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3월 26일 월요일

샤르트르의 '존재와 무' 중 - 제2부 대자존재, 제2장 시간성 -

존재하는 존재는 전적으로 다만 존재할 뿐이다. 이런 존재는 '존재하지 않는 것'과도 '이미 존재하지 않는 것'과도 아무런 관계가 없다. (중략) 존재는 자기의 과거를 '잊어버린' 것도 아니다. 잊어버린다는 것도 또 하나의 연결방식이 될 것이다. 과거는 말하자면 꿈처럼 존재로부터 빠져나간 것이다.

이미 죽은 피에르에 대해 (중략) 따라서 그것은 '나의' 현실성의 과거이다. 사실 피에르는 나에게 있어서 존재한 것이고, 나는 피에르에게 있어서 존재한 것이다. 곧 분명하게 알 수 있겠지만, 피에르의 존재는 나의 뼛속까지 이르러 있었던 것이다. 피에르의 존재는 '세계-속에서의, 나에게 있어서의, 또 타자에게 있어서의' 하나의 현재의 일부를 이루고 있었던 것이고, 이런 현재는 피에르가 생존해 있었을 때의 '나의' 현재였다. (중략) '죽음 속에 있는 무서운 사실은 죽음이 삶을 '운명'으로 바꾼다는 것'이라고 말로는 그렇게 표현했다. (중략) 죽은 피에르의 존재에 대해서는, 오늘에 와서는 오직 나만이 나의 자유에 있어서 그 책임자이다. 그리고 어떤 생존자의 구체적인 과거의 영역으로 옮겨지지 않고, 그 영역에서 구원을 받지 못한 죽은 자들은 '과거'로 있는 것이 아니다. 그들도, 그들의 과거도, 모두 소멸되어 버렸다.
따라서 각각의 과거를 '가진' 각각의 존재가 있다.

극한까지 가서 나와 나의 죽음 사이가 무한소가 된 순간에는, 나는 이미 나의 과거밖에 되지 않을 것이다. 나의 과거만이 나를 한정할 것이다.

더 이상 남아 있는 패는 하나도 없다는 것을 놀라움과 함께 깨달을 때, 그를 때려눕히는 것도 바로 이것이다. 영원이 우리를 우리 자신으로 바꾼 것과 같이 죽음은 우리를 우리 자신과 합체시킨다. 죽음의 순간에 이르러 우리는 '존재한다'. 다시 말해 우리는 타자의 판단 앞에 방어할 수단도 없이 존재한다. (중략) 그러나 그 보람도 없이, 죽음은 이 도약을 다른 것들과 함꼐 응고시킨다. (중략)
죽음에 의해 대자가 통째로 과거 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한에 있어서, 대자는 영원히 즉자로 변한다.

그러나 과거로서의 한애서 과거의 내용에 대해서, 나는 거기서 아무것도 없앨 수 없고, 그것에 아무것도 더할 수도 없다. 바꿔 말하면, 내가 그것으로 있었던 과거는 그것이 그것으로 있는 그대로의 것이다. 그것은 세계의 사물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즉자이다. 나는 과거와의 존재관계를 유지해야 하지만, 이런 과거와의 존재관계는 즉자형의 관계이다.

과거라고 하는 이 사실적 존재 때문에, 나는 어떤 순간에도 외교관으로도 선원으로도 있지 않고 교수로 있는 것이다. 하기야 이 경우에도 나는 이런 교수의 존재를 연기할 뿐이지, 결코 완전하게 이 교수라는 존재가 될 수는 없는 것이다.

과거는 먼저 즉자적이다.

즉자인 '과거'와는 달리 '현재'는 대자이다. (중략) "한편으로는 우리는 기꺼이 현재를 '존재'에 의해 정의한다. 아직 존재하지 않는 미래와 앞서 존재한 과거에 비해, 존재하는 것이 현재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현재를 그것으로 있지 않은 모든 것, 다시 말해 직접적인 과거와 미래로부터 해방하고자 하는 엄밀한 분석은, 사실 이미 무한소의 한 순간밖에 발견하지 못할 것이다. 그것은 후설이 그 '내적인 시간의식에 대한 강의'에 가리킨 것처럼, 무한하게 진행된 분할의 이상적인 종국이자, 하나의 무이다."

'대자'가 현전하는 것은 모든 즉자존재에 대해서이다. (중략) 그러나 대자는 현재를 세계 속에 들어오게 하는 존재이다.

우리가 '현재'라고 잘못 부르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해 현재가 무언가에 대해 현전적으로 있을 때의 그 무언가에 해당하는 존재이다. 순간의 형태로 '현재'를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중략) 현재는 공통현전적인 존재 밖으로의 도망이며, 자신이 그것으로 있었던 존재로부터 자신이 그것으로 있을 존재를 향한 도망이다. 현재로서의 한에서는, 현재는 자신이 그것으로 있는 것(과거)으로 있지 않고, 자신이 그것으로 있지 않은 것(미래)로 있다.

즉자는 미래로 있을 수도 없고 미래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없다는 것이다. 내가 저 초승달을 바라보고 있을 때, 보름달은 인간존재에 대해 드러내 보이는 '세계 속에서'만 미래적이다. '미래'가 세계 속에 도래하는 것은 인간존재에 의해서이다.

그러나 '미래'는 오로지 존재의 저편에 위치한 하나의 존재에 대한 대자의 현전으로만 있는 것은 아니다. 미래는 내가 그것으로 있는 '대자'를 기다리고 있는 그 무엇이다. 그 무엇은 바로 나 자신이다. (중략) 그러므로 '미래'는 내가 존재의 저편에 있는 하나의 존재에 대한 현전으로서 나를 기다리고 있는 한에서 나이다. 나는 '미래'를 향해 나를 기투함으로써 내가 결여하고 있는 것과, 즉 그것이 나의 '현재'에 종합적으로 부가되면 내가 있는 그대로의 것으로 있게 되는 것과, 미래애서 융합하려고 한다. 따라서 대자가 존재의 저편에 있어서의 존재에 대한 현전으로서 있어야 하는 것은, 대자 그 자신의 가능성이다. '미래'는 이상적인 지점으로, 거기서는 사실성(과거)과 대자(현재)와 그 가능(장래)의 갑작스럽고 무한한 압축이 마침내 자기를 대자의 그 자신에 있어서의 존재로서 나타낼 것이다. 대자가 그것으로 '있는' 미래를 향한, '대자'의 기도는 '즉자'를 향한 하나의 기도이다. 그런 의미에서 '대자'는 자신의 미래로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대자는 자기 앞에, 그리고 존재의 저편에서만, 자신이 있는 것의 근거로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미래란 내가 자유롭지 않다면 내가 그것으로 있었을 것이고, 내가 자유로워야만 내가 그것으로 '있어야 하는 것을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중략)
거기서 우리가 앞에서 기술한 그 불안이 생겨난다. 불안은 내가, 내가 있어야 하는 이 미래로 있는 데 충분하지 않은 데서 온다. (중략) 자신의 '가능'에 매달리려 해도 헛일이다. (중략)
한 마디로 대자는 자유롭다. 그리고 대자의 자유는 이 자유 자체에 대해 이 자유 자체의 한계이다. 자유롭다는 것은 자유롭도록 저주받은 것이다.

즉 '모든 "지금"은 곧 "지난 날"이 될 운명을 가지고 있다'는 관념에 대한 것이다. 시간은 갉아먹고 구멍을 뚫는다. 시간은 분리한다. 시간은 달아난다.
(중략) 시간은 나를 나 자신으로부터, 내가 있었던 것으로부터, 내가 있고자 하는 것으로부터, 내가 하고자 하는 것으로부터, 사물들로부터, 타자로부터 나를 분리시킨다. 거리의 실제적 척도로서 선택된 것은 시간이다. (중략) 세계와 인간의 시간적 모습은 '앞'과 '뒤'의 산산이 부서진 상태로 무너져 버리고 말 것이다. 이런 분쇄의 단위, 즉 시간적 원자는 '순간'일 것이다. 이 순간으 어느 일정한 순간의 '앞에', 그리고 다른 순간의 '뒤에' 자기를 차지하고 있지만, 그 자신의 형태의 내부에는 앞도 뒤도 포함하지 않는다.
순간은 불가분적이고 무시간적이다.

또 시간성은 존재도 아니고, 오히려 존재 자신의 무화라는, 존재의 내부구조이며, 대자존재에 고유한 '존재방식'이다. '대자'는 '시간성'이라는 디아스포라(Diaspora, 분산-점착)적인 형태로 자신의 존재로 있어야 하는 존재이다.

'현재'는 마치 금방 메워지고는 끊임없이 재생하는 끊임없는 '존재의 구멍'이기라도 한 것처럼, 모든 것이 경과한다. 또 현재는 마치 '즉자'의 덫에 걸리지 않기 위한 끊임없는 도피이기라도 한 것처럼, 모든 것이 경과한다. 이 즉자의 덫은 이미 어떤 대자의 '과거'도 아닌 하나의 '과거' 속에 현재를 끌어넣는 즉자의 마지막 승리에 이를 때까지 현재를 위협한다. 이런 즉자의 마지막 승리는 바로 죽음이다. 왜냐하면 죽음은 체계 전체의 과거화에 의한 '시간성'의 근본적 정지이고, 또는 이른바 '즉자'에 의한 인간적 '전체'의 탈환이기 때문이다.

무의식 속에 살아남아 있는 추억은 하나의 과거적인 '지금'이다. 그리고 동시에 그것이 일꺠워지기를 기다리는 한에서 하나의 미래적인 '지금'이다.

- 시간에 관한 샤르트르의 고찰. '과거'를 하나의 '즉자'로 보는 것은 내게 하나의 유용한 사실이다. 이를테면, '과거'를 즉자의 하나의 예인 '의자'에 비유해 보자. '의자'는 앉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 의자를 나의 의식 속에서 자꾸만 나에게 앉으라고 권한다. 그리고 앉는 행위가 가장 쉬운 행위가 될 것이다. 그러나, 나는 앉는 대신 이 의자를 무시하거나 안 보이는 곳에 가져다 놓거나 다른 용도로 쓸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심적으로우리가 과거를 통제하는 데 용이하게 쓸 수 있다. '우울증'이라는 과거병력을 가진 사람에게 '우울'이라는 과거적 생각이 떠오를 때, 그 단어가 의미하는 데로 우울한 상태로 돌입하는 것이 의자에 앉는 것처럼 가장 쉬운 행동이 될 것이다. 그러나, 그는 이것을 '의자'로 환원해 창고에 넣고 닫아버리거나(무시하거나), 위에 화분을 올려놓는 받침대로 사용하거나(다른 용도로 변화시키거나) 할 수 있을 것이다. 과거는 즉자이므로, 현재의 우리가 변화시킬 수는 없으나 그에 대한 태도는 우리의 자유에 맡겨져 있다.
또한, 현재가 존재하지 않음. 과거와 미래의 전제만이 현재를 정의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따라서, 현재는 미래로의 기투를 하는 존재로서의 나 자신인 것이다. 따라서, 미래는 존재에게 있어 완전한 주체적인 자유를 부여한다. 이 불안과 함께 오는 자유로운 존재는 미래에 도래할 세계의 가능성이다.  죽음이 존재를 즉자로 굳혀버리기 전,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있고자 하지만 있지 않는 그 모습으로 최대한 몸을 던져 가까이 가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것이 존재의 마술같은 매력!
또한, 죽음이 존재를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의 기억이 현재 존재할 수 있다는 그의 논의가 나의 그동안의 관점과도 일치하는 점에 너무도 반갑다. 마치 샤르트르의 생각이 현대까지 살아 숨쉬고, 논의되고, 반박되고, 공감될 수 있는 것처럼. 시간성에 묻히지 않을 수 있는 영원한 즉자적 존재의 창조가 현재 기투하는 지금 있지 않는 그러나 있어야 할 나의 미래의  존재이다.

댓글 1개:

  1. 과거나 즉자라면 미래도 즉자인가요....너무 어렵네요

    답글삭제