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9월 25일 수요일

공자의 '논어' 중, 김원중 역

"말을 교묘하게 하고 얼굴빛을 꾸미는 자들에겐 인(仁)이  드물구나!"

"<시경>에서 '[칼로] 끊듯이, [줄로] 갈듯이, [정으로] 쪼듯이 [숫돌로] 윤을 내듯이'라고 한 것은, 이것을 가리키는 것입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야, 비로소 너와 더불어 <시>를 이야기할 수 있겠다."

"남이 자기를 알아주는 것을 근심하지 말고, [자기가] 남을 알지 못하는 것을 근심하라."

"<시> 삼백 편을 한마디로 하면 '생각에 사악함이 없다'는 것이다."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미혹되고, 생각하기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 말에 허물이 적고 행동에 후회가 적으면 녹봉은 그 안에 들어있다."

"그림 그리는 일은 흰 바탕 이후의 일이다."

"부유하고 귀함은 사람들이 바라는 바이지만 그것이 정당하게 얻은 것이 아니면 누려서는 안 된다. 가난함과 천함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바이지만, 그것이 정당하게 얻어진 것이 아니라 하더라도 벗어나려 해서는 안 된다. 군자가 인을 버리고 어디서 명성을 얻겠는가? 군자는 한 끼의 밥을 먹는 시간조차도 인을 어기지 않고, 황망하고 다급할 때도 반드시 여기에 근거하고, 넘어질 때도 반드시 여기에 근거한다."

"군자는 천하에 대하여 꼭 그래야만 하는 것도 없고 절대 해서는 안 된다는 것도 없어서, 의로움만 함께할 뿐이다."

"능력이 없는 사람이라면 중도에 그만둔다. 지금 너는 선을 긋고 있다."

"바탕이 꾸밈을 이기면 촌스럽고, 꾸밈이 바탕을 이기면 텅 빈 듯하다. 꾸밈과 바탕이 고르게 조화를 이루고 난 뒤에야 군자인 것이다."

"무엇을 안다는 것은 그것을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 무엇을 좋아한다는 것은 그것을 즐기는 것만 못하다."

"군자는 태평하면서 너그럽고, 소인은 늘 걱정에 휩싸여 있다."

"... 군자가 도보다 소중하게 여기는 것이 세가지가 있다. 몸을 움직일 때는 조급함과 게으름을 멀리하고, 안색을 바로잡을 때는 믿음에 가깝도록 하며, 말을 내뱉을 때는 비속하거나 도리에 들어맞지 않는 것을 멀리한다. 제기를 다루는 일 따위의 소소한 일은 유사(그 일을 주관하는 낮은 벼슬아치)가 맡으면 된다."

공자께서는 네 가지를 절대 하지 않으셨다. 억측을 하지 않으셨고, 반드시 하겠다는 게 없으셨으며, 고집을 부리지 않으셨고, 나만이 옳다고 하지도 않으셨다.

"[학문하는 것은] 비유하자면 산을 쌓는 것과 같으니, 한 삼태기의 흙을 이루지 못하고 그만두어도 내가 그만둔 것이다. 비유하자면 땅을 고르는 것과 같으니, 한 삼태기의 흙을 부어서 나아갈지라도 내가 [나아]가는 것이다."

"삶을 알지 못하는데, 어찌 죽음을 알겠느냐?"

"서두르지 말고, 작은 이익을 보려고 하지 말아라. 서두르면 도달하지 못하고, 작은 이익을 보려고 하면 큰일을 이루지 못한다."

"강직함, 의연함, 질박함, 어눌함은 인仁에 가깝다."

"옛날에 배우는 자들은 자신의 수양을 위해서 했는데, 오늘날 배우는 자들은 남의 인정을 받기 위해서 한다."

"현명한 사람은 [혼란한] 세상을 피하고, 그다음 부류는 [어지러운] 지역을 피하며, 그다음 부류는 표정이 좋지 않은 사람을 피하고, 그다음은 [나쁜] 말을 피한다."

"군자는 곤궁함을 굳게 버티지만, 소인은 곤궁해지면 아무 짓이나 한다."

"사람이 멀리 생각하지 않으면 반드시 가까운 곳에 근심이 있다."

자공이 여쭈었다. 
"한마디 말로 평생 동안 실천할 만한 것이 있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아마도 서(恕)일 것이다. 자기가 하고자 하지 않는 바를 남에게 베풀지 않는다."

"나는 온종일 먹지도 않고 밤새도록 잠자지 않고 생각해 보았지만, 유익함이 없었으며, 배우는 것이 더 나았다."

"군자는 [큰] 곧음을 가지고 있지만 [작은] 믿음을 고집하진 않는다."

"비록 작은 재주라도 반드시 볼만한 것이 있다. 하지만 [그 때문에] 멀리 가면서 흙을 묻히게 될까 두려워 군자는 하지 않는 것이다."

자장이 여쭈었다.
"무엇을 다섯 가지 미덕이라 합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은혜를 베풀면서도 낭비하지 않고, 수고롭더라도 원망하지 않으며, 욕망은 있어도 탐욕은 없고, 느긋하면서도 교만하지 않고, 위엄이 있으면서도 사납지 않은 것이다."


- 공자의 제자들이 공자의 말을 스승 사후에 집필한 책, '논어'. 
간결한 대화체의 함축적 문장이 마치 소크라테스의 대화를 상기시킬 정도로 닮아 있다. 두 철인의 삶도 어느정도는 닮아있다는 점이 신기하다. 
'논어'의 내용은 너무도 익숙할 정도로 어려서부터 들어온 내용이다. 그러나, 단편적인 내용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봄으로서 공자의 사상을 조금이라도 더 이해할 수 있었던 부분이 있다. 공자가 유교적인 예를 중시했지만, 그보다는 인과 도를 그 앞에 두었음을 알 수 있다. 기원전의 사상가가 현대에까지도 통용되는 가치를 역설했는지, 그리고 그 가치가 서구의 그것과도  비슷한 면이 있음을 새삼스레 느끼게 된다. 
오직 예의 형식만을 중요시하는 현대에 와서, "군자는 천하에 대하여 꼭 그래야만 하는 것도 없고 절대 해서는 안 된다는 것도 없어서, 의로움만 함께할 뿐이다." 라는 공자의 말씀을 한 번쯤 깊이 새겨 볼 만하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