅 위에 밤이 덮여오는 모습을 다시 보고 싶다. 그리고 또...... 어디에 가나, 언제나 나 자신도 영문을 알 수가 없는 이 고독에의 욕구, 마음을 가다듬고자 하는 내밀한 심사와 더불어 일종의 죽음의 예고와도 같은 이 고독에의 욕구.
시대를 불행의 시대라고 비난하는 사람들. '그들이 원하는 것은 평탄한 시대라기보다는 그들의 악덕의 안전이다.'
햇빛이 사치인, 은행구좌가 없으면 나무도 없는 곳인 파리. 세계에 교훈을 주겠다는 파리.
때때로 나는 내 주변에서 나와 같은 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이 사람들에 대하여 엄청난 애정을 느끼곤 한다.
이 세상에는 죽음이나 강제의 힘과 나란히 작동하고 있는 거대한 설득의 힘이 한 가지 존재하고 있는데 사람들은 그것을 문화라고 부른다.
나는 이제 어떤 관계도 견디지 못한다. 어찌나 맹렬히 자유를 갈구하는지 점점 더 고독만을 찾게 되는데 고독은 위험한 것일 수도 있다. 나는 끊임없이 F. 생각을 한다. 걱정이다.
저녁. 나 자신 때문에, 황량한 사막 같은 내 천성 때문에 낙담한 채로.
불교란 종교로 변한 무신론이다. 허무주의로부터 '출발한' 거듭나기.
켈라Cayla를 방문하다 : 고독하고 조용한 그곳 주위로 세계가 와서 죽는다.
행복 자체 속에서도 나를 불행하게 만드는 이 끊임없는 노력을, 이 공허한 고행을, 알 수 없는 그 무엇을 향하여 나를 긴장하게 만드는 이 부름을 포기해버리고만 싶은 유혹은 강하다.
29일에서 30일로 가는 밤 : 끝도 없는 고뇌.
자신의 작업에 대해서는 절대로 말을 하지 말 것.
물 속에 몸을 던져버리고 싶은 억누르기 어려운 충동. 제 갈 길을 가고 있는 배의 뒤, 성난 물결 한가운데 버려진 인간의 고독.
지배하기 위하여가 아니라 주기 위하여 가장 큰 힘을 회복해야 한다.
진실 속에, 진실을 위하여 산다는 것. 우선 자신의 실제 됨됨이의 진실. 사람들을 대할 때 구성하는 것을 포기할 것. 존재하는 것의 진실. 현실을 가지고 꾀를 쓰지 말 것. 그러므로 독창성과 그 무력함을 받아들일 것. 무력함에까지 그 독창성에 따라 살 것. 그 중심에서는 마침내 존중받는 존재의 무한한 힘을 가지고 하는 창조.
나는 사람들과 오랫동안 같이 살지 못한다. 나는 약간의 고독이, 영원의 몫이 필요하다.
바람이 뿌리고 바람이 거두었지만 그래도 창조자인 것, 수세기에 걸쳐서 단 한 순간을 사는 것이 자랑스러운 인간은 그런 것이다.
- 많은 책 들 속에서 카뮈의 글만큼 '진실'을 울리는 것은 없는 듯하다. 그의 글은 한치의 오차도 없이 정신의 진실에 와서 박힌다.
그의 30대 후반에서 47세의 죽음까지 쓰여진 노트. 카뮈는 일찍 알려진 성공한 작가이고, 마흔 네살에 노벨상을 수상한 당시 최연소 노벨문학상 수상자이다. 작가로서 얼마나 그보다 성공할 수 있을까? 그러나 그의 작가 수첩은 많은 고뇌의 흔적들이 엿보인다. 특히 노벨상 수상 이후 그의 고뇌는 더 무거워진 듯 하다. 일반 사람들과 점점 멀어져가는 듯한 괴리감, 오해받는 그의 입지와 글들, 진실로 위대한 작품 창작에의 욕구 등이 그의 병약한 신체와 더불어 고스란히 묘사되어 있다. 이 노트가 없었다면 우리는 카뮈에 대한 많은 부분들을 놓치고 말았으리란 생각을 버릴 수가 없다.
그의 죽음에 대한 낭만적인 희망은 교통사고로 생을 마감함으로써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짧은 노트를 통해 그의 죽음이 어떠했으리라는 생각을 그려 볼 수 있다. 그가 니체의 광기어린 아파트의 생을 머릿속에 그려봄으로써 눈물을 억제할 수 없었듯이 카뮈의 어린 시절의 장소들, 티파샤, 지중해의 군도, 그리스, 이태리의 작은 마을 들을 들리게 된다면 분명 눈물이 솟구치리라.
그토록 집요하게 진실을 원했던 카뮈, '나의 직업은 책을 쓰는 일과 나의 가족, 나의 민족의 자유가 위협받을 때는 싸우는 일이다. 그것이 전부다.' 라고 말했듯이 글로써, 그가 이 세상을 얼마나 진실되게 사랑했는지 언제나 이방인으로서 느끼면서도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얼마나 큰 연대감과 연민을 가졌었는지 지금의 삶에 용기와 의미를 주는 위대한 사람이다. 현실과 타협하지 않고, 끝까지 자신의 돌을 굴려 올린 시시포스와 같은 사람.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